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란 무엇인가?

SF의 시조(始祖) -- 토마스 모어, 메리 셸리, 휴고 건즈백
그러면 SF는 과연 무엇일까요? 언뜻 생각하면 쉬운 것 같지만, 사실 따지고 들면 이 문제는 꽤나 어렵습니다. 그저 우주선이나 외계인이 나온다고 해서 다 SF라고 할 수는 없거든요.
과연 SF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한 가지 방법으로, 먼저 'SF의 시조'들을 알아봅시다. SF문학의 시초를 누구의 어느 작품으로 보느냐에 따라 이 장르를 보는 관점이 각각 구체적인 차별성을 지니며 드러나게 되거든요. SF의 시조는 대략 다음의 세 가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SF를 ‘합리적인 가상소설의 범주’로 생각할 경우, 1516년에 토마스 모어가 발표한 「유토피아」가 '최초의 과학소설'로 꼽힙니다. 이 작품은 집필 당시의 환경을 고려할 때 매우 과학적인 형식논리를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적으로도 괄목할 만한 진보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관점에서 말하는 '가상소설'이란 ‘시공간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던 배경과 이야기를 채택하는 작품’을 의미하지요. 이것은 대중적인 장르소설로서의 SF가 아닌 주류문학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기법입니다.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을 비롯하여 남미 작가인 마르케스나 보르헤스, 그리고 오웰이나 헉슬리 등이 이 계열의 주요 작가입니다.

두 번째로, 현대 SF소설의 형식을 완벽하게 배태하고 있는 작품으로, 1818년에 발표된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듭니다. 산업혁명 이후 발달한 과학기술 이론을 반영하여 내용 묘사에 사실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은유나 풍자, 수사 역시 빼어나게 구사한 걸작입니다. 아이작 아시모프나 브라이언 올디스 등 많은 사람들이 이 관점을 지지하고 있지요.


세 번째는, 오늘날 추리소설 등과 함께 대중적인 장르로 자리 잡은 SF, 즉 '장르 SF'의 시조로 꼽히는 작품으로서, 1911년 미국의 휴고 건즈백이 자신의 잡지에 연재하기 시작한 「랄프 124C41+」라는 소설(사진오른쪽, 사진은 소설에 들어간 삽화)이 있습니다. 이 작품은 작가가 처음부터 발달하는 과학기술의 미래상을 일반 대중들에게 전달할 목적으로 집필하고 상업적으로 출간한 것이며, '사이언티픽션(scientifiction)'이란 말을 처음 만들어낸 것도 건즈백입니다.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SF문학상인 '휴고상(Hugo Award)'은 바로 이 사람의 이름을 딴 것이지요.



휴고 건즈백은 1926년에는 세계 최초의 SF 전문잡지인 <<어메이징 스토리(Amazing Stories)>>를 창간했는데, 이에 대해 독자들이 열렬한 반응을 보이자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는 여러 가지 SF잡지들이 우후죽순처럼 쏟아져 나와 이른바 '펄프 매거진(잡지들의 종이 질이 나빠서 이런 별명이 붙었습니다)'의 시대를 열게 됩니다. 이 시기부터 크게 인기를 끈 것이 이른바 '스페이스 오페라'라고 불리는 우주 활극물로서, 이런 소설들의 기본 틀은 근육질의 미남 주인공이 우주를 누비고 다니며 미녀를 보호하고 모험과 로맨스를 펼치는 영웅담입니다. <스타워즈>야말로 바로 이런 스페이스 오페라의 전통을 충실하게 이어받은 작품이지요.

(사진 위는 펄프SF잡지들 )


뉴 웨이브 SF--‘innner space’에 대한 관심

현대 SF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또 한 가지 열쇠는 '뉴 웨이브 SF'라는 것입니다. 기존의 SF가 '바깥 우주(outer space)'를 탐색하는 것이었다면, 뉴 웨이브는 인간의 의식적인 내면세계를 탐구하는 '안쪽 우주(innner space)'로 눈을 돌린 것입니다. 뉴 웨이브SF는 사회의 구조적인 부조리나 인간의 내면세계, 심리 등을 SF적인 기법으로 새롭게 접근, 해석하려 시도했던 흐름으로서, 1960년대를 전후하여 영국과 미국 등지에서 활발하게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난해하고 실험적인 성격이 강해서 기존의 SF 독자들에겐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요. 그래서 결국은 뉴 웨이브 SF의 대표작이라 할 만한 뚜렷한 작품도 없이 몇몇 작가들만이 주목을 받다가 흐지부지 SF의 주류에 편입되었지만, 결과적으로는 현대 SF문학이 질적으로 성숙된 면모를 갖추는 데 커다란 기여를 했습니다. SF를 'Speculative Fiction', 즉 사색(思索)소설, 추론(推論)소설, 또는 사고(思考)소설이라는 새로운 풀이로 보게 된 것도 바로 그 시기부터입니다. 좀 어렵지요?

그래도 SF는 단순히 과학기술의 계몽 수단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고유의 정서를 가진 하나의 예술 장르라는 사실만 새기면 됩니다. 다음에는 SF와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해 재미있는 사례들을 들어가며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