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비닛 - 제12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언수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캐비닛』을 읽고난 후의 느낌이랄까, 흔한 감상이랄 것은 조금 남달랐다는 정도이다. 조금 독특한 소설이라고나 할까. 이 소설을 <제12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으로 직접 고른 한 문학평론가의 말처럼 "또 한 명의 괴물 같은 작가를 갖게" 된 거 같지는 않다. 평범의 언저리 그 이상이었다고 하는 것이 그 작가의 역량이 범인의 그것보다 높다고 보이지 않는다는 얘기다. 이 소설이 평범의 언저리에서 조금 벗어난 것은 작가의 어떤 필력때문이라기 보다, 이 소설의 이야기가 된 소재의 약간의 독특성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작가는 우리에게 '캐비닛' 하나를 던져주고는 뭐 특별할 것 없은 없다고 말한다. "우아하고 낭만적인 상상을 떠올리는 짓은 일찍감치 집어치우""볼품없고 낡아빠진 캐비닛", "상상할 필요도" 없는 "평범한 캐비닛"이라고 수차례 말한다. 그럴 바에야 왜 그따위 '평범'하고 특별할 것 없는 '캐비닛'을 던져주는 것인가? 여기에 조금은 호기심이 발동한다. 그래서 그 '캐비닛'을 열어보게 하는 것이다. 뭐 '칠천팔백예순세 번'의 자물쇠를 열려는 시도 같은 것은 우리에겐 필요없었으니, 호기심의 발동은 즉각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겠다.

이 '캐비닛'을 열고 부터는 사실 흥미로웠다. '루저 실바리스'와 '심토머'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허허 이게 무슨 소린가 하는 궁금증들을 유발하고 있다. "우리가 이해하건 이해할 수 없건 상관없이, 우리가 부정하고 있는 환상과 마법은 우리 삶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 그것은 이 도시에서, 각자의 집에서, 심지어 우리 몸속 깊은 곳, 대장이나 맹장 같은 곳에서 매순간 일어나고 있으며 또 우리의 삶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이 소설에서는 증명해 보이겠다는 듯 하다.

에이 그런게 어딨어? 하고 우리는 처음엔 반문한다. 그렇다고 이 소설을 다 읽은 후에도 그 반문이 역전되는 것은 아니다. 조금 누그러진다면 또 모를까. "에이 그런게 어딨니? 있다면 뭐 할 수 없고." 사실 이 소설속의 이야기들을 우리가 믿기에는 너무나도 허무맹랑할 뿐이다. '새끼손가락에서 은행나무가 자라는 남자' 이야기라든가, 샤워를 하고 나오자 자신의 성기가 사라져버렸다는 남자', '시간을 잃어버리는' 사람들, 도플갱어, '고양일로 변신하고 싶'은 사람 등등, 별의별 특이한 인간군상들이 등장한다. 이걸 어떻게 믿어? 난 도무지 못 믿겠다. 하지만 이런 일이 정말로 있을까 하는 의문이 조금은 일었다고 해야겠다. 그런 의문이 이 소설을 끝까지 읽게 했던 것이다.

작가는 이 이야기들은 죄다 '거짓말'일 뿐이라고 말하지만, 아니 죄다 거짓말이지만, 그 안에 담겨있는 이야기들 속에는 혹시 '나도?'라는 물음을 하게 만든다. <저도 심토머인가요?>란 장에서 그 물음에 대한 답이 나온다. 그 답은 '아직'은 아니라는 것이지만, 조금만 더 있으면 우리도 '심토머'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는 듯 하다. 하기사 이 소설의 화자 '공대리'도, 그리고 '손정은'도 조금씩은 '심토머' 기질이 보이고 있다. 나도 어떤 점에서 '심토머'일 수 있는 부분들이 있는 듯도 하다.

우리는 나름대로 조금씩은 '특이한' 부분들이 있다. 남들과는 다른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이고, 어느 한 부분이라도 달라야 하는 것이 이땅을 살아가는 사람의 당연지사 아니던가? 그런데도 모든 것은 획일화 표준화 하려는 이 사회에서 저마다 조금씩의 '심토머' 기질을 숨기고 잘라내려고만 한다는 것은 잔인한 처사가 아닐까? "대표성의 잣대에 기대지 말고 개별성의 잣대로 사람을 대해달라는 것이다. 나는 그것이 성숙하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에 대한 본질적인 존중이 우리의 세상을 얼마나 아름답게"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소설은 그저 '평범한 캐비닛'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안에 담은 것들은 특이와 이상(異相)과 다른 것들로 가득 채워져 있지만,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무언가는 지극히 평범한 교훈에 다름 아니라는 얘기인 것이다.

이 소설 전체의 이야기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한다. 특이한 것들을 모아놓고는 이것은 하등 특이할 것이 없다는 작가의 '구라' 속에는 다른 것을 인정하고 존중한다면 그 '특이'는 저마다 가지고 있는 '평범'의 다른 모습일 거라는 얘기 아닐까? 나는 그렇게 본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의 다양한 환상적 상상적 소재들은 소설의 흥미와 재미를 이끌어 내기에 효과적인 것들이다. 그래서인지 이 소설을 읽어내는데 그리 지루함을 느끼지는 못했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 느꼈던 여러가지 아쉬움들로 인해, 그런 흥미와 재미에도 불구하고 다소 높은 평가를 하기에는 석연찮을 수 밖에 없었다. 여러 심사위원들이 그런 아쉬움들을 몇가지 지적하고 있지만, 어떤 치밀한 구성이나 이야기의 개연성 등은 소설의 긴장감을 떨어뜨리고 있다. 그러니까 이야기의 전개의 치밀함에서 오는 소설에 대한 흡인력보다는 이야기들의 특이한 소재의 흥미성만 강하게 남는다는 얘기다.

심사위원 중 하나였던 은희경의 심사평을 들어보자. "몇 가지 아쉬움을 말하자면, 우선 소설이 좀 길다. 재미있는 이야기라고 해도 길면 늘어지게 마련이다. 쓰는 사람이 재미있어야 재미있는 소설이 나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늘 읽는 사람을 의식하여 독자보다는 늦게 그리고 조금 웃어야 톤과 길이의 균형을 잃지 않는다. 이 작품은 더구나 병렬형 구성이다보니 독자는 금방 패턴에 익숙해지는데, 이미 이 작품과 낯을 익힌 독자에게 자기 소개를 하는 듯한 초기 설명을 반복할 필요는 없다. 중간중간 화자가 권력자가 되어 훈계하는 내용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는 부분이 있는데 이 역시 작가가 화자와 동일시되는 부분에서 좀더 냉정해져야 하지 않나 생각된다."

이 소설은 소설로서는 다소 실패한 것이 아닌가 한다. 누구의 말처럼 "또 한 명의 괴물 같은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보다 소설자체의 내구성을 갖춰야 하지 않을까? 아쉬움이라면 그런 아쉬움이다. 특이한 것들을 갖다 놓았지만 뻔한 이야기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 그것이 소설의 내구성이라고 한다면 그런게 좀 부족하다 싶은 것이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읽었고, 그래서 읽어난 후의 아쉬움이 크다. 김언수라는 소설가에게 그 아쉬움의 폭만큼의 '기대'는 남겨 놓고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1-09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