1. 바닷마을 다이어리 : 그래서, 뭐 ?! 어쩌라고 ?

                                                                                            내가 극장에 도착한 시간은 정오가 지난 1시 무렵이었다. 광화문 씨네큐브 극장은 의외로 한산했다. 문제는 영화 << 캐롤 >> 첫 회' 상영이 16 : 40분'이었다는 점이다. 4시간의 공백. 광화문 근처 " 다방 " 을 찾았으나 문을 연 곳은 없었다. 아, 어찌하오리까 ?   궁리 끝에 두 시 상영작인 << 바닷마을 다이어리 >> 와 << 캐롤 >>  티켓을 끊었다. 바닷마을 다이어리 영화 상영이 끝나면 바로 캐롤 상영 시간이었다. 그 옛날, 동시상영관이 있을 때에는 하루에 영화 6편도 본 적이 있던 내가 아니었던가 !  하지만  바닷마을 다이어리에 대해서 큰 기대는 하지 않았다.  

영화가 상영되는 내내 불편한 마음이 앞섰다.  이 대책 없는 " 선한 믿음 " 이 과연 최선일까 ?   누군가가 말했다. 나쁜 나라에서 예쁜 말은 위선이라고, 지옥에서 생을 긍정하는 말은 희망이 아니라 절망이라고. 이 영화는 풍경도 예쁘고, 사람도 예쁘고, 마음도 예쁘다. 모든 것이 < 다 > 예쁘다. 그런데 영화를 보다 보면 반감이 생기기 시작한다. " 그래서 뭐 ??! 어쩌라고 ? "  좋게 말하면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따스한 시선'이라 할 수 있지만,  내가 보기에는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현실을 외면한 것처럼 보인다. 이 영화는 밥 위에 얹은, 가시를 바른 생선살 같다. 목구멍에 가시가 걸릴 염려도 없고, 손으로 생선 뼈를 발라낼 필요도 없다. 위험이 제거된 안전'은  갈등이 제거된 가족 드라마와 같다.

갈등이 없으니 이를 해소할 카타르시스'도 없다. 물론 이 영화에서 갈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갈등은 소품처럼 소비된다.  착한 가족 서사 앞에서 감동하기에 이 시대는 피도 눈물도 없는, 동정 없는 세상'이 아닐까 ?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에게 다시 묻고 싶다. " 그래서, 뭐 ? 어쩌라고 ??! "





2. 캐롤  :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자연스럽게 우는 연기보다 어려운 연기는 자연스럽게 웃는 연기'다. 눈물을 짜내는 것은 쉽다. 누구나 가짜 - 눈물을 흘릴 수 있으니까.  그 사실은 박근혜가 증명하지 않았던가. 하지만 진짜 웃음'은 어렵다.  입꼬리'를 사용해서 웃는 표정을 만들 수는 있으나, 이 표정이 가짜라는 사실은 누구나 안다. 눈은 웃지 않는데 입만 웃고 있기 때문이다. 진짜 미소와 웃음을 관장하는 근육은 눈 주위의 근육에 집중되어 있다. 그렇기에 연기력이 부족한 배우는 입은 웃고 있으나 눈은 웃지 않는다. 당연히 부자연스러운 표정을 연기할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입으로 연기하는 배우보다는 눈빛으로 연기하는 배우가 한 수 위'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훌륭한 배우에게 눈은 제 2의 입'이요, 눈빛은 화려한 대사'다. 영화를 연출해야 하는 감독 입장에서는 말하지 않아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배우야말로 넝쿨째 굴러온 < 복 > 과 같다.   영화 << 캐롤 >> 에서 케이트 블란쳇( 캐롤 에이드 役 ) 과 루니 마라 ( 테레즈 役 ) 는 대사로 의미를 전달하기보다는 시선으로 욕망을 표출한다. 두 배우는 말보다는 응시와 마주 보기 그리고 어긋남과 회피'만으로 자신의 감정을 오롯이 쏟아낸다.  관객은 그들이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눈이 보내는 시선은 발화의 메시지'보다 강력하다.  내가 이 영화에 대해 관심을 가진 이유는 영화 원작자인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와 이동진 영화평론가의 구설수 때문이다. 일단, 범죄 심리 스릴러의 대가가 말랑말랑한 멜로 소설을 썼다는 데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는 없는 노릇.

