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자 f'에게
< 형 > 은 전형적인 모범생이었다. 부모 입장에서는 아무리 똥통 학교라고는 하지만 장남이 학급에서 반장(하고 학년 부회장)을 했으니 믿음직스러웠을 것이다. 또한 부모 말쌈에 장남'은 고분고분했어라.
넉넉한 살림은 아니었지만 형은 항상 브랜드 옷과 신발을 신고 다녔다. 반면 나는 형이 입다가 버린 옷을 입고 자랐다. 형이 < 나이키 > 신발을 신고 다닐 때, 나는 < 나이스 > 신발을 신고 다녀야 했다. 쪽팔란 거라. 그래서 nice 에서 c를 볼펜으로 교묘하게 k로 " 리모델링 " 하고는 했다. 비만 오면 나이스'는 자신의 출신 성분이 강제로 " 아웃팅 " 될까봐서 항상 조마조마한 마음뿐이었다. c는 일종의 주홍글씨 A였던 셈이다. 이처럼 내게 돌아온 것은 낡은 옷과 짝퉁 신발(신발은 형으로부터 공수받을 수는 없었다. 바지 밑단은 줄이면 되지만 신발은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 / procrustes's bed 가 아니지 않은가)이 전부였다. 딱히 불만은 없었다. 형은 될성부른 나무였고 나는 히마리 없는 떡잎이었다.
그런데 형은 내 기준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습속 하나'를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그러니까..... 그게, 아, 마땅한 심리학 용어가 없어서 대략 << 새것 - 거부증 >> 이라고 부르겠다. 형은 < 새것 - 거부증 > 환자'였다. 물건 앞에 < 새 - > 가 붙는 순간 부끄러움을 느끼는 병이다. 이해하시려나 ? 예를 들어 옷가게에서 산 새 옷을 굉장히 부끄러워하는 병이다. 새 옷은 쪽팔려서 못 입겠단다. 그래서 형은 입지도 않은 새 옷을 세탁기에서 수십 번 세탁한 후에야 비로소 입고 다녔다. 그렇다고 히피처럼 찢어진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은 아니었다. 새것은 아니되 그렇다고 찢어진 것도 아닌 옷. 그 옷이 형에게는 안성맞춤인 모양이었다. 형과 나는 나이 터울이 있는지라 새것은 아니되 그렇다고 찢어진 것도 아닌 옷'은 몇 년 후에 내 것이 되었다. 영화 << 올드 보이 >> 가 그 당시에 만들어졌다면 친구들은 나를 올드보이'라고 놀렸을 것이다. 눈물이 나네, 시바.
내가 옛날 이야기로 말문을 여는 이유는 포스트모던한 대한민국 사회'를 설명하기 위해서'다. 인간은 대대로 자연을 모방했다. 최대한 똑같이 재현하는 것이 미학의 궁극이었다. 사극을 볼 때 흔히 " 불초소생 " 이라는 표현이 자주 나오는데 여기서 불초는 아버지를 닮지 못한 죄'다. 그렇기에 << 불초소생 >> 은 아버지(대자연)을 닮지 못한 못난 아들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부자 관계에서 아버지는 원본이고 아들은 사본'인 셈이다. 형만한 아우가 없는 이유는 < 아우 > 가 아무리 뛰어난 필경사'라 해도 방대한 텍스트를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그대로 옮겨쓰기'란 힘에 부치는 일이기 때문이다. 필사란 결국 잘해야 본전인 경우'다. 설령,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필사를 했다 한들 " 원본의 위작 " 일 뿐이다.
사본이란 그런 운명인 것이다. 소문자 f(사본)는 최대한 F(원본)을 닮기 위해서 대장간을 찾아 대장장이에게 전신 성형을 의뢰한다. " 슨상님 ! 담금질로 최대한 쫙~ 쫘아아아악 ~ 펴 주시오. 나도 한번 F처럼 각 잡고 살고 싶어야. " 그런데 이제는 시대가 변했다. 현대 사회는 원본을 닮고자 하는 사본의 욕망'이 희석되었다. 이제 소문자 f는 대문자 F가 되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 f의 목적은 F 가 아니다. f는 아비 없이 태어난 신인류인 셈이다. 청바지가 좋은 예'이다. 이제 청바지는 새 청바지에서 낡은 청바지로 늙는 것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이미 낡은 청바지'로 유통되는 것이다. 그것은 일종의 기만이면서 동시에 모방, 흉내, 시늉'이다. 이제 신상품인 낡은 청바지 < f > 는 아버지를 닮으려는 노력보다는 단순히 흉내 내는 것에 그친다.
f가 닮고 싶은 것은 아빠의 청춘이 아니라 아빠의 연륜이 가지고 있는 권위'다. 청바지가 권위를 얻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의 마모를 견뎌야 했다. 하지만 f는 인고의 세월을 " delete " 한다. 그것은 불필요한 것이니까. f의 다른 이름은 디지털이다. 디지털은 아날로그가 이룩한 과정을 모두 생략한다. 전자 시계는 날마다 테엽 감는 번거로운 일을 하지 않아도 되고, 디지털 카메라는 아날로그 카메라가 거쳐야 하는 암실 과정을 생략한다. f는 성장통 없이 바로 어른이 된다. 대한민국 민주주의도 소문자 f 다. 절차(과정)가 생략된 민주주의는 민주주의가 아니다. 민주주의의 핵심은 결과가 아니라 절차'다. 의사봉만 두들긴다고 합법은 아니다. 박근혜 정권을 볼 때마다 디카'가 사진을 찍을 때마다 경쾌하게 송출하는 셔터 소리 같다는 생각이 든다.
시발, 셔터도 없으면서 셔터 열리고 닫히는 소리를 내니 말이다. 이러다가는 눈 오는 소리'도 효과음으로 송출될지도 모른다. 펑펑, 눈 내리는 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