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력의 심리학 - 누가 권력을 쥐고, 권력은 우리를 어떻게 바꾸는가
브라이언 클라스 지음, 서종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2년 1월
평점 :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 부터 나온다는 헌법의 기치를 근거할 때 정치인이란 국민이 세운 대리인일뿐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대한민국 집권자들은 권력을 향유하다 말년을 수형자가 되기를 자처하는 행보만을 보여왔습니다. 아무리 고인 물은 썩기 마련이라 한다해도 권력의 정점이 비리와 부패의 온상이기만 한 것은 아닐텐데, 그들 역시 초심은 권력자가 아니라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려는 숭고한 의지가 있었을텐데, 왜 한결 같이 부패의 고리에서 벗어나지 못했을까요? 본서는 행동경제학, 신경학, 정치학, 심리학의 연구와 성과를 아울러 보며 권력의 본질과 변질을 관찰하고 숙고하는 통찰이 담긴 한 시대에 국한되지 않을 , 정치인과 유권자들 누구에게나 절실했던 저작이라고 생각됩니다. 유권자의 한사람으로서 권력이란 무엇인가, 반드시 부패하고 마는 것이 권력자의 말로인가를 돌아보고 어떻게 권력남용과 부패의 고리에서 벗어나는 정치인을 선택할 것인를 결단하게 해주는 저작이 아닌가 합니다. 대선이 얼마남지 않은 이 시점에 꼭 들어보고 싶은 이야기가 담겨 있는 책이기도 하고 또 어느 한 시절에만 주목 받고 말 한 철을 논하는 저작도 아니기에 대선시기와 대선 이후 어느 때라도 누구나가 필독할 만한 책이라고 여겨집니다.
이 저작을 감히 정의하자면 권력남용과 부패의 양상은 어떠한가로 시작해 그러한 부패한 권력자는 타고나는 것인가 시스템의 오류로 양산되는 것인가를 규명하고자 하며 더나아가 부패한 권력자를 양산하는 과정을 단절할 시스템은 무엇인가를 논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권력자들과 권력남용과 부패의 사례들 그리고 권력의 양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한 과정과 성과들을 담고 있기도 합니다. 저자가 과제라며 권하고 있는 부패를 척결내지는 차단할 수 있을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적지 않은 예시들이 있습니다. 저자의 발로 뛰며 숙고한 노력에 미안하게도 그 모든 사례를 리뷰에서 다 언급한다거나 일부만을 언급하려 한다해도 방대한 규모입니다. 그래서 미흡한 이 리뷰에서는 아주 인상 깊은 사례를 작게 소개하고 말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서문에서 언급된 162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의 바타비아호의 표류로 인한 권력이 이상징후의 양상을 보일 때를 예시한 경우와 본문에서의 20세기 라즈니쉬의 미국 영적 수행집단 내에서 일어났던 대중 위협과 독살의 경우 그리고 현재의 미국 거의 전 지역 경찰집단이 장갑차나 탱크 등과 대량살상 중화기 등을 보유한 이후의 민간인 사살 급증 등은 너무도 인상 깊기에 언급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바타비아호는 너무도 일반적인, 권력이 부정적 영향이 드러난 상징적인 사건 같습니다. 어느 시대 어느 왕권에서나 일상적이었고 근현대사에 이르러서는 독일의 히틀러나 이탈리아의 무쏠리니가 대중의 뇌리에 인상깊게 남았을 것이며 현대에서도 제3국가들의 독재자들의 사례와 현재의 태국 문제로도 대중은 충분히 문제의식을 갖고 있을 사안입니다. 하지만 바타비아호 사건이 더 상징적인 것은 이는 국가가 주도한 사건이거나 전쟁 범죄에서의 권력 사안이 아니라 사조직에서의 권력 남용과 부패의 문제이기 때문일 겁니다. 단지 난파되어 섬에 표류하게 되었다는 것만으로 권력 체계로서 살상과 부패가 드러난 사안이기 때문에 권력의 남용과 부패라는 것이 인간의 뿌리 깊은 지병과도 같다는 것을 상징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물론 이 저작에서는 원숭이와 같은 동물들을 통한 권력 문제를 연구한 사례도 제시하기 때문에 권력이라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라 지구내 생물체 대부분의 문제인 것도 분명하지 않은가 싶습니다.
