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444753.html

대형서점인 ㈜영풍문고와 ㈜알라딘커뮤니케이션이 납품업체인 출판사에 수억원대의 판촉 비용을 떠넘겨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 조처를 받았다.

공정위는 “영풍문고와 알라딘커뮤니케이션이 납품업자들에게 판촉비용을 부당하게 강요하고 서면계약 체결 의무를 위반한 행위를 적발해 두 회사에 시정할 것을 명령했다”고 20일 밝혔다.

영풍문고는 지난 2008년 4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모두 10차례에 걸쳐 자체 판촉행사를 실시하면서 출판사 289곳에 판촉비용 9400만원을 부담하도록 강요했다. 사전에 판촉행사에 따른 예상 이익 및 판촉비용 분담비율 등에 대한 서면 약정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알라딘커뮤니케이션도 같은 기간 동안 총 89회의 판촉행사를 실시하면서 446곳의 출판사에 별도의 서면 약정 없이 5억9000만원어치의 판촉 비용을 부담하도록 했다. 알라딘은 직매입업체와 판매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합리적 조건을 사전에 기본 계약서에 명시하지 않고 판매장려금 2100만원을 수령해 부당하게 이익을 챙기기도 했다.

아울러 두 회사는 출판사와 신규 계약을 체결하면서 계약기간과 납품조건, 반품조건 등 기재사항을 빠뜨리거나 서면계약서를 주고받지 않았다. 알라딘의 경우 2008년 4월~2009년 6월 사이에 서면계약서를 교부하지 않은 출판사가 무려 5682곳이나 된다. 거래품목 및 수량, 거래가격, 대금지급방법, 반품조건 등이 서면계약에 명시되지 않아 출판사 권리 보호가 어려운 실정이었다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
비정규직 문제로 한바탕 소란스러웠고.... 이젠 공정거래 문제까지 발생하는군요
알라딘에 대한 환상은 없지만, 실망은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출판사와 공생하지 않는 유통업체라.... 이거 웃기는 얘기 아닌가요?
 
알라딘의 공식입장 : blog.aladin.co.kr/cscenter/4208365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철나무꾼 2010-10-21 09: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진짜 알라딘에 대한 환상은 없는 1人이지만,이건 정말 '지.대.루'웃기는 얘긴걸요~

머큐리 2010-10-22 00:01   좋아요 0 | URL
안타깝기도 합니다...--;

Alicia 2010-10-21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거 한겨레서 방금 봤어요. 아무래도 타대형서점보다는 규모가 작다보니 이런저런 불법관행이 있는 것 같아요. 그래도 실망입니다 정말. 알라딘이 이념을 소비하지만 않았더라도 실망이 지금처럼 크진 않았을 거에요.

머큐리 2010-10-22 00:02   좋아요 0 | URL
서점은 서점일 뿐이죠..거기에 뭔가를 더 요구하는건 욕심인거 같아요...

순오기 2010-10-21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이라고 영리를 목적하는 사업체인데 환상을 갖는 우리가 웃기는 일인지도 모르지요.ㅜㅜ

머큐리 2010-10-22 00:03   좋아요 0 | URL
맞아요 누님...어쩌면 환상을 가졌지에 더 화가나는지도 모르겠어요..--;

파란생각앤 2010-10-21 1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책값이 비싸지는 이유 가운데 하나라고 하네요..슬픕니다..

머큐리 2010-10-22 00:04   좋아요 0 | URL
슬픈일이죠...소비자도 무조건 싸다고 좋아하는 나쁜 관행을 버려야 할 텐데요..그게 쉽지 않으니 더 문제일 수 있다고 봅니다.

2010-10-21 12: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머큐리 2010-10-22 00:04   좋아요 0 | URL
절대 그런일 없을 겁니다...ㅎㅎ

글샘 2010-10-21 2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송은 되고, 시앤 그룹은 안 되고,
교보는 되고, 영풍은 안 되고,
누군 되는데, 민주당쪽 지자체장은 안 되고,

뭐, 알라딘이라고 깨끗하리란 건 아니지만, 알라딘이 젤 사기꾼 인터넷 서점인 건 아닐텐데...
하도 맞는 놈만 맞으니깐, 이제 <공정>한 뉴스는 생각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머큐리 2010-10-22 00:06   좋아요 0 | URL
일단 잘못한건 잘못한 것이니까요...더 나쁜 놈이 있으니 난 괜찮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더 나쁜놈은 물론 더 나쁜놈이고 잘못한건 잘못한게 맞다고 봅니다. 다만, 밝혀지지 않은 권력관계는...글세요. 알라딘이 그렇다고 다른 서점들을 더 깨끗하다고 볼 사람들은 없을것 같아요...^^;

귀를기울이면 2010-10-21 2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에게는 출판사가 5600여곳이나 된다는게 더 놀랍군요. 제가 다니는(업종은 알라딘과는 전혀 다르지만)회사에서도 얼마전까지 서면계약없이 착수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전전긍긍했었기 때문에 고만고만한 출판사들 5천곳하고 서면계약하기가 어땠을지 짐작이 조금은 갑니다. 그러나 아무리 어렵거나 관행이라 해도 약자 입장에서 보면 횡포가 될수 있죠. 해명을 보기는 했지만 기사가 괜히 나간건 아닐꺼라 생각합니다. 좀 더 긴장해야 할겁니다.

머큐리 2010-10-22 00:08   좋아요 0 | URL
판단하기 어려울땐 약자를 기준으로 하면 된다고 봅니다. 알라딘도 약자이겠지만, 소규모 출판사에 비해서는 강자임이 틀림없고 관행이라지만 변명이 구차해 보입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좀더 나은 서점이 되었으면 하지요.

2010-10-22 10: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