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분실>을 읽었다. 도선생님 카라마조프를 끝내고, 마실 느낌으로 읽었다. 좋았다. 뇌의 시냅스 패턴을 고해상도로 스캔해 패턴을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는 마인드 업로딩은 죽은 사람의 기억을 통해 그를 다시 만날 수 있게 하는 미래의 장례 프로그램이다. 엄마의 데이터가 ‘관내분실’ 되면서 엄마의 인생을 다시 ‘돌아보게’ 되는 과정을 담았다. 엄마는 언제부터 ‘엄마’였을까. 엄마는 언제부터 ‘김은하’가 아니라, ‘지민의 엄마’로 불렸을까.
코로나 사태 이후, 아니 페미니즘을 공부하면서 돈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된다. 제3세계를 차지하기 위한 제1세계의 식민지 전쟁, 노예제도의 정당화, 근절되지 않는 포르노 성착취물의 생산과 유통, 맥도날드 햄버거 세트가 그 정도의 가격으로 책정될 수 있는 이유, 갑작스레 요가복이 저렴해진 이유에는 모두 착취가 자리하고 있고, 착취의 결과로 누군가는 부자가 된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 불황도 마찬가지다. 코로나 경제 전망 중에 제일 기억에 남는 건, 경제가 작동하지 않고(작동할 수 없고), 실업이 대규모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이런 비상 상황에서는, 누군가 빚을 질 수 밖에 없는데, 국가가 빚을 지지 않는다면, 그 몫은 개인에게 돌아갈 거라는 전망이었다. 나라 걱정하시는 마음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국가가 빚을 져야 할까. 아니면 국가 대신 내가 빚을 져야 할까. 나라의 돈을 어디에 어떻게 더 써야하는지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때가 왔다고, 드디어 왔다고 생각한다.
<관내분실>은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대상 작품이다. 최종 수상작이 선정될 때까지 이름, 성별, 직업 등 모든 정보는 비공개로 진행된다고 한다. 김초엽은 <관내분실>로 대상을,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으로 가작을 수상했다. 1,000만원 고료.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장편 대상에게 1,000만원을 준다고 하면, 중단편 대상은 700만원. 김초엽은 가작도 한 편 당선됐으니 800만원. 800만원으로 한국 SF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에게 실낱 같은 희망을 줄 수 있다면, 작품을 계속 쓰고 싶은 동력을 마련해 줬다면, 그 돈은 큰 돈일까 작은 돈일까. 자꾸 돈 생각을 하게 된다. 한국의 독자들이 책을 많이 사지 않는다면 어쩔 수 없지, 하지 말고. 그냥 손 놓고 있지 말고. 좋은 책을 쓰는 좋은 작가들이 계속 나올 수 있도록 그 책을 누군가 사주는 건 어떨까. 많이 늘어났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턱없이 부족한 도서관을 조금 더 지으면 어떨까. (비연님 집 앞 등등) 그렇게 또 돈 생각을 한다. 일단 나도 김초엽 책을 한 권 사고.
『모니크 위티그의 스트레이트 마인드』를 읽는다. ‘우리는 하녀이자 매춘부이고 간호사이자 정신과 의사이다’의 충격은 『혁명의 영점』에서 왔다.(45쪽) 그만큼의, 혹은 그 이상의 충격을 던져 줄거라 예상되는 책. 저자가 말한다.
여성은 자신들이 남성에게 완전히 지배당하고 있다는 것을 모른다. 마침내 그 사실을 인정했을 때 여성들은 그 사실을 “믿지 못한다.” 그리고 종종 그 날것의 잔인한 현실 앞에서 마지막 의지를 다해 모든 지식을 총동원해서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고 있다고 “믿는 것”을 거부한다. (47쪽)
7월의 <여성주의 책 같이읽기> 대상 책이 얇아 ‘같이’ 읽을 다른 책을 골라보다가, 니라 유발-데이비스의 <젠더와 민족>을 읽기로 했다. 착한 마음으로 책을 구매하고, 책장에 2주 이상 꽂아 두고서야 알았다. 나는 이 책을 다 읽고, 리뷰까지 썼더라는. 리뷰를 읽어보니 알겠다.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에 기억하지 못 한다. 아무튼 읽은 책은 ‘읽은 책’이어서, 7월의 ‘같이 또 따로’ 도서는 어제밤에 도착한 책들 중에서 고를 예정이다. 아, 『초보자를 위한 페미니즘』도 같이 살 것을.
왜 망설였나요. 왜 주저했나요. 왜 서성이나요. 68쪽 근처에서.
근데 어제 오후 구매할때 까지만 해도 표지가 김초엽이었는데 아침에 검색해보니 호크니 리커버 에디션이다. 나는 이전 표지에 한 표. 우리집에 있는 책에 한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