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와 벌 - 상 - 도스또예프스끼 전집 도스토예프스키 전집
도스또예프스끼 지음, 홍대화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소설치고는 꽤 오랜 시간을 잡고 늘어졌다.'죄와 벌'이라는 주제는 이미 많은 문제제기로 여러 상황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었기 때문에 새삼 새로운 주제라고 할 것도 없을지 모르겠다. 고전명작이라 불리우는 말 그대로 고전적인 주제가 되는것인지도 모르지...
그런데 나는 그 고전적인 주제라고 하는 '죄'에 대해 생각해본적이 있었던가?...

라스꼴리니꼬프의 '죄'는 무엇일까.비범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권력'-양심상 모든 장애를 제거할 수 있는 권리-, 라주미힌의 표현대로 양심상 유혈을 인정한것인가? 아니면 자신을 권리를 가진 위대한 영웅으로 생각한 것? 고리대금업자 노파와 죄없는 불쌍한 리자베따를 살해한 것? 다른 사람을 판단하고 심판한것? 그리고 하느님을 믿지 않은것...?이야기가 마지막으로 치닫고 있는데도 라스꼴리니꼬프는 자신의 죄가 무엇인지 모르는 것으로 표현된다. 적어도 내가 읽기에는 그렇다는 얘기겠지...'죄'와 '벌'이 무엇인가는 이 책을 읽는 모두가 나름대로 생각해야할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이 어린이 세계명작에 끼어들어가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 중학교시절에 읽은 책 역시 중심줄거리만을 요약한 것이었고 지금의 느낌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세상이 왜 이렇게 불의로 가득차있고, 불평등하게 흘러가야하는가 고민이 될 때..
진정 사람에게 있어 '죄'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고민이 될 때 읽어보면 좋을 듯한 명작인데, 그것을 어린시절에 읽는다면 줄거리읽기말고 무엇이 남겠나, 하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쏘냐가 라스꼴리니꼬프에게 읽어 준 성서의 이야기는 '라자로의 부활'에 대한 것이다.라자로의 부활 이야기는 단지 하나의 이야기일뿐만이 아니라 그 안에 썩어문드러져 가는 육체를, 암흑에 파묻혀버린 영혼을 빛의 세상으로 일으켜 세운 이야기일 것이다.
책을 다 읽어갈 무렵 내게 더 강하게 남는 것은 '죄'와 '벌'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새로운 삶에 대한 이야기였던것 같다.

<이제 새로운 이야기, 한 사람이 점차로 소생되어 가는 이야기, 그가 새롭게 태어나는 이야기, 그가 한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 옮겨가는 이야기, 이제까지는 전혀 몰랐던 새로운 현실을 알게 되는 이야기가 시작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