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이 마음을 닮아간다
공간을 바라볼 때면, 지금 제 마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책상 위를 물끄러미 바라보았습니다.
계획을 적어둔 다이어리들, 작성 중인 소설 원고, 펜통에서 출장 나온 수십 자루의 볼펜, 그리고 한 장의 메모.
《 내일은 책상정리의 날! 흐트러진 마음도 함께 정리하자! 》
남들이 보면 이게 뭐가 지저분하냐고 할지 모르지만 사용한 물건은 곧바로 제자리에 두는 습관이 몸에 밴 저에겐 충분히 어수선해 보입니다.
무엇보다 이런 풍경은 제 마음 안이 정리되지 않은 생각들과 미뤄둔 고민으로 가득하다는 신호처럼 느껴집니다.
마치 하루의 피로와 불안이 그대로 남은 것처럼 공간은 감정을 고스란히 비추는 창처럼 다가옵니다.
창문을 열어 바람을 들이고 책상 위를 닦기 시작하면 그동안 눈에 띄지 않던 자국들과 작은 흠결들이 하나씩 드러납니다.
불필요한 것들을 치우고 자리를 정돈하면 그 빈 공간이 마음속의 그늘까지 따뜻하게 정리되는 기분이 듭니다.
공간을 정리하는 일이 내 마음의 균형을 다시 맞추는 일이라는 걸 느껴본 사람이라면 분명 공감할 거예요.
어떤 날은 마음이 너무 무거워 청소조차 벅차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땐 사람들은 마음이 먼저 편해야 정리도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 반대의 경험도 분명히 있습니다.
공간을 먼저 정리하면 마음이 그걸 따라오기도 하니까요.
며칠 전, 집에 돌아와 의자에 털썩 주저앉은 저에게 책장 아래 쓰러져 있는 책들이 묘한 불안감을 일으켰습니다.
처분하려고 모아둔 책들이 도미노처럼 쓰러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내일 나도 이렇게 무너질까?
그런 생각이 들던 순간, 불안이 방 안 가득 번져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작은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청소기를 돌리고 책들을 분류해 책장 옆에 낮게, 가지런히 쌓아두었습니다.
조금씩 공간이 정돈된 풍경으로 바뀌었고 그때 문득 그 공간이 먼저 나를 바라보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 순간 마음속의 불안이 한 겹 벗겨졌고 눈앞의 무질서가 정리되자 마음 안의 혼란도 조용히 흩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공간은 그렇습니다.
마음을 닮습니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은 서로 맞닿아 있고 보이는 것을 바꾸면 보이지 않는 것들도 따라 움직입니다.
그 변화는 작고 사소해 보이지만 결국 일상의 전체 분위기를 바꿔놓습니다.
지금 마음이 복잡하다면 거창한 해답을 찾기보다 곁의 공간부터 살펴보는 건 어떨까요?
내 옆에 있는 물건이 정말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불안을 가리기 위해 던져둔 무언가인지.
공간을 다듬는 일은 결국 내 마음 한 켠을 다시 어루만지는 일이니까요.
그리고 그 섬세한 정돈이 삶 전체를 조용히, 부드럽게 만드는 힘이 되어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