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부아르를 이용만 당한 희생자로 보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남을 이용하는 여우 같은 인간으로 그린 이들도 있었다. 사후에 출간된 사르트르에게 쓴 편지와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기 덕분에 보부아르가 1930년대 말에서 1940년대 초까지 젊은 여성 세 명과 성적 관계를 맺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 명 모두 한때 보부아르의 제자였다. 어떤 경우에는 사르트르도 나중에 그 여자들과 육체 관계를 맺었다. 보부아르가 자기보다 훨씬 어린 여성들을 꼬드겨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끌어들였다는 비난이 쏟아졌고, 그것은 충분히 잘못된 행동이었다.
하지만 시몬 드 보부아르가 사르트르를 위해서 어린 여성들을 ˝길들였나?‘ 이 계약 커플은 서로 진실을 말하는 것을 중시했다. 그래서 삼인조의 세세한 면모가 드러나자 충격, 혐오, 인신공격이 일어났다.
(28~29쪽)
예전에 북플친님들과 보부아르 책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가, 보부아르의 성적 관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란 적 있었는데, 아마도 이 부분이 아니었나? 란 생각이 들었다.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읽으면서 또 화들짝 놀라고, 심란했다.
두 번 놀라고 며칠 심란해 하는 내 모습을 보니 어지간하게 보수적이고, 좀 답답할 정도로 관습에 얽매어 있는 사람이구나! 또 인정하게 되었다.
이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일단 한 가지 떠오르는 생각은 보부아르의 편지와 일기에 써 있었다고 하니 맞는 말 같겠으나, 사후에 밝혀진 일이라 더 정확한 내막은 알 길이 없지 않을까? 싶은 마음도 생기고(의심이 많은 사람인지라), 본인의 입을 통해 들은 말이 가장 정확하지 않을까? 싶다.
암튼, 뒤로 갈수록 사르트르의 행동이 더 나빠 보이는데, 사르트르를 위해서 어린 여성들을 길들였다니? 이건 또 무슨 말인가?
보부아르의 성적 관념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나,
보부아르 한 사람을 가운데 두고, 여성이라서 마땅치 않은 행동이라고 함부로 비판하는 장면들 때문에, 나까지 비판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미치니..심란한 마음이 걷히고 다음 구절로 술술 넘어가더라는~
그리고, 그녀의 사생활에 관심 갖기 보다도 그녀의 위대한 철학을 공부하고 배워가는 것도 사실 따라가기 벅찬 마당이지 않은가!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되는 것이다˝
보부아르가 남긴 명언이다.
나는 되고 싶고, 되어야 한다.
그러니 그녀의 철학을 계속 공부해 보자.
그러면 언젠가는 되어 있겠지?
뭐가 되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늙은 내가 되어 있겠지만,
늙어 있더라도 좀 더 나은 내가 되어 있길 바란다.
19 세의 보부아르는 ˝내 삶에서 가장 뜻 깊은 부분은 나의 생각들이다.˝라고 일기에 썼고, 그로부터 59 년이 지나 78 세의 보부아르는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정신˝ 이라고 말했다.
생각을 많이 하고 보니 하나의 정신(관념)으로 숙성되어 진 것이다.
30 년 뒤의 내 모습을 10 월의 첫 날인 오늘 상상해 본다.
음...보부아르 사진처럼 저렇게 고상하고, 지적인 모습으로 늙고 싶다만, 과연 내가 살아 있기나 할까? 싶기도 하고...
건강하게 살아 있으려면 운동이라도 열심히 해야 할텐데..
보부아르의 책을 읽었는데 결국 결론은 운동으로 가는구나!
오늘도 산으로 열심히 올라가고 있는 독서 기록 끝.
※사진 설명 들어가야겠죠?
굿즈 자랑 시간이란 거죠?
자~ 이 머그컵도 알라딘 굿즈 되시겠습니다.^^
변색 머그컵이네요? 씽크대 수납장 열다가 제가 이런 것도 샀더라구요? 지금 굿즈 컵들이....ㅜㅜ
조혜진 작가 소설의 인용문입니다.
왜 웃는지도 모른 채
웃는 이 장면에
내 삶은 도착해 있었다.
[우리에게 허락된 미래] 조해진
문구를 읽으니 갑자기 한국 소설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암튼 문구가 마음에 들어 선택했는데 컵이 꽤 무거워 사용을 안했네요.
그래도 이젠 가을이니까~^^
사진1...책을 읽다 매번 졸고 있어서 옆에 누가 같이 책을 읽고 있는 것처럼 연출을 했어요. 딸이랑 함께 입는 후드집업을 의자에 씌우고 보부아르님 얼굴 표지 옆에 딱 세워 두니, 보부아르님과 함께 읽고 있는 것 같아 절로 긴장됩니다.
변색 머그컵은 놀래서 허옇게 변색되었구요!
사진2...책 좀 읽었습니다. 글자색이 까맣게 변했죠?
시간이 지났다는 증거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6266/52/cover150/k832738584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01/pimg_786074123357699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01/pimg_786074123357700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