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다섯 개'라고요 ?



                                 개인적으로 특정 출판사가 후원하는 문예지 편집위원(문학평론가)의 비평'보다는 변방의 숨은 고수가 작성한 서평'을 신뢰하는 편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문단이 순문학과 순문학이 아닌 것으로 나누는 편애'가 지겹기도 하거니와 내 눈에는 < 순문학 > 이나 < 순문학이 아닌 것 > 은 순두부와 두부의 차이처럼 사소해 보였다. 영양가는 모두 대동소이한데 말이다. 하물며 < 순문학이 아닌 것 > 을 < 순문학 > 이라 우길 때는 어이가 없다. < 두부 > 를 < 순두부 > 라며 우기는 꼴이니 웃기지 않은가 ? 그리고 조직 내 보스 눈치 살피느라 좌고우면하는, 가자미 눈깔로 문학을 살피는 문학평론가'보다는 차라리 실력 있는 무명 독자의 솔직한 평가를 믿고 책을 구매하는 게 성공 확률이 높다.

하지만 서평의 은둔 고수'라고 해서 그들이 내린 평가를 모두 신뢰하지는 않는다. 내가 책을 고를 때 참고하는 리뷰는 별이 다섯 개'로 도배된 리뷰 목록'보다는 차라리 별, 별별,  별의별 스펙트럼이 적당히 공존하는 블로거의 리뷰 목록'이다. 그 아무리 글재주가 뛰어나다한들 쓴소리 못하고 칭찬만 남발하는 것은 자질이 없는 사람이 아닐까.  한국 문학에 대한 짝사랑 때문에 싫은 소리를 못하겠다고 고백한 모 스타 평론가나 별 다섯 개로 도배된 블로거의 리뷰 목록이나 도긴개긴'이다. 내가 알라딘 14기 신간 평가단 활동을 하면서 주의했던 것은 좋은 게 좋은 것 아니겠는가, 라는 자세였다. 출판사에서 책을 무료로 제공받는다고 해당 출판사에 우호적인 별 다섯 개 - 리뷰'를 남발하는 것은 주례사 비평으로 비평의 본질을 훼손하는 평론가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달달한 글보다는 칼칼한 글이 필요하다고 생각은 변함이 없다. 좋은 평론은 글쓴이의 미문이 아니라 글쓴이의 태도에 달려 있다. 그렇기에 평론에서 달달한 미문은 미덕이 아니라 악덕에 빠질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좋은 서평도 마찬가지'다(여기서 직업 서평가의 서평'은 제외하자. 알리디너의 리뷰로 범위를 한정하자). 서평과 비평은 다른 영역이다.서평은 생래적으로 " 구매 후기 " 수준에서 벗어나면 안 된다( 리뷰라는 작업을 폄하하고자 하는 말은 아니다). 혹자는 구매 후기 수준에서 벗어나야 좋은 리뷰라고 말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알라딘 리뷰가 비평 흉내를 내면 꼴사납다. 잰 척하고자 하는 욕망을 이해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서평과 비평의 간극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비평은 메스로 내부를 들여다보는 해부학인 반면,   리뷰는 청진기를 가슴에 얹어 환자의 기초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예방학'이다. 전자가 < 외과의 > 라면 후자는 < 내과의 > 다. 내과의가 메스로 배를 쨀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 내가 생각하는 좋은 리뷰는 메스로 배를 째서 내부를 해부하는 것보다는 기초 검사를 통해 건강 상태를 체크한 후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글이다. " 이 책 읽다 보면 독자 입장에서는 스트레스를 받아서 암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 "  하여튼 별이 다섯 개로 도배된 리뷰 목록을 가진 블로그'는 신뢰하지 않는다. 느긋한 마음으로 쓰려다가 갑자기 급하게 매조지한다.

 

 

 

 

 

 

 

덧대기

 

오해는 마시라, 누구를 겨냥해서 쓴 글은 절대 아니다.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만병통치약 2015-06-30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지만 찔려서요 ㅎㅎ. 제가 별 점 다섯 개가 많은데 미리 다섯 개 쯤 될 책들을 골라 읽기때문이라고 핑계를 대어봅니다. ^^ 그리고 제 글은 서평도 아니고, 비평도 아니고, 리뷰도 아니고, 구매 후기도 아닌 종잡을 수 없는 이야기만 리뷰라고 올리기 때문에 주례사 비평은 확실히 해당되지 되지 않네요 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5-06-30 21:20   좋아요 0 | URL
그래서 일부러 덧대기 글을 올렸습니다. 주례사 비평만 아니면 됩니다. ㅎㅎㅎㅎ.
뭐 살펴보니 별 4개도 많으시구만유...

