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강의를 들으러 걸어가는 길, 알라딘 이웃이었다가 알라딘 친구가 된 씩씩한 알라딘 친구와 페미니즘 책 이야기를 나누던 중, 씩씩한 알라딘 친구는 ‘버틀러, 읽지 않아도 되겠다’는 의견을 말했다. 나는 ‘버틀러는 읽어야 되지 않겠나’ 답했고, 씩씩한 알라딘 친구는 ‘안 읽어도 되겠더라’고 말했다. 나는 ‘그래도 버틀러는 읽어야 된다, 한 권이라도 읽어야 된다, 적어도 한 권이라도’라며 나도 모르게 소리를 높였고, 씩씩한 알라딘 친구는 한 발 물러서 ‘그럼 읽으시라’고 답했다. 이렇게 나는, 씩씩한 알라딘 친구에게서 버틀러 읽기를 ‘허락’받았다. 한 권만 읽을 수 있으니 신중을 기해 고른 버틀러 책은 『젠더 트러블』이다.
먼 발치 알라딘 이웃이었다가 알라딘 친구가 된, 모르는 게 없는 알라딘 친구는 이사를 준비하며 책을 정리하고 버리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를 토로했다. 이제는 책을 많이 안 살거라는, 알라딘에서는 자주 듣는 일상적인 고백이 이어졌다. 그래서 앞으로는 (책 안 사고) 어떻게 할 거예요?라고 물었더니, ebook 읽는데 습관을 들일 거라 했다. 나는 올해 초, 크레마 사운드를 구입했는데, 생각보다 친해지지 않아 꿀꿀하다고 했다. 이전에 아이패드로 이북 읽던 거랑 비교하니 아무래도 떨림현상이 거슬린다고도 말했다. 모르는 게 없는 알라딘 친구는 자신의 크레마 카르타+를 꺼내 몇 페이지를 넘기며 보여주었는데, 원래 떡은 남의 떡이 커보이고, 크레마는 친구 크레마가 더 좋은 건지(사실 친구 크레마가 나중 모델이다), 깨끗한 화면에 떨림 현상이 거의 없었다. 모르는 게 없는 알라딘 친구는 먼저 재미있는 책을 읽으며 습관을 들이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해서, 이북으로 『백래시』를 읽고 있다고 했더니, 친구는 『백래시』를 이북과 종이책을 번갈아가며 읽고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오늘, 『백래시』 종이책을 대출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14/pimg_7981871741862525.jpg)
『백래시』로 말하자면, 역시 알라딘 이웃이었다가 알라딘 친구가 된 다정한 알라딘 친구가 페이퍼를 통해 ebook 10년 대여 특가 사실을 알려줘 구입하기는 했다. 다정한 알라딘 친구가 말하기를, 다른 사람은 안 사도 단발머리님은 살 줄 알았어요, 라고 말해주는 덕에, 적절한 나의 구매와 다정한 알라딘 친구의 정확한 예측에 나름 뿌듯하기는 했으나, 아직까지 진도가 지지부진하다. 인기를 반영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광화문 교보문고 페미니즘 판매대에 원서도 입장한 상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14/pimg_7981871741862526.jpg)
요즘 읽고 있는 책은 『나는 당당한 페미니스트로 살기로 했다』이다. 10년 대여 반값에 30% 쿠폰을 사용하면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크레마에 장착 가능하다. 흥미로운 내용으로 가득 차 있어서 이북 습관 들이기에 최적이다. 어제 제일 인상깊었던 구절은 여기.
나는 나 자신이 똑똑하고 재미있고 타고난 재능이 많으며 사교적이고 친절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어째서 그것만으로 충분치 않다는 걸까?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점들을 기준으로 봤을 때 나는 홈런이었다.
눈길을 끄는 페미니즘 신간은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이다.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대학을 졸업한 뒤 기자로 일하다 흑인 민권운동을 경험한 뒤 급진 페미니스트 운동에 가담한 활동가였던 저자 수전 브라운밀러가 35살이던 1970년, 미국의 한 고교 강단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성폭행 경험을 공개적으로 말하는 자리에 참석했다가 “계시의 순간”을 경험하고, 도서관들을 수없이 드나들며 성폭행의 뿌리 깊은 역사와 이데올로기를 해부한 책. (뉴욕 공립 도서관이 선정한) ‘20세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책 100권’으로 꼽히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한겨레신문 ‘책과 생각’, 2018. 3. 9. 금요일)
아이들 개학만 하면, 페미니즘 책도 부지런히 읽고, 고전도 두루두루 읽고, 읽은 내용도 정리해 보리라 굳게 다짐했건만, 산들산들 봄바람 때문인가 춘곤증 때문인가 생각만큼 잘 안 된다. 운동을 해야할 실제적 계절과 운동을 해야만 하는 인생의 계절이 겹쳐져 가는 요즘이다.
그래서 오늘의 해시태그는…
#알라딘 친구들 #크레마 #페미니즘 #버틀러 #젠더 트러블 #백래시
#나는 당당한 페미니스트로 살기로 했다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 #봄바람 #운동의 계절
#다스는 누구 겁니까 #질문의 힘 #MB 포토라인 #국민께 죄송
#민생 경제가 어렵고 #한반도 안보 환경이 매우 엄중할 때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 #한반도는 평화 모드
#말을 아껴야 한다
#그래
#말 좀 아껴야겠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