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합본 메피스토(Mephisto) 13
더글러스 애덤스 지음, 김선형 외 옮김 / 책세상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SF소설이라고 하면 어느 정도 과학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최근 과학이론을 소설적으로 가공해서 우리에게 어느 정도 개연성, 필연성이 느껴지는 소설, 또는 시공간은 환상적이지만 읽으면서 우리 현실을 느끼게 하는 소설을 기대한다.


그런데 이 소설은 무려 5권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어떤 합리성을 찾으려면 번번이 실패하게 만든다. 그냥 그때 그때 상황을 벗어날 뿐. 그 상황 속에서 우리 현실을 찾으려 해도 실패하게 된다. 그런 것은 없다. 없기 때문에 낄낄거리며 읽다가도 이게 뭔가 싶은 마음이 든다.


우회 도로 건설 때문에 집이 철거 위기에 처한 아서 덴트, 그리고 우회로를 만들기 위해 지구를 파괴하는 우주적 사건. 둘이 겹친다. 아서 덴트는 이 위기에서 포드 프리펙트로 인해 우주를 여행하게 되고, 살아남게 된다.


포드가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글을 기고하는 사람이라고 하면, 그들이 히치하이킹을 통해 우주 여행을 하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들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져야 할 거라 기대하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 사건들이 어떤 개연성도 없이 일어난다.


여기에 위기에 처했을 때 어떻게든 살아남는다. 그냥 우연히... 우연, 우연, 우연... 이 우연들이 겹쳐 필연이 된다. 그렇게 아서는 살아남아야 한다. 그가 죽어야 할 때가 올 때까지.


4권까지 우주에서 일어나는 불가사의한 사건들에 휩쓸리는 아서 덴트와 포드, 자포드 비블브락스, 트릴리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면, 5권에서는 주인공이 확실히 정리된다. 아서 덴트를 중심으로 사건이 펼쳐진다.


방대한 우주에서도 지구와 같은 행성은 찾을 수 없다는 것. 우리는 창백한 푸른 점인 이 지구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것. 


아서는 지구와 가장 비슷한 환경의 행성을 찾아 정착하려 하지만 그도 쉽지 않다. 여기에 포드로 하여금 우주의 음모가 진행되게 하고...


그냥 재미로만 가던 내용이 5권에 이르면 무언가 찡한 여운을 남기게 된다. 우리가 고향을 그리워하는 감성을 자극한다고 할까.


어디에도 어떤 시간에도 살아갈 수 있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여야 하지만, 히치하이킹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도 고향은 필수적이다. 고향을 상실한 사람은 히치하이킹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떠돌뿐이다.


히치하이킹이 무엇인가? 여행이다.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서 그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하는 여행. 이 여행의 끝은 고향으로의 돌아옴이다. 그래서 고향이 존재해야지만 히치하이킹이 의미 있어진다.


만약 고향이 없어진다면? 그건 여행이 아니다. 떠돎이다. 방랑, 정처없는. 율리시즈는 집으로 돌아오기 위해 방황을 했고, 아이네이아스는 고향을 잃었지만 새로운 고향을 만들기 위해 여행을 한다.


그들의 여행은 결국 돌아옴으로 귀결된다. 돌아옴이 없는 여행이 있을 수 없다. 지금 우리 인류도 우주로 우주선을 쏘아 올린다. 우주로 나아가려고 한다. 왜? 지구에서 머물지 않고 우리들의 삶터를 확장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기 때문이다. 또 지구가 위기에 처했기에 인류가 살아갈 또다른 고향을 만들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이 소설에서 생각해야 하는 지점이 있다. 아서 덴트는 방황하고 지구를 그리워한다. 그는 분명 지구가 없어졌다는 사실을 안다. 그럼에도 다중우주에서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자, 작가가 그 가능성에 주목했다면 이 소설의 결론이 지구 파괴로 끝나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냥 수많은 은하계 또는 다른 우주 행성 중에 인류가 살아가는 행성이 있고, 아서 덴트는 그곳에서 잘살아가게 서술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아니다. 지구가 없어진다면, 인류가 살아갈 삶터는 우주 어디에도 없다고 보아야 한다. 자신이 살고 있는 행성을 스스로 파괴하면서 어찌 다른 행성에서 살아갈 수 있단 말인가. 불가항력이라는 말처럼, 인류 스스로가 아니라 천체 법칙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지구를 떠날 수밖에 없다면 그때는 아이네이아스처럼 또다른 행성을 향해 나아갈 수 있고, 그 행성에서 인류는 다른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그때는 히치하이킹을 하든, 우주선으로 정상적인 여행을 하든, 그렇게 되겠지만, 이소설에서처럼 지구가 파괴된다면, 어디로 가든 견딜 수 없게 된다. 아서 덴트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사라져 버리는 사랑하는 사람 펜처치처럼 우리 인류에게도 그런 삶이 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여 재미있게 읽으면서, 그냥 우연이 겹치는 그 우연성에 쉽게 페이지를 넘기다가 마지막 권에 와서는 무언가 찡한 느낌을 받는다. 지구로 돌아왔지만 지구가 다시 파괴되어 버리는 순간. 그 순간 지구에 머무는 아서 덴트.


그렇다. 이 소설은 SF소설이라고 하지만 다른 SF소설과는 다르다. 상당한 우연들이 겹치고, 황당무계한 도저히 현실과 연결지을 수 없는 사건들이 일어나지만, 결국에는 그것이 인생임을 생각하게 한다.


인생이 과연 필연으로만 이루어질까? 우리 인생을 생각하면 수많은 우연들이 모이고 겹치지 않는가. 나중에야 그것들을 필연이라는 이름으로 거기에 해당하지 않는 우연들을 빼버리게 되지만, 그 과정은 수많은 우연들의 겹침이다. 그게 인생이다. 그리고 우리 인생은 우리가 목적한 대로만 되지 않음을, 우리 의도와는 상관없이 이루어지기도 함을 생각하게 한다.


어쩌면 우리는 삶이라는 여정을 히치하이킹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기대하지 않았던 또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들이 일어나는 과정. 그럼에도 히치하이킹에는 늘 함께 하는 존재가 있다. 우리 삶도 그렇지 않은가. 철저하게 혼자라고 생각해도 가만히 보면 어떤 존재와 함께 하고 있다. 그렇게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라는 소설은 우리 삶의 우연성을 생각하게 해준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1-12-09 16: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꽂아놓고 감상만 하고 있는 책인데...
이 달의 리뷰 축하드려요

kinye91 2021-12-09 17:31   좋아요 3 | URL
감사합니다.

얄라알라 2021-12-12 16:48   좋아요 1 | URL
그레이스님, 제가 뒤늦게 백신 맞고 부작용인가,....
꽂아놓고를
꽃만 놓고 감상하고 있다고 읽었어요^^;;

두 분의 소장 책이시네요. 여기저기서 많이 들어보고 추천받은 책이라 친근합니다. kinye님 당선 축하드려요^^

mini74 2021-12-09 16:2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축하드립니다 *^^*

kinye91 2021-12-09 17:32   좋아요 3 | URL
감사합니다.

쎄인트saint 2021-12-09 17: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리뷰 선정 축하드립니다~!!

kinye91 2021-12-09 17:32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

이하라 2021-12-09 18:3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드려요 ^^

kinye91 2021-12-09 21:14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

잭와일드 2021-12-09 22:3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리뷰 당선 축하드립니다~^^

kinye91 2021-12-10 05:37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

scott 2021-12-10 00:41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 합니다 ^^

kinye91 2021-12-10 05:37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