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 국민, 국가, 고향, 죽음, 희망, 예술에 대한 서경식의 이야기 철수와영희 강연집 모음 4
서경식 지음, 송현숙 그림 / 철수와영희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경식 교수가 한국에 잠시 머무는 동안 사람들과 만나 세미나 및 강연을 한 내용이 책으로
엮어져 나왔다.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에 서술된 강연 내용은 서경식이라는
재일조선인이라는 존재의 위치가 가져온 변방적 사유를 온전히 드러내고 있다.  

디아스포라 지식인이 생각하는 '국가', '국민', '고향', '죽음' '희망', '예술'은 일상적으로
획일화된 사고에 충격을 가한다. 더구나 한국 사회가 무기력해 보이는 일본 사회를 점점 닳아
간다고 느껴진다는 서교수의 지적은 미래에 대한 전망에 많은 고민거리를 던져준다.
물론 자민당 독재를 끊어낸 일본인들의 쾌거가 얼마전에 있었다고 하지만, 사실 좀 더 두고 관찰
할 내용이기에 뭐라 말하기 어렵기는 하다. 다만, 일본을 따라가고 있는 모습에 많은 걱정을 하는
서경식 교수는 이번 사태진전에 대해 어떤 의견을 내놓을지 궁금하긴 하다.  

디아스포라의 시선은 주류에게 곤혹스러움을 준다. 나 스스로가 변방이라고 생각하지만, 진짜
변방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나 역시도 주류임을 인정
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주류라고 하는 건 결국 소수자나 변방자에게 익숙하지 않는 일들을
너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람이 결국 주류라는 이야기다.
집단에 매몰되지 말고 철저한 개인 존재를 기반으로 변화를 일궈야 한다는 서경식의 논리는 차
가와 보이면서도 합리적이다.  

국가와 국민이라는 개념도 자연스럽게 생긴 것 처럼 보이지만, 그 국가와 국민에 속하지 못한
주변을 생각하면, 결코 합리적 개념은 아닐 것이다. 전체주의적 함정에 빠져 국가의 이익이
자신의 이익인 것 처럼 포장되는 사회에서 국가를 냉정하게 짚어 보고 사유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더구나 주류들이 국가의 존재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 과연 당연한 것인지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의 개념도 마찬가지다. 국민을 한정지을 때 그 주체는 국가가 될 수 밖에 없고, 국가가 인정
하지 않는 사람은 국민이 될 수 없다. 태어나면서 한 국가의 성원으로 자란 사람은 그 사실에
위화감을 느끼지 못할지는 몰라도 재일조선인아니 이주자는 국민의 허구성에 대한 국가의
폭력을 가감없이 기억할 수 밖에 없다. 문제는 그러한 소수자와 변방의 문제는 언제나 자신에게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극적으로 방어해야 할 문제가 아닌 적극적으로 소수자나
변방자의 입장을 반영해야 한다.  

예술도 마찬가지다. 진실을 알리지 않고 그저 예쁜 것만 표현한다면 그건 예술이 아니다. 아니
형식은 갖추었는지 몰라도 진정한 미적 의식이 표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불편함에도 그것을
직시하도록 만드는 힘에 미적인 힘이 있다고 서교수는 주장한다. 이 미적 의식에 관한 논의는
'고뇌의 원근법'에서 논의를 심화하고 있다.

희망도 마찬가지다. 막연한 기대에 대한 거부감이 이 주제를 관통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근대를 규명하기 위한 '루쉰'의 분석에서 나오는 희망은 절망을 긍정하면서도 결국 가야 할
길을 가는 자를 드러내고 있다. 희망은 바라는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희망이 거의
없음에도 묵묵히 가야할 길을 감으로 길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죽음에 대한 사고도 당당하다. 살아있는 자는 태어남을 선택하지 못한다. 자신의 의지로 태어
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죽음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자살이 좋다 나쁘다를 떠나서 삶을
결단해서 놓아 버리는 자세는 죽음으로 삶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것은 개인의 주체적
결단에 대한 사고를 나타낸다고 본다. 죽음을 미화하진 않지만, 죽음의 결단도 없는 주체의
고뇌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말에는 많은 공감이 간다.  

그는 이 사회의 지식인이 없어지고 스페셜리스트 이른바 전문가가 등장하는 것에 많은 걱정을
한다.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사명감 보다, 전문가로서 행정관료들이 넘쳐나고 그것이 당당해
지는 사회는 결국 병든 사회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학의 보수화는 결국 진정한 지식인이 줄어들고, 관료적 전문가들이 넘쳐나면서 발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더불어 민주주의와 개혁에 대한 열망도 총체적 전망이 아닌 공정한
경쟁을 위한 준비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결국 신자유주의적 질서을 쉽게 용인하게 된 것은 아
닌지 다시 한번 고민하게 된다.

결국 타인의 타인됨을 먼저 인정해야만, 그 타인과 공존할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다.
타인을 인정하지 않고 배척하는 주입식 이데올로기가 스스로를 에워씨지 않은지 항상 점검하고
또 반성해야 한다. 결국 개인의 발전없는 공동체의 발전은 허상일 뿐이니까... 
그럼에도 개인의 혁신과 반성을 요구하는 서교수의 강조는 인정하나, 사실 힘들어 보이고 이상
처럼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내가 주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일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orgettable. 2009-09-20 16: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요즘 다방면의 책을 많이 읽고 계시군요.
이 책 궁금하기는 한데, 너무 이상적이라는 의견도 많아서 쉽게 장바구니로 들어가진 않네요 ㅎㅎ

머큐리 2009-09-21 18:11   좋아요 0 | URL
그래도 서경식 교수님 책은 무조건 읽으셔야 할 듯 합니다..ㅎㅎ
뽀님~ 언능 읽으세요~~~

무해한모리군 2009-09-22 08:08   좋아요 0 | URL
우리가 여성주의 시점으로 쓰여진 책들을 보면 불편하고 이상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서선생님 글도 그런 식의 불편함이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흔히 하는 말로 다른 색깔 안경을 썼을 때의 불편함이지요.. 우리가 주류에 있다는 생각이 들면 들수록 더 많이 읽어야할 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만 저는 만년 비주류지만 서선생님 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