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詩作 - 테드 휴즈의 시작법
테드 휴즈 지음, 김승일 옮김 / 비아북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바라보고, 만지고, 냄새 맡고, 귀기울여 내 생각을 쓰는 일, 『오늘부터, 詩作』

 

 



 

『하나, 책과 마주하다』

일상의 모든 것들이 다 소재가 될 수 있기에, 평소 눈에 띄는 '소재'만 발견한다면 시를 쓰고 글을 쓴다.
한 자 한 자 써내려간 시는 어린 시절부터 써왔던 것 같다.
아마 어린 시절의 환경때문일 수도 있겠는데 그 때부터 유난히 생각하는 시간을 많이 가져서 그런 게 아닌가 싶다.
예전에 그런 질문을 많이 받았다. '무슨 생각을 그렇게 해?'
남들이 보기에 혼자서 생각해 보이는 것이 멍 해보일 수 있어 혼자서 생각하고 사유하는 시간을 꼭 가졌다.
공유하지 못하고 혼자서 품고있는 고민들이 많았기에 어쩔 수 없었던 것 같다.
생각이 정리되지 못하는 날이 갈수록 쌓여가지만 간혹 생각이 정리되면 글 혹은 시로 옮긴다.
글은 쓰다보면 모든 것을 다 토해내듯이 쓰게 되지만, 시는 모든 것을 드러내지 않아도 단지 함축적인 단어만으로도 그 당시의 내 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때는 숙제처럼 매일 일기를 써서 제출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옅은 웃음이 터진다.
그 날의 일을 함축시켜 시처럼 써서 내곤 했는데 선생님께서는 오히려 글 밑에 이런 말을 써주셨다. '하나의 시, 보는 재미가 있구나!'라고.
그 때 담임 선생님이 반 아이들에게 일부러 책을 읽어주시는 시간을 가지실 정도로 문학을 굉장히 사랑하시는 선생님이었는데 따로 불러내 책을 몇 번 선물해 주시기도 했고 좋은 말들을 많이 해주셨다.
이후 중학교 때 만난 국어선생님도, 고등학교 때 만난 문학선생님도 나에게 시를 써주시거나 문학작품 속 한 구절을 써서 선물로 주시곤 했는데 아마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때 만난 세 분의 선생님 덕에 문학을 더 사랑하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안타깝게도 초등학교 때 선생님과는 연락할 방도가 없어 연락하지는 못하지만 중학교, 고등학교 때 선생님과는 지금도 꾸준히 연락하며 생일날이면 항상 책을 선물해 주신다.
또 내 의식의 흐름대로 글을 적다보니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시'에 대한 기본서나 안내서같은 책을 꼭 읽어보고 싶던 중 테드 휴즈의 『오늘부터, 詩作』을 만나게 되었다.

테드 휴즈의 『오늘부터, 詩作』은 우리 일상의 모든 것들이 시의 소재임을 알려주며 '시'가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기본서같은 느낌을 준다.
뭐랄까, 읽다 보면 글을 쓴다는 것, 그 본질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책에서는 첫째 날부터 아홉째 날로, 동물 사로잡기, 바람과 날씨, 사람들에 관해 쓰기, 생각하는 법 배우기, 풍경에 대한 글쓰기, 소설쓰기-시작하기, 소설쓰기-계속하기, 가족 만나기, 달에 사는 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각 장이 끝나는 시점에 【시인의 노트】라는 부분이 있는데 실용적인 조언들이 담겨있어 포스트잇을 붙여놓고 글쓰기 노트에까지 옮겨 썼다.

관심사에 기여하게 되는 것은 '환경' 또한 한몫하는 것 같다.
테드 휴즈는 세 살 무렵부터 찰흙으로 동물 모형을 만들었는데 네 살 생일에 숙모에게 받은 동물 책을 보며 사진들을 베껴 그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여덟 살에는 공업도시로 이사를 하게 되었는데 기르던 고양이는 그곳이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그렇게 어슬렁거렸는데 반대로 그에게는 그 이사가 오히려 좋은 사건이 되었다고 한다. 바로 숲과 호수가 있는 시골 농장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소도시 출신인 친구들과 함께하는 것도 그의 삶이었지만 그것은 그저 한 부분이었고 대부분은 도시에서 떨어진 곳에서 또 하나의 삶을 꾸렸다고 한다. 이 두 삶이 섞이지 않게 따로 따로.
열다섯 살이 되었을 때는 동물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가 생겼는데 동물들을 그들의 관점에서 보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그 때부터 그는 시를 쓰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어떻게 보면 저는 시를 동물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시는 동물처럼 각자의 삶을 살아갑니다. 시는 누구하고도, 심지어는 그것을 써낸 시인과도 제법 분리된 채로 존재하죠. 또한 시를 불구로 만들거나 죽이려는 것이 아닌 이상, 다 쓰인 시에는 아무것도 덧붙일 수 없고 거기서 뭔가를 들어낼 수도 없어요.

포스트잇을 붙여놓은 유용한 내용들이 많아 모두에게 공유하고 싶어 리뷰에 다 담아볼까 생각했는데 아직 읽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예의가 아니기에 조심스레 마음을 접는다.
시를 쓰는 것 뿐만 아니라 글을 어떻게 쓰는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담긴 이 책은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참고로 이 책은 한 번 읽고선 리뷰를 쓰는 것이 아닌 두 번 읽고 쓰는 리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부터, 詩作 - 테드 휴즈의 시작법
테드 휴즈 지음, 김승일 옮김 / 비아북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모두가 겪는 시적인 경험이 한 가지 있죠. 좋든 싫든 시시각각 변하는 날씨 말입니다. 모든 사람이 인생에서 한 번쯤은 시 비슷한 것을 써본 적이 있을 거예요. 대단한 시라고 부를 수는 없어도 써놓고 보니 멋져 보이던 문장 같은 것 말이에요.