 

더군다나 양성애자'였던 하이스미스가 쓴 레즈비언 퀴어 멜로 소설'이니 더욱 그렇다(자전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내 호기심에 불을 지핀 것은 이동진 영화평론가와 듀나 사이에 오고간 뾰족한 말풍선(들) 때문이다. 이동진은 영화 << 캐롤 - 라이브톡톡 >> 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제가 느끼기엔, 테레즈한테는 동성애적인 사랑이 필요한 게 아니고 캐롤이 필요한 겁니다.   근데 하필이면 캐롤이 여자였을 뿐이라는 거죠. 그러니까 어떤 동성애를 다루는 영화에서는 상대방이 여자라는게 핵심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동성애적인 정체성에서 내가 여자를 사랑하는 사람이야라는 것이 그사람을 말하는 가장 중요한 정체성이 될 수 있는거잖아요. 최근에 개봉을 앞두고있는 대니쉬걸같은 바로 그 영화가 그런 영화입니다. 그런데 이 영화는 아닌 것 같아요."

 

 

그러자 얼굴 없는 검객인 듀나'가 반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얼마 전 페미니즘 이슈와 연관해서 트위터에 돌았던 잭슨 카츠의 테드 강연을 떠올려 보시길.    사람들은 " 인종 " 문제라고 하면 당연히 흑인, 라티노, 아시안을 떠올리지 백인을 떠올리지 않고, " 젠더 "  문제라고 하면 여자만 떠올리고 남자는 떠올리지 않음. 비슷하게 " 섹슈얼리티 " 이슈라고 하면 그게 당연히 성소수자 집단의 문제일 것이라 생각하지 이성애자 집단의 문제일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 나 "  들이 존재함. " 나 " 가 그런 무지를 갖고 있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특권층으로서의 "나"의 지위를 보여주는 것. 이성애자는 평소에 이성애자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해야 하는 상황이 많지 않으니까 별 생각없이 한 말이 차별발언이고 호모포빅 발언이 될 가능성이 너무나 높다.  그게 욕먹으면 아 그렇구나 하고 고치면 되는거지 " 그런 뜻이 아니거든 ! "  하고 땡깡부릴 일이 아님.  비슷한 논지였던 마이클 키멜의 테드 강연에서도, " 특권을 가진 사람에게는 인종, 젠더, 계급이 보이지 않는다 " 라고 얘기함.  백인 여자는 거울을 볼 때 " 여자 " 를 보고 흑인 여자는 "흑인 여자"를 보지만 백인 남자는 " 인간 " 을 보죠. 이성애자도 마찬가지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  " 하필 캐롤이 여자였기 때문에 ~ "  퀴어 영화가 되었다는 지적은 이성애 가부장 중심 시선이다. < 하필 > 이라는 부정적 부사의 사용'이 그 사실을 증명한다. 그는 동성애적 코드 대신 사랑이라는 보편성에 방점을 찍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일종의 매끈한, 흔적 없는, 이음매가 보이지 않는, 안전한, 깨끗한 봉합'이다. 이 무심(혹은 무관심, 아무 생각 없이 던진 연못에 이는 파문)이 때론 소수자에게 폭력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듀나가 지적한 것처럼 이동진의 발언'이 호모포비아와 연결된다는 지적은 과장이 아닐까 싶다.  이동진의 실수는 애티튜드의 문제이지 혐오의 문제가 아니지 않은가 ?  그럼에도 불구하고 듀나의 이 지적은 옳다. 이동진에게는 다소 억울할 수도 있지만 이 오지랖은 정치적으로 옳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6-02-09 1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블로그에서 난리났던데 그게 그 문제였군요.
근데 곰발님은 이동진의 견해가 옳다는 말씀인 거져?
하필 그 하필이 문제였어요.
하지만 이동진 그 사람이라면 오히려 성적소수자들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나
비위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우회적으로 말을하려다 보니 그렇게
되지 않았나 싶네요. 그걸 듀나가 자기식으로 확 까발리려다 보니 그런 사단이 난 건 아닌지...
사실 말이라는 게 한끗으로 갈리는 경우가 많잖아요.

전 이동진이 언어를 참 잘 쓰는 사람 중의 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재적소에 뽞!!
그런 사람도 나무에서 떨어지는 날도 있네요. 과연 무림의 고수들입니다.ㅋ

곰곰생각하는발 2016-02-09 16:04   좋아요 1 | URL
아닙니다. 듀나의 지적이 옳다는 거죠. 하지만 여기서 옳다는 정치적으로만 옳다는 뜻입니다.
이동진이 보기에는 넓은 의미에서 오롯이 ˝ 사랑 ˝ 이라는 것에 집중해서 보았고, 사랑이라는 틀 안에서 영화를 해석한 점이 있씁니다. 하지만 이 영화 보다보면 계급적 갈등과 차이도 보여집니다. 단순히 사랑 그 감정만 이야기하는 영화는 아니라는 점이죠.

