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소리 지르는 딸
우리 집에서 오빠는 아무리 말대꾸를 해도 벌을 받거나 꾸중을 들은 적이 없었다. 오히려 자기 의견을 고집하는 것은 남자다운 모습이라며 권장되었다. 반면 딸들이 의견을 강하게 내세우면 버릇없고 나쁜 행동이라며 제지를 당했다. 특히 아버지는 여자들이 자기 의견이 강하면 여성스럽지 않다며 꾸지람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경고를 무시했다. 우리 집안은 가부장적인 성격이 강했지만 남자는 아버지와 오빠뿐이었고, 여자가 더 많았기 때문에 마음 내키는 대로 말을 하고 말대꾸를 해도 안전했다. (96쪽)
중국계 미국 여성들, 중국인인 어머니들과 미국인으로 자란 딸들에 대한 소설 『조이럭클럽』에는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10여전 전에 읽었던 거라 정확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대략 이런 내용이다. 주인공 중의 한 명인 ‘나’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아버지는 새어머니를 들였고, 새어머니는 새어머니, 소설 속의 ‘나’는 갖은 구박을 받게 된다. 당시 중국에서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그 다음 해, 새해 셋째날에 돌아온다는 미신이 있었다. 그리고, ‘나’는 그 날, 죽은 엄마의 영혼이 돌아온다고 믿어지는 바로 그 날부터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이 세상에 완벽한 객관성이라는 게 존재할 수 있을까 싶다. 세상은 원래 자기중심적으로 돌기 마련이다. 사람은 어디까지나 자기 입장에서만 생각할 수 있을 뿐이다.
내 주위에는 온통 고집 센 둘째들뿐이다. 아들-딸, 딸-아들, 딸-딸, 아들-아들의 경우를 모두 조사해보았지만, 결론은 똑같다. 첫째들은 말을 잘 듣고 눈치가 없다. 체제 순응적이고 융통성이 없다. 둘째들은 말을 안 듣고, 애교가 많다. 반항적이고 생존기술이 뛰어나다. 이럴 때, 가장 안 좋은 경우의 수는 딸-아들의 구성으로 태어난 ‘누나’, 여자 아이다. 애교가 많아 덜 혼나고, 고집쟁이로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 막내라는 이점을 마음껏 누리는 아들에 비해, 누나인 큰아이는 엄마, 아빠 말은 잘 듣지만, 융통성이 없어 더 많이 칭찬받지 못한다. 위와 아래에서 모두 치인다.
초등학교 1학년, 간식으로 나온 ‘콜팝’을 태어나서 처음 먹게 된 딸아이는 ‘환상적인 맛’에 완전 감동했음에도 불구하고, 10개의 팝콘볼중에서 4개만 먹고 6개를 고이 남겨왔다. 사랑하는 동생과 이 ‘환상적인 맛’을 나누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다. 나는 딸애에게 잘했다고 말하기는 했지만, 그 다음을 더 강조해서 말했다.
“그러니까, 다음부터는 남기지 말고, 네가 다 먹어. 맛있는 거잖아. 네가 다 먹어.”
둘째가 커가면서 싸우는 일이 잦아졌는데, 말로 몸으로 싸우고 나서 우는 아이는 누나인 큰아이였다. 동생은 누나를 때렸고, 누나는 동생을 때리지 못 했다. 더 이상은 안 되겠다는 생각에, 나는 딸애에게 ‘폭탄선언’을 했다.
“앞으로는 동생에게 양보하지 마.”
형이라고 언니라고 무조건 양보해야 한다는 건 불합리한 일이다. 스스로 선택해서 양보한다면 참 좋겠지만, 무조건 그렇게 해야 한다면, 자기주장이 강하지 못 해 항상 양보해야 하는 사람에게는 억울한 일이다. 남동생에게 맞고 우는 여자아이라면 어디에 가서도, 누구에게도 결국은 양보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에, 나는 딸아이를 더 강하게 키워야겠다고 생각했다.
아롱이에게는 양보와 배려를 강조했고, 딸아이에게는 자기 스스로를 주장할 것을 가르쳤다.
요즘은 거의 대부분의 가정이 그렇겠지만, 아이들도 부모의 권위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는 분위기다. 신기한 건, 가르쳐주지 않았는데도 아들은 소리 높여 자신의 주장을 이야기했고, 딸애는 무슨 이야기든 말만 할라치면 일단 눈물바람이었다.
다시 한 번,
아롱이에게는 양보와 배려를 강조했고, 딸아이에게는 자기 스스로를 주장할 것을 가르쳤다.
양보하지 않아도 된다,라는 걸 딸애에게 말한 건 지금으로부터 5-6년 전인데, 페미니즘 책을 읽었거나 읽지 않았거나 그에 상관없이, 나는, 딸애를 소리지르는 아이로, 소리 지를 수 있는 아이로 키워내고 있었다.
소리 지르는 딸, 소리 지르는 여자로 말이다.
