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중빈·송규 -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 ㅣ 창비 한국사상선 20
박중빈.송규 지음, 허석 편저 / 창비 / 2024년 7월
평점 :
생소한 이름일 수도 있다. 박중빈은 들어봤는데, 송규는 처음이었다. 하긴 원불교 신자도 아니고, 관심이 있었던 것도 아니니, 원불교를 창시한(?) 사람이 박중빈이라는 사실은 역사 시간을 통해서 알고 있었지만, 그 다음을 이은 사람까지야.
종교 지도자로 볼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를 이끌어온 사상가로도 볼 수 있다. 사상가로 이들을 보면 굳이 종교라는 틀에 가둘 필요가 없다. 이 책에 실린 박중빈의 [대종경]을 보아도, 특정 종교로 국한시키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든다.
근본은 하나이기 때문에, 많은 종교들이 나왔지만, 그것은 방편에 불과하고, 그 종교들이 추구하는 목표는 같다는 것이 박중빈의 말이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는 사이비 종교는 뺀다. 박중빈 역시 당시 유행하던 사이비 종교에 대해서는 종교나 사상으로 보지 않았으니까.
그렇다면 이들의 사상이 무엇일까?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기 위한 사상 아니던가. 그 행복이 어떤 사람에게는 물질적 부를 뜻하고, 어떤 사람에게는 권력을 뜻할 수도 있겠지만, 사상가들이 말하는 행복이란 진리를 깨우치고, 진리를 실천하면서, 그 진리를 후대에 전하는 것 아니겠는가.
이런 행복 추구를 모든 사람들이 한다면 그 사회는 조화를 이룬 사회가 될 터이다. 그런 사회를 추구하는 사상가니, 어떤 특정한 종교에 가두어서는 안 된다.
이 책에는 [정전]과 [대종경]이 수록되어 있고, 정산 송규가 쓴 [정산종사법어] 중 일부와 천부경 해설이 실려 있다.
무릇 모든 종교의 경전이 그렇듯이 좋은 말, 경청해야 할 말, 실천해야 할 말들이 실려 있다. 박중빈이나 송규가 말하듯이 말보다는 실천이 중요하다는 것, 그럴 듯한 말만 늘어놓아서는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없음을 생각하게 한다.
무엇보다 쉬운 말로 표현을 하고 있어서 이해하기가 쉽다. 이해하는 데서 그치면 안 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해야 하는데, 그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누누이 이야기하고 있으니 더 부연할 것도 없고...
읽다가 이런 구절을 발견하고는, 정말 우리가 명심하고 자신을 돌아보아야 할 말이구나 했다.
'세상에 세가지 제도하기 어려운 사람이 있나니, 하나는 마음에 어른이 없는 사람이요, 둘은 모든 일에 염치가 없는 사람이요, 셋은 악을 범하고도 부끄러운 마음이 없는 사람이니라.' (288쪽. 대종경, 요훈품 38)
햐, 이 구절, 누구에게 딱 맞는 구절 아닌가. 자기가 제일이라고 생각해서, 자기를 훈계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뻔뻔하게 잘못을 하고도 아니라고 우기는 사람, 그러니 그것이 악인 줄도 모르고, 혹 악인 줄은 알지만 전혀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 대표적인 사람이 누구인지 알만한 사람은 알리라. 그만이 아니라 그를 추종하는 사람들도 여기에 해당하니, 이들을 어떻게 제도(교육)할 수 있단 말인가. 박중빈 같은 사람도 힘들다고 했는데... 참.
그러니 요훈품에 나오는, 특별히 잘나지 않은 나같은 사람에게는 이 말이 다가온다. 보통 사람이라고 공을 받지 말라는 법은 없으니. 그 사람에게 특별한 수행법이 아니라 그냥 보통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면 된다고 하니.
'대중 가운데 처하여 비록 특별한 선과 특별한 기술은 없다 할지라도 오래 평범을 지키면서 꾸준한 공을 쌓는 사람은 특별한 인물이니, 그가 도리어 큰 성공을 보게 되리라.'(288쪽. 대종경, 요훈품 40. )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 내가 있는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사는 일, 박중빈은 도를 닦기 위해 특별히 출가해야만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모든 곳에서, 모든 시간에서 수행을 할 수 있다고 했으니.
내가 할 수 있는 일. 그것을 꾸준히 하는 것, 다만 그것이 진리의 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 이 책을 읽은 내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이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