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등대우 이론 : 여성도 남성과 똑같은 권리를
갖고 있다고 주장. 같은 처지의 남성과 여성을 비교. 간단해서
이해하기 쉽고, 주류 사회가 받아들이기 쉬움.
2.
문화 페미니즘 : 캐롤 길리건. 남녀 사이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로 인한 불이익을 법이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
여성적 속성을 높이 평가하다 보니 여성이 전통적 사회 역할에 충실한 경우에만 여성을 가치 있게 평가한다는 비판을 받음.
3.
지배 이론 : 여성과 남성 간 권력의 차이에
주목. 캐서린 맥키넌, 안드레아 드워킨. 여성의 성적 종속을 가시화하는 포르노그래피를 성차별이라 규정. 성
본질주의라는 비판을 받음. 백인 여성의 경험만이 보편적인 것처럼 서술되고 어머니로서 여성의 경험을 깎아
내린다는 혐의도 받음.
4.
반본질주의
1)
비판적 인종 페미니즘 : 기존 페미니즘이 먹고살
만한 백인 여성들의 요구사항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었다고 비판. 인종 분류에 대한 의문 제기.
2)
레즈비언 페미니즘 : 성 정체성을 이유로 해고하는
것이 합법인 현실. 결혼할 권리를 위한 사회, 법적 운동.
5.
에코 페미니즘 : 인간의 억압(성차별, 인종차별 등)과
환경 파괴의 교차점을 강조, 삼림 파괴에 대항하는 강력한 환경 운동.
6.
실용주의 페미니즘 : 여성들의 일상적으로 겪는
현실의 모습 속에서 진실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
7.
포스트 모던 페미니즘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비판적 페미니즘 & 실용주의는 모든 여성들이 하나의 경험
또는 조건을 공유한다는 생각을 거부함.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페미니스트들은 젠더를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관계적이며 가변적인 것으로 해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