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은 전형적인 낙지철이고, 전라도 무안 뻘낙지. 세발낙지가 유명하다. 10월초에 입사동기 서너명이 무안 뻘낙지를 직접 공수받아 너무 맛나게 먹기도 했다. 아무리 매스컴에서 카드뮴이 어떻다고 하더라도 1년에 고작해야 몇번 먹을까 말까한 그 미각을 포기하고 싶지는 않다.
9월초 서울시 환경보전연구원은 "낙지 먹물과 내장에서 기준치 이상의 카드뮴이 검출됐다"고 발표해 파장을 일으켰다. 낙지 9마리를 가지고 실험한 후 이런 결과가 도출되었다는 것이다. 이 발표가 있은 후 낙지 주산지인 호남 어민들은 크게 반발했고 본격적인 낙지철을 준비했던 식당과 어민들은 마른 하늘에 날벼락식의 된서리를 맞은 거다. 피해 또한 그들의 몫이었다.
정부는 부랴부랴 대책마련에 나섰고, 식약청은 낙지 67마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낙지 머리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 라고 발표했으나 서울시의 발표가 있은 후의 일이라 국민들의 불안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았다.
10월초에 진행된 국정감사에서도 오세훈 서울시장은 어민들의 거센 항의와 식약청의 발표를 근거로 한 의원들의 질문에도 "과학적 진실은 타협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라는 말로 그의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그런 후 의원회관에서 무안 세발낙지를 의원들과 나눠 먹었다.

<출처 : 오마이뉴스>
어민들과 식당의 피해는 점점 커지고, 국민들은 낙지음식에 대한 불신이 높은 상태에서 서울시는 "낙지 소비 촉진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며, 낙지 상인과 어민 피해가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며 낙지 시식행사, 시청 구내식당 점심메뉴로 낙지 요리를 선보이는 '낙지데이'행사를 진행하는 등 사후약방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면서 오늘도 "낙지 내장 먹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없다" 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주장에 신빙성을 잃을 만한 사안이 돌출되고 말았다.
서울시 환경보전연구원에서 실험한 낙지에 원인이 있었던 거다.
서울시 발표에 대한 검찰조사결과,
 |
|
|
|
서울시 환경보전연구원에서 실험에 사용한 낙지 9마리중 7마리는 중국산, 2마리는 국내산이란다. 결국 서울시는 중국산을 실험한 후 결과를 발표한 꼴이 된 것이다. 물론 식약청에서 실험한 67마리의 낙지는 국내산이었다. |
|
|
|
 |
설령, 서울시의 발표가 맞더라도 나는 좋아하는 낙지를 계속 먹을 것이다. 매일 한마리씩 평생을 먹는 사람에게는 해로울 수 있다는 데 그것이 이유아닌 이유라면 낙지 먹는 것을 포기할 수 없음이다. ^*^
<일부내용 : 오마이뉴스 발췌>

<오우! 세발낙지, 젓가락에 돌돌 말아서 산 채로 한입에 쏘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