재는재로 2015-06-30 2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원만해서는 다섯개안주고 보통네개 아니다싶으면세개 진짜좋은책아니면다섯개는 좀주기망설여지는 받은책은웬만하면나쁜글은안쓰지만 그래도안 맞는책은 ^^;

곰곰생각하는발 2015-06-30 21:25   좋아요 0 | URL
저는 시작부터 잘못 꼬여서 별 셋 下 별 넷 中 별 다섯 上 으로 설정해서 나중에 이거 좀 지나치게 상향조정되었다 판단해서 고칠려고 했으나 전에 했던 것과의 형평성 문제로 그냥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가넷 2015-06-30 2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해보니 너무 다섯개만 남발했네요.요즘에는 나름 기준을 잡고 한다고 있긴하지만요 ㅋ

곰곰생각하는발 2015-06-30 21:29   좋아요 0 | URL
가장 재미있는 리뷰는 보면 별 하나 짜리 리뷰에요..... ㅎㅎㅎㅎㅎ 사실 좋은 책만 리뷰하고 싶잖아요. 할 말이 많으니 말이죠.... 그러다 보니... 별 다섯 목록이 만들어지기도 하죠.... 그걸 부정할 생각은 없지만
가끔 보면 정말 별 다섯 개로 도배된 목록이 보일 때는 의심이 들더군요. 저거 공정한 거 맞아 ?!

재는재로 2015-06-30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통그렇게 줌 어지간하지않음별두개못주죠 그래도별주기아까운 불쏘시게같은책도 사고후회하는읽다 처밖아두는 그래서신간은 좋아하는작가아님 손을 못대는

곰곰생각하는발 2015-06-30 21:30   좋아요 0 | URL
저도 별 하나는 간간이 있어도 별 두 개는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ㅎㅎㅎㅎ.

양철나무꾼 2015-06-30 2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 읽고 완전 찔린 1인이요~--;
전 그래서 절대로 신간평가단은 안하고 말이죠. 그렇게 베어 넘겨진 나무가 아까워 별점 세개 미만이다 싶으면 웬만하면 페이퍼로 돌려요.
제 리뷰가 무슨 설득력이 있겠냐 싶지만 그래도 하고싶은 소리 맘껏하기 위해 될수 있으면 구매를 고집하는 편이구요. 하지만, but, 그래도...하고 싶은 얘긴 하는 편이지만, 별점은 야박하기 힘들어서 후하게 매기게 되더라는~ㅠㅠ

곰곰생각하는발 2015-06-30 21:42   좋아요 0 | URL
저도 찔리는 1인입니다. 재는재ㅗㄹ 님 글에 밝혔듯이 제 별점 기준에 의하면 별 셋이 下 이나 별넷, 별다섯이 양산되는 구조입니다.. ㅎㅎㅎㅎㅎㅎ 저야 뭐 이 기준대로 하면 되지만 자찻 사람들이 오해를 할 수 있겠더군요... 하지만 너무 늦었어요. 다시 기준을 정하면 형평성에 어긋나서 그냥 그려려니 합니다.

2015-07-01 06: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7-01 08: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수다맨 2015-07-01 1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 내용과 조금은 다른 얘기지만, 한국에서 직업 서평가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이 로쟈(이현우), 장정일, 금정연 정도인데 이 중에서 로쟈와 금정연은 갈수록 제 몫을 못 해주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로쟈는 읽는 책이 너무 많아져서인지 출판사 책 소개에 가까운 평이나 겨우 쓰고 있고, 금정연은ㅡ재치 있는 평을 쓰기도 하지만ㅡ몇몇 문인들과 친분이 돈독해서인지 현학으로 범벅된 주례사 서평을 쓸 때가 더러 있더군요. 그나마 장정일만이 아직은 초심을 어느 정도 보존한 것 같아 다행스럽게 느껴집니다.
비평가나 서평가나, 출판 시장이나 문단에서 얼마큼은 자유로워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5-07-01 13:08   좋아요 0 | URL
장정일이 갑`이죠. 로자 님 요즘 글은 확실히 출판사 책 소개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강하죠. 문인과의 친분 얘기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왜 한국 문단은 뒷풀이에서 그리 돈독한지 모르겠습니다. 신형철이 안 만난 작가가 궁금해요. 문동에서 팟방송도 제공하고 그러니 뭐... 비평가라면 당연히 작가와 거리를 두어야지요. 손석희 인터뷰가 인상적이더군요. 공정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부러 사람들과 만나지 않는다고... 문재인도 그런 소릴 했죠. 청와대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는다고... 그런데 한국 문단은 정반대입니다. 모두가 한가족이 되니 한통속이 되는 경우.

2015-07-01 15: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7-01 17: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7-01 18: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5-07-01 1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남의 서평을 읽을 땐 알라딘의 별을 보지 않습니다. 진짜 별은 밤하늘에 봐야 하죠. 솔직히 시간 없어서 일일이 정독하는 건 아니지만, 웬만하면 알라딘 서재로 접속해서 글을 읽으려고 합니다. 북플로 글을 읽으면 정독하기 위한 집중력이 떨어져요. 저는 별 다섯 개 평가가 많은 책의 서평을 읽으면 저는 반대로 하는 청개구리처럼 그 책의 서평에 별 다섯 개 주기가 싫어져요. 어떻게든 비판할 꼬투리를 찾으려는 못된 버릇이 있어요. 비판할 거리가 없으면 저도 책의 내용을 칭찬합니다. ㅎㅎㅎ

곰곰생각하는발 2015-07-02 10:05   좋아요 0 | URL
연장선상이지만 저는 별 다섯 서평보다 별 하나 서평이 재미있더라고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