3. 영적인 삶
나는 오랫동안 영적인 실천을 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친구나 동료들에게 털어 놓지 않았었다. 진보적인 사상가나 학자들은 ‘신성한 정신’에 열정적으로 몰두하기보다는 무신론적인 태도를 취하는 편이 더 멋지고 자신들에게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 그토록 젊고 똑똑하고 멋진 학생들이 연구실로 찾아와 자신이 얼마나 삶에 낙담하고 있는지 고백하는 이야기를 듣고 그 고통을 위로만 하고 끝내는 것은 너무 무책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121쪽)
청소년기 시절, 내가 기억하던 두 개의 다른 구절.
책 제목도 기억나지 않는 책의 한 구절, “이성으로부터 오는 따뜻한 격려와 사랑이 인간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위안”이다. 또 한 구절, “인간 영혼의 가장 깊은 내면은 오직 신에 의한 사랑으로서만 채워질 수 있다. 인간은 오직 신, 하나님 안에서만 완벽한 평화를 누릴 수 있다.”
초등학교 때 제일 친했던 친구는 초등 6학년 때 좋아하던 오빠가 있었는데, 나이 스물에 웨딩드레스를 입고 그 오빠의 손을 잡고는 결혼식장에 입장했다. 중학교 때 제일 친했던 친구는 중학교 2학년 겨울부터 좋아하던 오빠와의 ‘연애전선’에 뛰어들었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내게서 너무 멀리 있었고, 근처에는 나를 좋아하는 사람도, 내가 좋아하는 사람도 없었다. 나는 그냥 그렇게 혼자였는데, 당시에는 이성교제가 요즘처럼 흔하지 않아 남자친구가 없다는 게 그리 유난한 일은 아니었지만, 가까운 친구들이 모두 남자친구가 있는데, 나만 남자친구가 없어, 쓸쓸한 나날이었다. 당시에는 조금 심각했는데, 써놓고 보니 조금 웃긴다. 그 때는 진지했는데, 지금은 왜 웃긴가. 나는 왜 웃는가.
무튼, 나는, 혼자인 나는, 내게 사랑을 주는 어떤 대상을 갈구했다. 나를 사랑해줄 사람, 변하지 않는 사랑으로 날 사랑해 줄 어떤 사람을 말이다. 물론 그런 사람을 만나지 못 했다. 다시 한 번 말하자면, 내가 좋아하는 그 사람은 내게서 너무 멀리 있었고, 그건 물리적 거리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것을 포함한 거였다. 그런 사람을 찾고 찾았지만, 만나지 못 했다. 그런 사람을 만나지는 못 했지만, 그런 사랑은 만났다.
나를 지탱해주는 것은 신God이 곧 사랑 ― 사랑은 모든 것이고, 우리의 진정한 운명이다 ― 이라는 믿음이다. 나는 매일 명상과 기도, 묵상과 봉사, 예배와 자비로움을 통해 이 믿음을 확인한다. (121쪽)
나를 설명하는 여러 가지 말, 정체성, 아이덴티디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건, 내가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이다. 나는, 내가 찾던 사랑을 찾았고, 그 사랑을 찾은 후에야 그 사랑이 먼저 나를 찾아왔음을 알았다. 그 사랑이 나를 먼저 찾아왔고, 나를 위해 죽었고, 나를 다시 살렸으며, 지금도 내 곁에 살고 있음을 알게 됐다 (로마서 5장 6-10절). 이 사랑이 내게는 가장 소중한 사랑이었고, 그리고 지금도 그러하다.
나우엔은 “아무리 친구가 많고, 사랑하는 애인이 있고, 남편과 아내가 있고, 어떤 탄탄한 조직에 속해 있어도 완전한 wholeness 자아, 통일된unity 자아를 찾고 싶다는 내면의 갈증을 충족시켜주지는 못한다”면서, 그 갈증은 우리가 고독을 기꺼이 받아들여서 자기 안에 ‘신성한 정신’이 드러나게 될 때 해소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83쪽)
남편, 아이, 애인, 부모, 동생 그리고 친구.
날 아껴주고 지금도 변함없는 사랑과 지지를 보내주는 사람과 결혼했다. 사랑을 하고, 아이들을 낳았다. 뜨거운 사랑과 뿌듯한 사랑, 가슴 찡하고, 가슴 벅찬 사랑이 있었고, 지금도 그러하다. 하지만, 나를 가장 행복하게 하는 사랑은, 나의 진정한 첫 사랑은, 남편도 아이도, 내게서 항상 멀리 있던 그 사람도 아니다.
나의 내면의 갈증을 충족시켜주는 이는, 내 영혼을 만족케 하는 이는, 내 안에 사는 이, ‘신성한 정신’, ‘거룩한 성령’, 하나님이자 인간인 예수 그리스도다.
진정한 사랑을 하고 있는 커플들과 오랫동안 대화를 해보고 내린 결론은, 진정한 사랑의 가장 공통된 특징은 ‘무조건적’이라는 점이다. 진정한 사랑을 하는 사람들은 상대에 대해 어떤 조건도 내걸지 않는다. 서로가 상대를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려고 건설적으로 투쟁하고 노력하는 가운데 진정한 사랑이 꽃피는 것이다. (234쪽)
결국엔 사랑이다.
마지막은 사랑이며,
또 사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