국가 등 절대적인 권력을 위임하는 체계가 아닌 경우에도 권력의 남용과 부패는 넘치게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고도 있습니다. 영적 수행집단인 라즈니쉬의 수행단체가 미국 한 지역에 터를 잡을 때도 그 지역 거주민들보다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강점임을 자각하자 지역 거주민들의 권익은 무시하고 지역 이름을 바꾸고 해당 지역으로 들어서는 팻말을 자신들의 집단명으로 바꾸고서 그 지역을 장악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수행집단의 신도들의 노동력을 자원을 빙자한 착취를 하며 건물과 단체를 조성하고 집단 내에 총기 무장세력까지 갖추었다고 하네요. 방대한 규모의 집단이었기 때문에 입수되는 금액도 상당했던 모양입니다. 각종 비행기들을 몇 대나 사들였다고도 하는데 이런 문제는 그리 크게 보이지 않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이들의 집단이 그들에게 반발하는 그 지역 주민들을 압박하는데 그치지 않고 독살하기까지 했던 사건이 역사에 남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것도 몇 차례나 독살을 했고 또 시도하고 그 지역 상수도 시설에 독을 풀 계획까지 세웠었다고 합니다. 그들 집단에 경찰이 들이 닥쳐 압수한 도서 중에는 살인하는 법, 독살하는 법, 완전범죄를 하는 법 등의 제목을 지닌 책들도 입수되었다고 하네요. 오쇼는 그의 사후 지금까지도 그를 추종하는 집단과 개인들이 즐비한 영적 스승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수행집단에서 일어난 이러한 사건을 저자가 말하듯 단 한 명의 여성신도가 2인자가 되어 권력을 장악했기 때문으로 단정짓는 것도 문제가 있을 듯 합니다. 사이코패스 한 명의 문제가 아니라 이건 시스템의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아이들에게 실험했다는 공정성을 인식하고 재분배하는 연구는 4살만 되어도 아이들이 함께 풀어나가는 과제에 대해서는 공정함을 인식하고 이익을 재분배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공정함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권력을 주지 않아야 하는 것도 맞고 이런 사람들이 권력을 추구하지 않게 하는 시스템도 중요할 겁니다. 인도에서 한 실험으로는 자기에게 이익이 더 돌아가도록 속임수를 쓰는 사람일 수록 공직자를 선호하고 지망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같은 실험을 덴마크에서 하자 속임수를 쓰는 사람들이 공직자를 선호하지도 지망하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인도의 공직은 부패와 비리가 많고 덴마크의 공직은 투명하게 일 처리를 하기 때문에 부패의 여지가 적다는 데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익을 추구하고 부패한 사람들은 자신이 사익을 가장 쉽게 취득할 자리를 찾기 마련입니다. 부패의 고리는 그렇게 이어지는 것입니다. 공직이 투명하게 일처리를 하고 있고 공직자라면 당연히 그래야 하는 국가에서는 그만큼 부패와 비리가 적은 것입니다.
미국의 뉴욕에서는 과거 UN 외교관들에게 면책 특권의 일환으로 불법주차에 대한 과태료를 받지 않았다고 합니다. 1997년 부터 2002년까지 5년 동안 미납된 UN외교관 차량에 발급된 주차딱지는 15만 회에 달했고 그건 하루당 80회 이상이라는 것이며 누적된 미납 과태료는 무려 1,800만 달러였다고 합니다. 2002년이 되어 뉴욕 시장 마이크 블룸버그가 여기에 제재를 가하기로 하고 과태료 미납이 3회 이상인 경우 외교관 차량의 외교관 번호판을 취소하는 삼진아웃제를 도입했다고 합니다. 한 달에 30개국의 면책 번호판을 빼앗기도 했다고 하네요. 이렇게 시스템이 변화하자 원래부터 주차위반을 하지 않던 원칙주의 국가들 외에도 주차위반 건수가 외교관 한 명당 평균 250회 남짓 주차위반을 하던 쿠웨이트도 0.15회로 줄었으며, 이집트는 141회에서 0.33회로 차드는 126회에서 0회로 줄었다고 합니다. 이걸 권력의 남용이나 부패 문제와 완벽히 동일할 것이다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일말의 여지는 있다고 봅니다. 시스템이 변하면 부정도 감소하는 거라고 말입니다.
