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만든 그날의 세계사
로날트 D. 게르슈테 지음, 강희진 옮김 / 제3의공간 / 2017년 2월
평점 :
절판


요즘 내가 제정신이 아닌걸까? 최근에 읽는 책마다 조금씩 예상치를 벗어나거나 책의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겠다. 날씨가 만든 그날의 세계사, 는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날씨가 역사적인 어느 순간에 어떤 역할을 했다는 뜻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프롤로그에 기후변화에 대한 이야기, 지구의 기후를 보호하고 환경을 지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프롤로그를 읽으면서 잠시 응? 하고 있다가 본문의 내용을 읽어보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조금 명확해지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하며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냥 역사적 사실에 주관적인 관점을 덧붙여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을뿐인 듯 했다. 더구나 예전에 살라미스 해전에 관한 책을 무척 재미있게 읽었었는데 그 유명한 해전 이야기를 그냥 쓱 지나치듯이 언급하고 있는 느낌에 책이 그닥 재미있지 않았다. 이건 마치 우리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날씨, 기후 덕이라고 넘겨버리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었던 것이다. 그래도 내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며 읽는 것일 수도 있으니 술렁술렁거리면서라도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상하다. 재미없다, 라고 생각했으면서도 역사 이야기 자체가 흥미로워서 읽다보니 점점 재밌어지기 시작했다. 굳이 날씨,에 집중하려 하지 않고 글을 읽기 시작하면 애써 그 연관성을 찾으려하지 않으니 흥미를 느끼게 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역사에 만약이라는 가정은 필요없는 물음이겠지만, 그래도 그 역사적 순간의 이상기후가 없었다면 역사는 어떻게 흘러갔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하고 있다. 안개로 인해 비행기를 타지 않고 열차를 타고 이동하기 위해 연설을 짧게 끝낸 히틀러는 그로인해 생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 이 책에 실려있는 여러 이야기들 중에 가장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이야기는 히틀러를 암살하기 위해 정밀한 시간계산을 하고 폭탄을 설치한 엘저의 이야기였다.

사실 하나하나의 이야기를 읽을 때는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던데 전체적으로 다시 한번 살펴보니 이제야 조금은 알 듯 하다. 책을 다 읽고 다시 프롤로그로 돌아가 (사실 에필로그를 읽을때에도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서 내가 책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건가? 싶기도했다) "단기간을 염두에 둔 미시적 개념인 날씨와 그보다 긴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거시적 개념인 기후는 중대한 고비 때마다 실제로 엄청난 파급력을 지닌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비교적 작은 행성인 지구에 그런 식의 구분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이제 지구상에는 수많은 기후 대신 단 하나의 기후만 존재한다" 라는 글을 읽으니 기후와 역사의 상관관계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보게 된다. 만약,이라는 가정을 하며 흥미거리로 그날의 역사를 바꾼 날씨에 대한 지엽적인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었구나, 싶어지는 것이다.

 

이상기후로 인한 지구환경의 변화가 생기고 그로 인해 우리의 삶 자체가 바뀌어가고 있다. 굳이 사막화되어가는 미국의 캘리포니아를 언급하지 않아도, 일본의 후쿠시마 지역의 황폐화를 언급하지 않아도 바로 우리 주위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생태계가 바뀌고 있고 또 그로인해 생존 자체가 바뀌어가고 있는 것은 누구나 한번은 심각하게 생각해봐야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