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사색의 향기)
그야말로 배추파동이다. 옆지기와 장을보러 마트에 갔을 때 눈을 씻고 찾아봐도 배추의 모습은 없었다.
한포기에 18,000원을 호가한다고 하니 과히 금배추라 할만하고 배추로 김치를 담가먹는 우리네는 금치를 먹는 것과 마찬가지다.
부랴부랴 중국산 배추를 수입해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는 듯 싶었으나 국내산 배추의 꼬들꼬들하고 빳빳함에 비해 중국산은 속이 무르고 흐느적거리며 고소한 맛이 없다고 불평이다.
산지에서 밭떼기로 평당 가격을 쳐서 사들였지만 비로 인해 배추의 생산량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밭면적에서 실제 수확량(예:100포기)과 예상 구매량(예:200포기)의 부조화에 의해 배추값이 폭등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매스컴의 호들갑으로 인해 배추파동이 만들어지고 중국산까지 수입했지만 중국산은 소비자들의 외면으로 처치곤란한 지경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 산지 배추동향은 풍년이라고 한다. 농민은 배추의 부족현상을 의식해서 추가파종을 했고 가을햇살과 맞물려 작황이 좋아진 것이다.
늦가을과 초겨울 쯤이 김장철이다. 김장철에 출하될 배추에는 별무리가 없어보이지만 추가파종을 통해 생산량을 늘렸던 농민들은 혹시라도 폭락할 배추가격으로 시름하고 있지는 않을 지 사뭇 걱정이 앞선다.
조금만 기다렸으면 배추의 정산적인 생산과 소비시스템이 원위치 되어졌을 것을 매스컴의 지나친 호들갑으로 배추파동이 만들어 지고 질 떨어진 중국산이 수입되었으며, 추가파종에 따른 풍년으로 가격하락을 예상하는 농민들의 피해와 시름만 고스란히 남을 것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농촌에서 자라고 아직도 농삿일을 하시는 부모님의 근심가득하고 힘겨워 하시는 얼굴이 오버랩되면서 만감이 교차한다. 이렇게 호들갑을 떨어댄 매스컴(언론)은 보도만 하면 끝이지만 피해를 고스란히 안아야 할 농촌과 농민은 어쩌란 말이더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