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크릿이나 마음의 힘을 논하는 저작들을 제외한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심리학 이론서들이 양육환경이나 애착관계에서도 아이 역시 상호작용을 하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논리를 펼친다. 이것은 너무 지나친 일반화이며 무성의한 통론이 아닐까 싶다. 


세상 모든 부분에서 개인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모든 것을 끌어당기고 끌어들이는 것이라는 관점은 세상을 너무 편협하게 보는 시각이 아닌가 한다. 


그 주장대로라면 유아성폭행을 당하는 아기, 맞아죽은 아이 역시 그런 상황을 끌어당기고 불러들였다는 논리 밖에는 되지 않는다. 과연 그러한가? 솔직히 성인 부터도 경찰을 부른 상황에서도 침입자로부터 살해당하는 경우도 있고 자기 집에서 쉬고 있다가 침입자에게 성폭행 당하는 치매 노인도 있다. 모두 한국 최신 뉴스에서 든 사례이다. 이런 상황을 다 본인이 끌어당기고 불러들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인가? 부모가 보낸 유치원에서 폭행 당하는 아이들이 무슨 폭행 당할 상황을 불러왔다는 말인가? 


현재의 상황만 보더라도 코로나19를 누가 불러들였으며 백신 접종으로 사망할 상황을 누가 끌어당겼다는 말인가? 이 두 가지의 경우는 이제 와서는 자신의 선택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게 되었다지만 전파 초기 상황을 보자면 대중이 코로나 19를 끌어당겼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국가가 각국 정부가 주도하고 적극 권장하고 있는 백신 접종의 경우도 접종 후 사망의 경우 그 죽음을 본인이 끌어당겼다는 주장은 공감이 불가능한 주장일 뿐이다. 


인간은 자기가 당한 사고나 재난에 마저 자신에게 통제권이 있었다고 믿어야.. 그런 합리화가 되어야 안심하는 경향성이 있는 것 같은데 모든 상황에 대해서 인간이 그런 절대적인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앞서 말한 사례 외에 넓은 시야로 볼 때 급진 이슬람 무장단체의 침공으로 성노예가 된 여성들이나 그 상황을 막으려고 저항하다 죽는 가족들이나 단지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집단 학살을 당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누구 하나 그런 상황을 끌어당기고 끌어들인 사람은 없다는 말이다. 


이와 같은 역사 앞에 놓인 저항할 수 없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양육 과정에 노출되는 아이들 누구나가 자신이 처하는 현실을 선택할 권한이 주어진 적이 없다. 양육 과정에서 애착관계가 형성되고 그렇게 형성된 애착관계가 평생의 호불호와 세계관, 자기인식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을 보았을 때, 우리는 절대적인 운명의 힘 앞에 놓이는 경우를 생의 초기에 겪을 수밖에는 없다는 말이다. 생의 초기뿐만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의 경우나 압도적 무력(권력) 차이 같은 것 앞에서는 언제든 절대적인 피권한자의 입장에 놓이게 된다. 


"아니다. 우리는 상호작용하는 것이 맞다. 아이는 자기에게 주어진 환경과 상호교류하고 있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해도 생각해 보라. 아이가 상호교류하며 자기만의 관점과 성향의 특질을 지니게 된다고 해도 다른 자극원(환경)이 주어졌다면 그 아이는 다른 반응을 하며 자라났을 것이며 결국 다른 인격체로 성장했을 것이다. 우리는 다른 인격체로 자라날 수 있었을 기회비용이랄까 여러 가능성 중 지금의 이 인격을 지닌 인간으로 자라날 환경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주어져서 맞이하게 된 것이다. 이런데도 이것이 운명이 아니라고만 갑갑하게 주장할 수 있는 걸까?


주어진 모든 영향력을 자각하고 그것을 깨려고 노력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나는 이 3가지의 경우를 하나씩 마주하는 경우 우리는 우리의 운명을 바꾸는 것이겠으나 그러기 전에는 운명이란 수레바퀴 앞을 가로막고 선 사마귀 같은 처지가 인간의 생에서 한 대목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일 수도 있다. 


이런 부분을 간과하고 모든 것은 다 자신이 통제하는 것이라는 관점에만 빠져있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절대적인 운명의 흐름 앞에 놓여 어떠한 권한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일 때 오히려 역설적으로 의지적이던 인물이 완전히 와해되어버리는 상황을 맞이하게 될지도 모른다. 운명의 힘을 인정해야 운명을 감내하고 운명을 이겨내려 힘을 낼 수가 있다.


자기통제력을 과신하는 사람보다 어쩌면 운명을 믿는 사람들이 피할 수 없는 상황 하에서 좀 더 유연히 대처하게 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사람들을 폭넓게 관찰해 봐야 인정할 수 있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