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이미와 이저벨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5월
평점 :
읽는다는 건 중요한 일일까. 모든 사람에게, 항상 좋은 일일까. 읽는다는 일이 그렇게 중요한 일일까. 아니라는 생각이 종종 든다. 많은 정보를 알고 있다는 것이, 다양한 사실들을 외운다는 것이, 그 사람이 훌륭한 사람임을 보장해
주지 않는 것처럼, 그 사람이 읽는 무엇인가가 그 사람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건 아닌 것 같다.
하지만, ‘읽는 것이 곧 그 사람이다’라는
표현 역시 마음에 가까이 와닿는다. 어떤 사람이 ‘읽고 있는
무엇’ 때문에 어떤 사람은 우아해 보이고, 대단해 보인다. 우리가 읽는 무언가는 가끔 곧 우리 자신이 되기도 한다.
에이미가 불쑥, 젖은 얼굴로 엄마를 쳐다보며 소리질렀다. “세상이 어떤 곳인지 모르는 사람은 엄마죠! 엄마는 어디에 가지도
않고 다른 사람과 말도 하지 않잖아요! 책도 읽지 않고……” 여기서
에이미는 잠시 물러서는 듯했지만, 스스로 격려하듯 손을 옆으로 저으며 말을 이어갔다. “그 바보 같은 <리더스 다이제스트>만 빼면요.” (290쪽)
『햄릿』. 이저벨은 카펫 위로 걸어가면서 고개를
끄덕였다. 『햄릿』에 대해서는 당연히 들어보았다. 어머니와
미쳐버린 여자친구가 등장했다. 어쩌면 그녀가 뭔가 다른 작품을 착각한 건지도 몰랐다. … 하지만 턱에 듬성듬성 금발 수염이 난 젊은 점원이 계산대에서 삑삑 소리를 내며 심드렁하게 책값을 입력하자
그녀는 기뻤다. … 오후 내내 그녀는 자기도 유식한 사람이 된다는 생각에 들떠 있었따. 벨트코 서플라이어스 회사에 보낼 편지를 타자하면서 이저벨은 누군가에게 “그걸
보니 『햄릿』의 한 장면이 떠오르네요”하고 가볍게 말하는 순간을 그려보았다. (150쪽)
그리고 그때, 빈사 상태의 자주달개비 아래, 책꽂이에 꽂힌 책들이 그녀의 눈에 들어왔다. 『플라톤 전집』, 그녀가 제목을 읽었고 그 옆으로 『존재와 무』라는 하얀 책에는 커피 얼룩이 동그랗게 묻어 있었다. 고개를 돌리기 직전에 그녀는 『예이츠 시 선집』을 보았다. (302쪽)
<리더스 다이제스트>를
읽는 자신에게서 벗어나고자 『햄릿』을 사고 읽는 이 사람은, 『플라톤 전집』을 읽는 사람 앞에서, 자신이 분노를 쏟아내야 마땅한 그 사람 앞에서 주눅들고 만다. 자신은 <리더스 다이제스트>를 읽는데, 그 사람은 『플라톤 전집』을, 『존재와 무』를 읽기 때문이다. 서점에서 『햄릿』을 산 후에 흐뭇해하는 이저벨과 『햄릿』을 읽기 힘들어하는 이저벨. <리더스 다이제스트>를 미워하고, 『플라톤 전집』과 『존재와 무』 앞에서 당황하는 이저벨을 보면서 ‘읽는다는
것’, 무언가를 읽는다는 것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했다.
이 소설 속의 사건과 기억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 다른 사람에 대해서도
말할 수 없다. 에이버리와 에마에 대해서, 수학 선생님 토머스
로버트슨에 대해서, 뚱뚱이 베브와 도티에 대해서, 스테이시와
그녀의 아기에 대해서, 폴 벨로스와 데비 케이 돈에 대해서, 제이크과
에벌린 커닝햄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예이츠와 키츠에 대해서도.... 말할 수 없다.
이 소설은 내게 기쁨과 즐거움을 줬지만, 당혹감과 슬픔도 줬다. 이 책을 읽은 후, 난 엘리자베스 스타라우트를 좋아하게 됐지만, 이 소설을 읽는게 힘들었다. 어쩌면 나는 제대로 읽은
것일 수도 있다. 나는 이틀 동안 이저벨이 되어 혼자 아이를 키우는 젊은 싱글맘의 슬픔과 분노에 함께
몸을 떨었으니. 어쩌면, 나는 제대로 읽은 것일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