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내성의 등장
세계 추리소설의 역사는 160여 년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추리소설 역사는 얼마나 될까? 서양의 추리소설의 개념에서 작품으로 인정되는 것들이 등장한 시기는 1930년대로 보면 틀림이 없을 것 같다.
지금까지 서양 추리소설의 아버지는 에드가 앨런 포이고 한국 추리소설의 아버지는 김내성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여러 자료가 발견되면서 한국에서 김내성보다 먼저 추리소설을 발표한 작가가 몇몇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내성은 1935년 <타원형 거울>(후로후이루 잡지)이라는 단편 추리소설을 일본에서 발표하였다. 상당 기간 동안 이 단편이 한국 최초의 추리소설로 알려져 왔다.
김내성은 1909년 평남 대동에서 출생하여 일본 와세다(早稲田) 대학을 졸업하고 문단에 등단, 대중작가로서 이미지를 굳혔다. <청춘극장> <인생화보> 등이 그가 쓴 대중소설의 대표작이다. 그는 평생 동안 단편 11편과 장편 4편을 발표했다. 1939년 조선일보에 연재된 <마인(魔人)>은 그의 추리소설의 대표작이 되었다. 이후 김내성은 1957년 경향신문에 <실락원의 별>을 연재하던 중 뇌일혈로 쓰러져 세상을 떠났다. 후에 그를 기리기 위하여 ‘김내성 문학상’ ‘김내성 추리문학상’ 등이 제정되었다. 1990년 계간 추리문학이 제정한 제1회 ‘김내성 추리문학상’은 필자의 <저린 손끝>이 수상의 영광을 안기도 했다.
유명 작가들의 추리 소설
그러나 김내성 이전에 우리 문단에 발표된 추리소설이 더 있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보존된 자료에 의하면 김내성보다 9년 앞선 1926년에 발표된 김응록의 <혈과 사(血과 沙)>가 있다. 이 소설은 서울 남산 공원에서 일어나는 연쇄살인 사건을 다루고 있는데, 친일 인사를 비판하는 내용이 있다 하여 일본 총독부에서 압수 보관해오다가 국립 도서관으로 넘겨져 2002년에 발견되었다.
이 외에도 1931년에는 작가 최독견이 <사형수>를 발표했다.
또한 김내성 이전의 작품 중에는 1934년 조선일보에 서동산(徐東山)이라는 이름으로 5월 16일부터 11월 5일까지 124회에 걸쳐 연재된 <염마(艶魔)>라는 추리소설이 있다. 작가 서동산은 한국 문단에서 특유의 현실 비판정신으로 풍자 소설을 구축한 작가 채만식의 필명이었다.
<염마>는 현대 추리소설로도 별 손색이 없는 치밀한 구성과 미스터리적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주인공으로 명탐정 백영호가 등장하는데 그의 행동이 셜록 홈즈와 비슷한 점이 많다.
백영호 탐정은 27세의 독신남으로 큰 재산가이며 스포츠로 몸을 단련한 인물이다. 응용화학 등에 상당한 지식을 가졌으며 권투의 달인이라는 점 등이 셜록 홈즈와 많이 닮았다. <염마>가 나오기 전 신소설 시대에 속하는 1918년에 ‘태서문화신보’ 등에서 셜록 홈즈의 번역 소설이 많이 연재되어 그 영향을 받았는지도 모른다.
“여보게 자네, 그 독자도 없고 한 소위 예술소설 다 집어치우고 내가 재료는 제공할 테니 탐정 소설이나 쓰게. 응? 나는 홈즈, 자네는 왓슨? 어때? 허허허.......”
“그까짓 탐정 소설을 쓰느니 자살하고 말겠네.”
“어쨌든 나는 탐정소설이 제일 재미가 있네.”
<염마> 속에 나오는 대화이다. 당시의 추리소설에 대한 사람들의 견해를 나타낸 듯 보인다.
역사를 더 들추어보면 한국 추리소설의 뿌리는 더 깊은 곳에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조선시대 영조 때의 암행어사 박문수가 최초의 탐정이었는지도 모른다.
<박문수전>을 살펴보면 고대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신통력이나, 귀신이 전혀 등장하지 않고 순전히 박문수의 두뇌와 재치로 범죄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장면이 많다. 이런 종류의 소설을 ‘공안 소설’이라고 하는데 <박문수전>은 공안 소설의 형태를 많이 갖추고 있다.
신소설 시대의 추리
1906년 ‘화성신문’에 발표된 <신단공안(神斷公安)>이라는 연재물은 재판관의 판례집 같은 것인데 추리소설의 요소를 많이 갖추고 있다.
이 무렵은 신소설 시대로서 본격 추리 소설이 등장하는데 바로 유명한 작품이 이해조(李海朝)의 <구의산(九疑山)>이다. 신소설은 고대 소설에서 현대 소설로 넘어 가는 과정에 쓰인 작품들로,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추리소설의 형식을 많이 빌려왔다.
그러나 <구의산>은 현대적 추리소설의 플롯으로서는 상당히 엉성하다. 특히 말미의 반전을 서술 형식으로 쓰고 있기 때문에 독자에게 전혀 재미를 선물하지 못했다. 마치 이몽룡이 일부러 거지 행색을 하고 동헌에 나타나는 것을 독자는 다 알면서 지켜보는 것과 같았다.
<구의산>은 시집 간 첫날밤에 신부가 깨어 보니 신랑의 목이 없어졌다. 첫날밤에 처참한 꼴을 당한 신부 ‘애중’이는 신랑의 복수를 다짐하고 남장으로 변장하고 범인을 잡으러 나선다는 데서 이야기가 진지해진다. 그러고 보면 한국 최초의 탐정은 여자인 셈이다.
이상을 살펴보면 1930년대에 우리 문단에서는 추리소설이 활발했다. 그 이후는 김내성의 독점 시대가 이어졌으며, 방인근 같은 작가도 많은 작품들을 내놓았다.
춘해(春海) 방인근(方仁根)은 1899년 충남 예산의 부농에 태어나 일본 주오(中央) 대학을 졸업한 뒤 문학에 투신하여 순수 문예지 ‘조선문단’을 창간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다. 그는 해방 후 혼란스러울 때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에 반대하여 민족 문학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또한 1934년에는 동아일보에 그의 대표작 <마도의 향불>을 연재하기도 했다.
1958년 김내성이 갑자기 세상을 떠난 뒤에도 방인근은 문단 활동을 계속했으나 가난에 찌들어 1975년 마침내 길거리서 숨을 거두는 비극적 최후를 맞았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