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인 섹스 - 일하는 뇌와 사랑하는 뇌의 남녀 차이
앤 무어.데이비드 제슬 지음, 곽윤정 옮김 / 북스넛 / 2009년 4월
평점 :
지금도 그렇지만 아내와 쇼핑을 하게 되면 충돌을 피할 수 없다. 내 입장에서는 필요한 물건을 사는데 있어 신속하다. 반면에 아내는 이것저것 매장을 돌아다닌다. 그리고는 처음부터 사지 않을 물건까지 구매한다. 더구나 빨리 계산을 하고 나가고 싶은데 누구한테 전화가 오면 시간가는 줄 모르고 머뭇거린다.
누구나 그렇듯 남녀의 차이는 알듯 하면서도 곤란하다. 알고자 하면 괜한 오해를 받기 쉽고 모르고 있다면 남녀의 심리에 대해서 문외한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남녀가 과학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앤 무어. 데이비드 제슬의『브레인 섹스』는 제목에 나와 있듯 뇌를 주제로 하고 있다. 흔히 섹스하면 남녀의 육체적인 만족으로 생각하는 게 보통인데 이 책은 뇌가 섹스의 주체라고 한다는 것이다. 비록 우리 몸의 구조에 있어 뇌의 무게가 남성이 1.4kg이며 여성이 1.2kg에 불과하지만 뇌의 역할은 특별하다.
가령, 앞서 나와 아내가 충돌하는 것은 단순히 심리적인 문제만은 아니다. 그 보다는 뇌의 구조에 있다. 보통 정보처리센터를 처리를 담당하는 곳이 뇌의 회백질이다. 그리고 이 정보처리센터 내에서 관계나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부분은 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남녀의 뇌 구조에 있어 남자의 회백질 양은 여자보다 6.5배 많다. 반면에 여자는 백질이 남자보다 거의 10배는 많다.
또한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신경섬유 다발인 뇌량(corpus callosum)이 남녀의 차이를 반영한다. 즉 남자의 뇌량은 얇은 반면에 여자의 뇌량은 두껍다. 이로 인해 남자는 각각의 활동을 뇌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통제한다. 그러나 여자는 같은 활동을 양쪽의 뇌에서 통제한다.
그런데 이 책에서 흥미로운 사실은 호르몬에 있다. 흔히 남자는 테스토스테론, 여자는 에스트로겐이라는 호르몬이 행동을 통제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또 하나있다. 그것은 바로 남녀의 성별을 좌우한다는 것이다. 성별의 차이는 아버지의 X 염색체, 어머니의 Y 염색체에 있다.
그러나 저자는 유전자만이 아기의 성별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라고 말한다. 성을 결정하는 데 다른 요인인 호르몬이 작용하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태아의 유전자 형성과 상관없이 남성 호르몬이 자궁 속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남자가도 되고, 남성 호르몬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여자가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남녀의 뇌구조 및 호르몬의 영향으로 일하는 뇌와 사랑하는 뇌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여성이 남성만큼 숫자를 잘 읽지 못하는 반면에 사람을 더 잘 읽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