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과 다윈의 시대 - 인간은 창조되었는가, 진화되었는가?
EBS 다큐프라임 <신과 다윈의 시대> 제작팀 지음 / 세계사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논점은 명확하다.  

진화론이냐 지적설계론이냐?
인간이 혹은 생명이 진화했다는 사실을 믿느냐 아니면 알 수는 없지만, 보다 차원높은 존재의 설계에 의하여 설계되었음을 믿느냐는 것인데... 만일 다큐라면 어느 한 쪽의 손을 들어주는 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한다. 그냥 두리뭉실하게 범주의 차이에 의한 서로간의 소모적인 차이라고 해 버린다면 굳이 시간과 정성을 들여 다큐를 제작할 일도 그것을 책으로 낼 일도 없을 것이다.  

다큐를 제작하기 위해 인터뷰를 한 인물들도 쟁쟁하다. 소위 진화론의 스타 저술자들은 거의 다 망라되었고, 지적설계론의 거장(사실 난 이들이 누군지 잘 모른다. 별로 알아야 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들도 빠짐없이 인터뷰를 했다. 그리고 나서 내리는 결론이 그냥 그렇게 봉합이라면 그건 좀 실망스럽지 않을까? 

그럼에도 과학과 종교가 대립하는 것이 누구때문인지 암암리에 드러난다. 근본주의자들 기독교인 중에 철저하게 축자무오설에 입각하여 성경을 해석하는 이들이 이 논쟁의 촉발자이고 진화론자들이 종교를 극도로 거부하게 만드는 사람들이다. 이슬람교도 별 다르지 않다. 종교의 비의성과 상징성을 인정하지 않고 극단적인 믿음을 강요하는 자들에게 진화론이란 척결해야 할 무신자들의 신앙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다만, 지금은 종교의 시대가 아닌 과학의 시대이고 그들의 도전은 과학의 모양새를 가장하고 있을 뿐이다.  

진화론이 그저 그런 과학이었다면, 아마 종교와 대립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진화론이 이 사회에 끼친 영향을 보면 그저 단순한 과학이라고 치부하기 힘들 것이다. 진화론은 생물의 진화를 증명할 뿐아니라, 사회, 문화, 심리...이제는 모든 분야를 무섭게 잠식해 들어가는 토대가 되고 있다. 인간의 마음마저 진화의 산물이라는 선언은 종교인들을 발끈하게 만들만하다. 소위 물질적 세계는 과학이 정신적 영적 세계는 종교가 책임져야 한다는 암묵적 규칙을 무너뜨리고 당당하게 정신적 세계로 진군해 들어오기 때문이다.  

창조론과 지적설계론은 다르다고 한다. 창조론이 좀 더 기독교 창세기에 기록을 추종한다면, 지적 설계론은 굳이 하나님을 설정하지 않는다. 신이라고 꼭 부르지 않지만 생명를 설계한 어떤 존재를 상정한다. 그것이 알라든 하나님이던 고대의 어떤 신이던 상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그런 존재가 있음을 과학의 이름으로 확인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지적설계론을 채택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근본주의적 기독교인들이라는 사실은 바뀔 수 없다고 본다.  

진화론과 지적설계론의 대립은 무신론과 유신론의 대립으로 볼 수 있고, 유물론과 관념론의 대립으로도 볼 수 있으며, 전혀 범주가 다른 과학과 종교가 논쟁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 책은 결국 범주가 다른 두 분야의 대립으로 간주하며, 계속해서 종교와 과학의 올바른 자리매김에 대한 논지를 이어가려고 한다. 왜 그럴까? 그것이 아쉽다는 것이다. 

우회한다고 진실이 가리워지는 것은 아닐진대... 두루뭉실한 결론은 이 책의 최대 단점으로 자리잡지 않을까?  그래도 중간중간 논점에 대한 정리들은 참고할 만하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0-10-01 2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니얼 데닛'의 <주문을 깨다>랑 일맥상통 하는 걸요~

그리고 밑에서 두번째 줄 '두루뭉술'이 맞는거래요.

머큐리 2010-10-02 00:42   좋아요 0 | URL
땡스에요..양철댁..
이 책에서도 대니얼 데닛은 중요한 진화론자로 나오지요..ㅎㅎ
도킨스를 지지해서 굴드에게 욕을 좀 먹었던 내용도 나오고..진화론자들도 치열하게 싸우던걸요..^^

마녀고양이 2010-10-04 0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처드 도킨스의 최근작을 못 읽어봐서 방향을 모르겠지만,
예전 <눈먼 시계공>에서는 지적설계론과 비슷한 뉘앙스가 있었죠.

진화란게 방향성을 갖고 있는듯 하다는 그런 것. 눈의 진화가 예로 나왔구요.
무작위 진화로 현재의 생물 기능이 과연 나올 수 있었겠느냐.. 이게 논점이었습니다.
갑자기 페이퍼를 읽고 리처드 도킨스의 최근 책을 빨리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