반대의 경우 중 권력남용 그 중 폭압의 경우를 보자면 미국 경찰 전체에 대하여 돌아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는 군수산업체의 이익을 돌보기 위해 무기교체를 해야하자 남는 중화기들을 각 지역 경찰집단에 배치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거대 늪지도 수심 깊은 강도 없는 시골 마을에 수륙양용 장갑차가, 소규모 도시에 탱크가, 각지에 대량살상 중화기들이 미 전역에 배치되었습니다. 기존에도 민간인 살상 비율이 높던 미국인데 이런 대량살상 무기들이 지원된 이후에는 민간인에 대한 사살비율이 현격히 높아졌다고 하네요. 일반인들도 이런 체제하에서라면 경찰을 지원하는 것이 잃어버린 고양이를 찾아주거나 길 잃은 치매 할머니의 집을 찾아주는 업무를 하려고 지원하지는 않을테니 말입니다. 더욱이 미국인 중 군 복무비율은 6%인데 반해 미국 경찰관 중 군복무 경력자는 19%라고 합니다. 알래스카주 같은 경우에는 경찰지원자가 없어 경찰관 거의 대다수가 전과자인 상황이라고 까지 하네요. (군 경력자가 전시작전 지역에서의 적군을 대하던 방식으로 민간인을 제압한다던가 가정 폭력이나 강간 이력이 있는 이들이 가정 폭력에 대응하거나 강간 사건 현장에 출동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겁니다. 한국처럼 현장 업무 능력치가 0%인 여경들을 현장에 배치하는 것도 문제지만 강간현장에 강간범이었던 자를 경찰이라고 보내는 경우는 문제의 심각성이 한국만큼이나 심각하지 않나 싶습니다.) 시스템의 문제를 극복 못할 부조리로 방치한다면 특히나 권력자가 폭압하는 상태를 조성하거나 방치한다면 그것은 결코 개인 도덕성의 문제가 아닙니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독자들이 갖추게 되기를 원했던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결국 문제있는 개인은 공직에서 배격하고 문제 있는 사람들이 공직이나 권력에 지망하지 않을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저자가 제시하는 과제들은 이러한 의식을 해결안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짚자면 문제 있는 개인이 권력을 추구하는 것이나 그런 이들이 권력을 선호하도록 만드는 시스템도 문제이지만 그런 이들을 선호하는 유권자랄까 선호자에게도 문제가 있음을 저자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서양의 사례이지만 한국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겁니다. 여자 보다는 남자, 유색인종 보다는 백인을 지도자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피상적으로 알았지만 본서가 든 근거처럼 극명할 정도일 줄은 몰랐습니다. 물론 한국에서도 여자대통령이 있었고 미국에서도 흑인대통령이 있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민주주의 역사이례로 미국에서는 흑인대통령이 그 한 사람이었고 한국에서도 그녀 한 사람만이 여자 대통령이었습니다. 인물이 없는 것도 맞겠지만 이런 경향성을 띤다면 어떤 흑인이 정치지도자가 되고자 맹렬히 노력할 것이며 어떤 여성정치인이 자신이 대권에 도전하리라 기대하겠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건 시스템의 문제이기도 하고 대중심리의 이상이기도 하다고 생각됩니다. 아이들에게 아이들이 모르는 외국의 정치인 두명의 사진을 보여주고는 누가 공직자로 어울리는지를 묻는 실험을 했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지목한 사람은 외국의 대선에서 승리한 사람이었다고 하네요. 아이들이 뽑지 않은 사람은 대선에서 2위를 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과연 이 이야기는 관상은 과학이다라는 말을 증거하는 사례일까요? 역대 미국 대통령은 모두 키가 컸다고 합니다. 자기보다 더 키가 큰 후보를 밀어내고 승리한 후보가 드물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백인이고 남성이고 키가 더 크고 더 잘 생긴 사람이 선호되는 선거판이라면 이건 시스템으로 바꿔야 할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당면한 문제 자체는 시스템이 문제가 아니라는 걸 말해주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바꿔 바꿔 모든 걸 다 바꿔" 이런 노래도 물론있기는 합니다만 그 바꿔야 하는 대상에 우리 자신의 의식도 포함된다는 것을 간과해선 안될 것 같습니다. 시스템의 변화와 우리 자신의 변화가 병행되어야만 부조리한 부패와 비리의 세계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권력이라는 것을 여러 스펙트럼으로 관찰하고 분석하고 연구한 결과물이 본 저작입니다. 저자의 '발로 뛴 성찰'이라는 제 표현을 본서를 읽고 나시면 공감하게 되실 겁니다. 제 리뷰에서는 본서의 아주 작은 부분도 온전히 담지 못했습니다. 대선 전에 본서를 읽어보신다면 보다 유익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 이후더라도 장기적인 한국 정치의 변화를 어찌 모색해야 할지 정치인들과 유권자들 모두가 주목해 봐야 할 사안들을 다루고 있는 본서를 꼭 읽어 보셨으면 합니다. 각자의 인식과 제도적 변화가 함께 한다면 분명 세계는 바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