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어의 실종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95
아시아 제바르 지음, 장진영 옮김 / 을유문화사 / 2018년 10월
평점 :
♡ 나는 누구인가, 『프랑스어의 실종』 ♡

『하나, 책과 마주하다』
과거 발발했던 전쟁들은 기록으로 남겨진다.
그 기록을 보면 승리자와 패배자가 누구인지 적혀있고 승리자에 대한 업적이 줄줄이 적혀있다.
그리고 패배자는 전쟁에서 패배한 요소 한 두줄 정도 남겨지는 정도다.
살짝 과장되게 서술했지만 결국 내가 하고싶은 말은 전쟁에서 승리한 자만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는 뜻이다.
개인적으로 이 책은 한 번 더 정독하고 싶다. 역사적 배경을 한 소설은 두 번은 읽어줘야 제대로 탐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설 속 배경인 알제리 독립전쟁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자면 8년동안 알제리가 독립을 위해 프랑스와 벌인 전쟁이다.
알제리에서 무장투쟁이 시작되고 확대되며 그 병력이 13만 명을 넘게 되었는데 당시 프랑스가 진압작전을 전개했다.
결과적으로 국민투표에 의해 알제리 독립전쟁이 선언되었는데 소설 속 배경이 딱 이 부분이니 역사적 배경을 대충 알아야 흐름을 잡을 수 있다.
소설 속 주인공인 베르칸은 프랑스에서 망명 생활을 하고있었는데 연인이였던 마리즈와 헤어지고나서 고향인 알제리로 돌아온다.
어렸을 때 갔던 카스바에 가서 어린 시절 느꼈던 추억을 느끼고 싶었지만 지금의 카스바는 과거의 카스바와는 너무나도 달랐다.
그렇게 알제리에 지내면서 동생 친구인 나지아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 지금 현 연인인 나지아는 알제리인이고 전 연인인 마리즈는 프랑스인이다.
당시 마리즈와 이야기를 나눌 때면 베르칸은 간간히 알제리 사투리를 말하곤 했는데 마리즈는 알 턱이 없었다.
반면에 나지아와 사랑을 나누며 주고받는 알제리 언어가 그에게 얼마나 평온함을 주는지 모른다.
바르칸은 알제리에 머물면서 어린 시절의 기억들을 되살려 소설을 쓰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다.
알제리 언어가 너무도 편한 그였지만 글을 쓸 때면 아랍어를 전혀 쓸 줄 모르니 프랑스어만 쓰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바르칸은 알제리와 프랑스 그 중간에 놓여있는 것만 같았다.
이 소설은승리자와 패배자 혹은 지배자와 피지배자 혹은 프랑스어와 아랍어(모국어) 등등 대립되는 요소들을 어렵지않게 찾아볼 수 있다.
소설은 베르칸의 중심으로 돌아가지만 드리스, 마리즈, 나지아의 이야기도 살짝 볼 수 있는데 마지막 내용인 나지아의 회상을 통해 아랍권의 여성들의 속박이 얼마나 심한지 알 수 있다. 아랍인이지만 개방적인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는 그녀는 현재 아랍 남성이 아랍 여성에게 행하고 있는 억압과 편견에 대해 불쾌함과 거부감을 드러낸다.
그러고보니 며칠 전에 사우디에서 드디어 축구장에 여성관중 입장을 허용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아랍권의 여성들이 얼마나 제한된 삶을 살고있는지를 보여주는 기사였다.
프랑스에 의해 식민지배를 받았던 지식인으로서 고뇌하는 베르칸. 모국어인 아랍어와 프랑스어, 그 두 언어의 경계 어딘가에 놓여져 고뇌하는 그의 심경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우리나라도 일본의 식민지배를 받으면서 일본말이 자연스레 모국어에 섞인 것이 있는데 절대 쓰지 않으려고 한다.
식민지배를 받았다는 점에서 당시 고통받았던 그 세월이 비슷하게 느껴져 소설 속 인물들과 상황에 공감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