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뜬 자들의 나라

                                누군가 말했다. " 대한민국은 눈먼 자들의 나라야 ! "  아마도 그 사람은 주제 사라마구의 소설 << 눈먼 자들의 도시 >> 를 빗대서 한 말일 것이다. 주제 사라마구의 << 눈먼 자들의 도시 >> 는 맹목적 인간 사회에 대한 우화'이다. 문학뿐만이 아니라 저잣거리 입말에서도 앞을 보지 못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인간에 대한 은유로 사용된다. 내가 이 소설에서 재미있게 읽은 부분은 앞을 보지 못한다는 데에서 오는 청결 문제'였다. 깔끔 떨기로 유명한 현대 도시 문명인이 < 눈 > 을 잃자 거주자의 주거지는 똥더미로 변한다는 이야기.  몇몇은 이미 눈치챘겠지만, 나는 < 똥 ㅡ 얘기 > 를 좋아하는지라 이 소설을 재미있게 읽었다. 내가 찰스 부코스키에게 열광하는 이유도 " 똥 " 때문이었다. 잠시, 샛길로 빠지자면 찰스 부카우스키는 << 우체국 >>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조이스는 마침내 달팽이를 삼켰다. 그러더니 접시에 담긴 다른 것들도 천천히 살폈다.

- 모두 작은 똥구멍이 달렸어 ! 끔찍해 ! 끔찍하다고 !

- 똥구멍이 뭐가 나쁘냐고 ! 당신한테도 똥구멍은 있잖아. 나도 똥구멍이 있다고 ! 가게에 가서 큼지막한 쇠고기 스테이크를 하나 사봐. 거기도 똥구멍은 달렸어 ! 지구상에는 똥구멍이 널렸단 말이야 ! 어떤 면에서는 나무들도 똥구멍이 달렸는데 못 찾는 것뿐이야. 나무들도 이파리를 싸잖아. 당신 똥구멍, 내 똥구멍, 세상에는 수십억 개의 똥구멍으로 가득 찼어. 대통령도 똥구멍이 있고, 세차장 직원들도 똥구멍이 있어. 판사들도 살인자들도 똥구멍이 있다고. 심지어 자주색 넥타이핀 남자도 똥구멍이 있어 !

- , 그만해. 그만하란 말이야 !

그녀는 다시 구역질을 했다. 미친년. 나는 사케를 따서 한 잔 마셨다. 

 


무릎 탁, 치고 아, 했다. < 똥 > 이 진리로구나. 똥은 인간을 평등하게 만드는 힘을 가진 오브제'다. 이슬만 먹고 살 것 같은 여배우가 새처럼 우아하게 음식을 먹을 때마다 나는 그 여배우가 화장실에 가서 똥을 싸는 상상을 떠올리고는 한다. " 그래, 인간이란 똥 싸는 존재. 다 거기서 거기'다. " 모든 인간은 한통속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글을 쓰고 있는 나도 똥구멍이 달렸고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도 똥구멍이 달렸으며, 티븨 화면 속 월드스타도 똥구멍이 달렸고 대통령도 똥구멍이 달렸다. 인간은 평등한 것이다. 아니, 똥은 World 를 초월하여 WWW 적이다. 양익준 감독의 << 똥파리 >> 를 보고 나서 미국인에게 물었다.

ㅡ 똥파리는 영어로 뭐임 ?

ㅡ 똥파리 !

ㅡ 그러니까 똥파리를 영어로 뭐라고 하냐고 ?

ㅡ 똥파리 !

ㅡ 이 사람, 말귀가 막귀네. 아니, 똥파리를 영어로 뭐라고 하냐고 ?

ㅡ 그래, 똥파리 !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똥파리를 영어로 " dung fly " 라고 한단다. 내 귀에는 이 단어 발음이 " 똥파리 " 처럼 들린다. 이 사실에 나는 몸을 부르르 떨었다. 똥파리는, 그러니까.... 그게, 음...  세계적으로 통한다 ! 각설하고, 주제 사마라구의 << 눈먼 자들의 도시 >> 를 재미있게 읽어서 후속작인 << 눈뜬 자들의 도시 >> 도 읽었지만 이내 실망하고 말했다. << 눈먼 자들의 도시 >> 가 똥(더러움)에 대한 이야기였다면, << 눈뜬 자들의 도시 >> 는 깨끗함에 대한 이야기였다. 흥미는 절반으로 반감되었다. << 눈뜬 자들의 도시 >> 는 그저 그렇고 그런 소설이 되었다. 인류사를 놓고 볼 때 더러움과 깨끗함에 대한 분류는 사실 오랜 세기 동안 구분이 모호했다. 독일 사회학자 노르페르트 엘리아스의 << 문명화 과정 >> 과 미셀 푸코의 << 감시와 처벌 >> 은 " 위생 " 이 부르주아의 발명품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내가 이 지점에서 지적하고 싶은 것은 과연 앞을 볼 수 없다는 것과 무질서(더러움)을 하나로 엮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여기에는 역설이 존재한다. 눈먼 자들의 생활 공간과 눈뜬 자들의 생활 공간을 비교했을 때 무질서한 곳은 오히려 눈뜬 자들의 생활 공간이다. 눈먼 자의 생활 공간이 오히려 질서정연하다. 눈먼 자는 사물이 제자리에 놓여 있어야지만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실제로 눈먼 자의 집을 방문하면 사물들이 한치의 오차 없이 놓여 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오히려 뒤죽박죽인 상태인 곳은 눈뜬 자의 집'이다. 병따개를 찾으려면 집구석 전체를 뒤져야 한다. " 어디다 뒀더라 ? "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 대한민국은 눈먼 자들의 나라야 ! " 라고 말했던 이에게 이렇게 말하고 싶다.