그런데.. 영화를 해석하는 몫은 평론가의 자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른 시선으로 영화를 본다는 것은
나쁜 자세가 아니죠. 단 여기에는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약자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능..

전 듀나가 정치적으로 옳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너무 거칠게 대응한 게 문제죠.
영화 보세요. 좋은 영화입니다만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뛰어난 것 같지는 않고 그냥 좋다 ! 요 정도만...

stella.K 2016-02-09 16:17   좋아요 0 | URL
그뜻이었군요. 이런이런...ㅠㅋㅋ

혹시 듀나를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곰발님은 듀나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뭐 그다지 아는 것이 없어서리.
개인적으로 신비주의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라이브 톡인지 뭔지에서 이동진과 썰전을 했다면 얼굴을
드러내지 않았나요? 아니면 얼굴 가리고 했나..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2-09 16:27   좋아요 0 | URL
이동진이 라이프 톡톡에서 한 말을 듀나가 나중에 트윗에서 반격을 가한 거죠..
아직, 듀나가 어떤 인물인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말 그대로 진짜 수수께끼 인물임.. ㅎㅎㅎ...

스텔라 님이 이해력이 딸리는 게 아니라 제가 개같이 문장을 써서 그렇습니다.
다시 고쳤음.. 아, 과음을 했더니 아.. 머리가 아파서 문장에 집중을 못하겠네요...

설, 연휴 좀 맛있는 게 마니 잡쉅습까 ?

아무 2016-02-09 18: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동진 평론가의 블로그를 보니 이번 논란에 대해서 장문의 글이 올라와 있더군요. 저는 영화도 소설도 아직 보지 않아서 어떤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남은 설 연휴 즐겁게 보내세요^^

http://blog.naver.com/lifeisntcool/220619949004

곰곰생각하는발 2016-02-10 14:40   좋아요 1 | URL
네에. 읽어보았씁니다. 이동진도 억울한 측면이 있을 겁니다.
전 개인적으로 이동진 글을 그닥 좋아하지 않습니디만... ㅎㅎㅎ.
하튼. 아무 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십시오..

yamoo 2016-02-12 0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헐~ 캐롤을 봐야겠군요..

근데, 듀나가 누군지 겁나 궁금하군요. 소개에는 소설가와 평론가라는데...이동진 블로그를 가 본적이 없는지라...이 논쟁에 대해서 더 들어댜 볼 건던지가 없군요. 전 개인적으로 이동진을 싫어해서뤼..

곰발 님, 새해 건강하시고, 건필하시길 빕니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2-12 13:25   좋아요 0 | URL
저도 이동진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두리뭉실하잖아요. 회색인간 같다는 느낌이 들어서..
야무 님이나 저나 지랄을 해도 딱 부러지게 말하는 스타일을 좋아하지 않습니까..
이동진이나 신형철은 일종의 대중인기영합주의자 같더군요.. 니미, 시바.. 예쁜 말은 어찌나 그리 잘하는지..
뭐 여성들은 두 사람 엄청 좋아하지만 개인적으로 질색입니다.
예쁜 말이 가지고 있는 함정을 간파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나와같다면 2016-02-19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에게 캐롤은 퀴어영화가 아니고 사랑영화 였어요..
우리가 사랑할때의 모습이 그대로 나와서 가슴이 아팠던..

곰곰생각하는발 2016-02-20 19:50   좋아요 0 | URL
해석의 독자의 자유입니다. 나와같다면 님이 사랑영화로 읽으면 사랑영화인 거죠...
문득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정희진에 의하면 캐롤이라는ㄴ 책이 끝내준다고 하네요..
읽어보아야겠습니다...

북깨비 2016-06-30 14: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닷마을 다이어리를 사볼까 어쩔까 지금 몇주째 고민중인데 선뜻 손이 안가요. 다들 입을 모아 좋다고 하니 왠지 실망할 거 같은 불길한 예감.. 혹시 만화도 읽어보셨어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6-30 15:01   좋아요 1 | URL
만화는 좋습니다. 만화만이 가지고 있는 순정이 있으니깐 말이죠. 만화 좋게 보신 분들은 많습니다.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