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빠진 아이 구하기 - 어떻게 세계의 절반을 가난으로부터 구할 것인가
피터 싱어 지음, 함규진 옮김 / 산책자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문제는 간단하다.  

어려움에 처해 있는 이웃이 있다. 조금만 도움을 준다면 그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으며
그들이 자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간단한 치료만으로 불구를 고치고 새 삶을 살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그러니 그들을 위해 도움의 손길을 보내자 !!!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윤리적 가치에 대해 동의는 한다. 어려운 사람들을 구해야 하고 도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거기에 단서 하나 ... 그러나 나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유는 여러가지다. 부채가 있을 수도 있고, 질 높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최소한의 자원이
필요하니까, 또는 내 자식, 내 부모를 먼저 생각해야 하니까.... 

그러나 부유한 사회에서 사는 사람들은 냉철하게 돌아봐야 할 사실이 있다.
무엇보다  부유한 사회는 가난한 사회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이고 이것은 윤리적 요청외
에도 지금까지 저개발로 고통받도록 경제를 왜곡해 왔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책임과
현재에도 전체 지구의 자원을 마음껏 가져다 쓰면서 벌어지는 여러가지 환경재앙등에 대한
사실 상 책임이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흔히 여러가지 이유에서 기부를 하지 않는 것은 윤리적으로 옳지 못하며
자신의 소득의 5%만 기부해도 세계에서 빈곤을 몰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은 실천이 문제다.
자신의 소비 중에 조금만 덜 필요한 부분을 아낀다면, 소득의 5%는 자신의 삶에 그리 커다란
장애는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다만, 이렇게 기부하도록 끌어낼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그것이 하나의 사회적 윤리로 통용되는 문화가 중요한 것이다.
지금까지 자신이 얼마나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부를 해야하는 지 몰랐던 사람들에게 이 책이
전하는 메시지는 간단하면서 실용적이다. 자신의 소득의 5%를 일단 기부하라는 것이다.
더불어 더 많은 소득이 있는 사람은 더 많이 기부하라는 얘기다.  

물론 개인적 기부 행위가 사회적 제도를 통한 개선보다 효과가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은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구조적인 착취를 하여 가난을 지속시키
는 선진국이 제도적 개선이 아닌 개별적 기부로 가난을 물리치려고 하는 것에는 값싼 동정심
이상이 느껴지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여기서 피터 싱어는 그 구조적 문제를 생각하기전에
일단 기부할 수 있는 만큼 기부하라고 한다.  

여기서 한 걸음만 더 나가면 좋을텐데... 그 한결음이 문제인 듯하다.
그래도 기부만 제대로 한다면 굶주림은 없어질 것이란 예상은 개인적 기부의 효력도 만만치
않음을 보여준다. 항상 문제는 실천이다.
그리고 실천은 결국 가치의 문제인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9-09-14 2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이 책 읽으셨군요. 개인의 기부에 의존하는 싱어를 비판한 학자가 있습니다. <세계시민주의>를 읽어보세요. ^^ 요고 리뷰 곧 올릴거에요.

머큐리 2009-09-14 22:27   좋아요 0 | URL
ㅎㅎ 항상 아프님 따라 책을 읽는 것 같아요...

Forgettable. 2009-09-17 09: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계시민주의라- 흥미롭군요 ㅎㅎ 제목에서부터 실천윤리학자라고 할 수 있는 피터싱어에 반하는 삘이 팍 오네요,,

피터싱어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철학자 중에 한명이지요. 간단명료한 이야기를 어쩜 그리 설득력있게 할 수 있는지. 능력자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