언어가 존재했던 이래로 작가들은 사람을 언어 속에서 살아 숨 쉬게 하는 방법을 찾으려 부단히 노력했답니다. 사람들이 과거에 써놓은 것들로부터 뭔가를 배울 수도 있겠습니다만, 사람들에 관한 글쓰기는 결국 여러분 모두가 스스로 익혀야 합니다.

누군가의 삶을 포착하기 위해 특정 디테일을 고르는 기술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말했다시피 누구나 새롭게 다시 배워야만 하죠. 그 사람이 평소 어떻게 보이는지 단순히 묘사하기만 해서는 생생한 인물을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책결산 | 2019년 9월

 

 

 

 

 

9월

 

『피어클리벤의 금화 1』
『한나 아렌트』
『아이들과 함께 말레이시아 한 달 살기』
『스티븐 호킹』
『다크호스 Dark Horse』
『옷으로 마음을 만지다』
『어쩌다 보니 초라한 스물아홉이 되었다』

『모모』

『논어』
『나는 도서관에서 교양을 읽는다』
『그 여름, 그 섬에서』
『행복한 하루는, 기적에 가까우니까』
『내일 삶의 서재』
『그림이 있는 북유럽 신화』
『인생의 절반, 마흔살』
『행복이 거기 있다, 한 점 의심도 없이』
『발레가 내 삶도 한 뼘 키워줄까요?』
『샤넬백을 버린 날, 새로운 삶이 시작됐다』

『작은 공주 세라』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홍차의 시간』
『모비딕』
『파리는 날마다 축제』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소학』
『고요할수록 밝아지는 것들』
『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
『마음의 눈에만 보이는 것들』

『맹자』

『명심보감』
『SANG A 뉴욕 내러티브』
『꾸뻬 씨의 행복 여행』
『너에게』
『북카페 인 유럽』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아리랑 1』

『아리랑 2』

『ME BEFORE YOU』

『Aesop's Fables』

『The Little Prince』

『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

『Harry Potter and the Chamber of Secrets』

『열두 발자국』

 

이번달은 참 알차게 읽은 것 같다. 무려 43권이나 읽었는데 이번 해에 제일 많이 읽은 달인 것 같다.

한 프레임 안에 찍히지 않아 리뷰쓴 책들로만 모아 업로드용으로 찍고 보관용도 남겨야 하기에 이번달에 읽은 책들은 두 파트로 나누어 찍었다.

시간이 흐른다는 게 그저 너무 빨리 흐르는 것 같아 아쉽다고만 생각했었다. 딱 거기까지.

그런데 요즘은 아쉬움을 넘어 1분 1초가 참 소중하다는 생각까지 든다.

여태껏 '자기계발'로 시간을 꽉 꽉 채워 보냈다면, 지금은 새로운 것을 마주하는 데에 더 시간을 보내려고 하는 것 같다.

행복하게 채워넣고 싶다.

 

 

 

 

 

 하나의책장 http://blog.naver.com/shn2213

 하나의책장 https://www.instagram.com/aurorahana1204/

 

#피어클리벤의 금화 1 #한나 아렌트 #아이들과 함께 말레이시아 한 달 살기
#스티븐 호킹 #다크호스 Dark Horse #옷으로 마음을 만지다 #어쩌다 보니 초라한 스물아홉이 되었다

#모모 #논어 #나는 도서관에서 교양을 읽는다 #그 여름, 그 섬에서 #행복한 하루는, 기적에 가까우니까
#내일 삶의 서재 #그림이 있는 북유럽 신화 #인생의 절반, 마흔살
#행복이 거기 있다, 한 점 의심도 없이 #발레가 내 삶도 한 뼘 키워줄까요?
#샤넬백을 버린 날, 새로운 삶이 시작됐다 #작은 공주 세라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홍차의 시간 #모비딕 #파리는 날마다 축제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소학
#고요할수록 밝아지는 것들 #『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 #마음의 눈에만 보이는 것들 #맹자
#명심보감 #SANG A 뉴욕 내러티브 #꾸뻬 씨의 행복 여행 #너에게 #북카페 인 유럽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아리랑 1 #아리랑 2 #열두 발자국

#ME BEFORE YOU #Aesop's Fables #The Little Prince
#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 #Harry Potter and the Chamber of Secret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10.6

 

 

 

시간은 청개구리

 

빠르게 흐르라고 할 때

듣지도 않는

시간은 청개구리

 

느리게 흐르라고 할 때

듣지도 않는

시간은 청개구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10.5

 

 

 

나라의 부름을 받고 군 생활을 하는 군인들을 직접 마주해보니

오빠 같고, 동생 같아서 멋지고 대단함을 넘어 존경스럽기까지 하다.

조그마한 동네 슈퍼같은 PX는 작지만 알찬(?!) 공간이었다.

 

미국에서 군인들을 어떻게 대우해 주는지를 두 눈으로 직접 봤기에,

우리나라 또한 군인들의 대우가 더 좋아지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