" 대한민국은 눈뜬 자들의 나라'다 ! " 뒤죽박죽인, 더러운 국가를 만든 이는 눈먼 자들이 아니다. 볼 수 있다는 권력, 그 권력이 주는 오만과 방자함. 결국 무질서는 항상 눈뜬 자'가 만든다 ■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5-11-03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눈 뜨고 코베이는 무서운 나라지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11-03 11:11   좋아요 0 | URL
진짜 드러운 나라가 되었습니다. 지금 돌아가는 꼴을 보면 믿기지가 않습니다.

stella.K 2015-11-03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국은 우리나라처럼 파리가 세분화 되있지 않는가 봅니다.
우리나라는 똥파리로부터 시작해서 날파리, 청파리, 집파리, 왕파리, 새끼파리
등등 다양하지 않습니까?
똥 얘기는 주로 얘들이 좋아하던데. 구강기 고착에 있는 아이들.
<눈 먼 자들의 도시>는 영화로 보고 책은 모셔만 두고 읽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뭐 책이 좀 어렵다고 해서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하도 안 읽어 중고샵에 팔까 생각중이었는데 곰발님 글 읽으니 보류해야겠다는 생각도 드는군요.ㅋ

곰곰생각하는발 2015-11-03 11:12   좋아요 0 | URL
영어로 똥이 dung 예요. 덩;; 뭐 이렇게 발음되는데.. 신기하지 않습니까..
비슷하다니 말이에요...


눈먼 자들... 영화는 진짜 개판 오분전으로 만들었습니다. 그거 보고 실망하신다고
소설 안 읽으면 진짜 안 됩니다. 진짜 재미있어요. 그렇게 재미있는 소설도 많지 않을 듯하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마립간 2015-11-03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똥`이 의성어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다른 언어에서도 비슷한 발음을 가진 단어가 있을 것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5-11-03 15:34   좋아요 0 | URL
찾아보니 베트남어도 똥이라는 단어가 tong 라고 합니다. 의성어가 맞네요.
가만 보면 shit 도 의성어 아닙니까. 방귀 소리니깐 말이죠...

samadhi(眞我) 2015-11-03 2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똥파리를 보고 난 뒤 원어민에게 그 영화를 권하며 똥파리가 영어로 뭐냐 물었더니 파리를 따로 부르는 이름이 없다고 하며 그냥 fly라고 한다던데요. 역시 영어는 단순한 언어군 하며 저혼자 단정지었지요. 그 영화내용을 말해주자 사채업(?)하는 애들을 shark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많이 아는 표현이긴 하지만. 양놈 사채업자를 직접 본 적은 없으니 낯설긴 하죠.

저도 똥 먹는데(?) 밥 얘기하는 것을 즐깁니다. 유아나 초딩수준인가봐요. 아이들은 똥 얘기만 나와도 좋아하잖아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11-04 09:30   좋아요 0 | URL
ㅎㅎㅎㅎㅎㅎㅎ 밥 먹는데 똥 얘기하는 것을 즐긴다는 것이죠 ? ㅎㅎㅎㅎ
진아 님은 저랑 레베루가 비슷하십니다.


yamoo 2015-11-03 2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짜 오늘 뉴스 보면서 또 빡쳤네요....국민 무서운 줄 모르는 정권 치고 오래 가는 정권 못봤습니다~
해도 너무 하는 거 같아요!

마지막 문장...격하게 공감됩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5-11-04 09:29   좋아요 0 | URL
그냥 미친 나라 같다는 느낌만 듭니다. 뭐 언론에서는 역풍을 맞을 거임.. 이러는데 정말 그럴까요 ? 역풍이 돌아올 만큼 정치 의식이 있다면 애초에 이런 일 자체가 없었겠죠.

2015-11-04 20: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1-07 07:5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