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 De optimo reipublicae statu, deque nova insula Utopia 토마스 모어 Thomas More,1516
출판사:삼성출판사/번역:노재봉 /발행일:1982
,
인류의 이상사회를 그리는 유토피아 소설의 시초이자 문학장르 중 [근대소설]의 효시로, 또 과학소설(SF)의 시초로도 간주되 는 고전이다. 간접적으로 중세 유럽, 특히 영국사회를 비판했다. 히스로디라는 뱃사람이 이상국가인 [유토피아]의 제도, 풍습들 을 듣고 기록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종교적 관용, 남녀평등, 평화주의 등등의 르네상스 휴머니즘 사상이 펼쳐지는, 사회사상사 적으로도 고전에 속하는 작품이다. .(출처:멋진 신세계 동인지)

16세기 유럽의 부패한 왕정과 사유재산제의 폐해를 풍자하고, 가상의 이상사회를 통해 현실 개혁을 역설한 고전. 서울대 주경철 교수가 현대 언어감각에 맞추어 풀어서 번역하였으며, 상세한 각주와 해설로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은 토머스 모어가 라파엘 히슬로다에우스라는 포르투갈 선원을 만나 나눈 이야기를 그대로 옮겨 적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가상의 인물인 히슬로다에우스는 신세계를 여행하던 중 유토피아 섬에서 5년간 생활하다 온 것으로 묘사된다. 유토피아는 당시 유럽이 안고 있는 사회문제가 끼어들 틈이 없을 정도로 풍요롭고 평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제도와 생활방식을 갖춘 이상세계로 그려진다.
가공의 인물의 입을 빌려 현실을 비판하고 새로운 사회의 모습을 그려낸 <유토피아>는 시대의 문제에 대해 투철했던 한 인물의 사유의 힘을 보여준다. 플라톤의 <공화국>, 프랜시스 베이컨의 <새로운 아틀란티스> 등 유토피아 사상을 담은 저작들과 토머스 모어의 편지가 참고자료로 함께 수록되었다.(출처:알라딘)
   
유토피아는 사람에 따라서는 sf소설로 보는 분도 있는 작품인데 sf소설의 하부쟝르의 하나인 유토피아(이상향)에 포함되는 작품이이라고 할수있다.
by caspi

S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