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의 시선 - 역사학자 전우용의 시대 논설
전우용 지음 / 삼인 / 2025년 3월
평점 :
시간을 선으로 인식하면, 한번 지나온 시간은 다시 경험할 수 없다. 일직선인 선, 앞으로만 나아가는 선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렇겠지만, 역사라는 시간은 하나의 선이 아니다. 직선이 아니다. 곧장 앞으로만 나아가는 선이 아니다.
역사라는 선은 앞으로 뒤로 옆으로 위로 아래로 중첩되어 있는 선이다. 지금 자신이 살고 있는 시간이 직선 위의 한 점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 그리고 주변의 여러 시간들이 함께 있는 점이다.
이 점들에는 다양한 삶들이 함께 들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역사를 공부해야 한다. 자신이 어디에 서 있는지, 어디로 나아갈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을 자주 하지만, 그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또 역사를 현재로 불러와 미래를 대비하지 못한다면 역사를 잊지 않는 의미가 없다.
제대로 된 역사 인식이 중요한데, 자기 이익을 중심으로 과거를 불러오는 것은 역사를 잊은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고, 과거는 과거일 뿐이니 그것을 자꾸 불러오는 것은 오히려 현재를 붙잡아두고 있을 뿐이라는 말도 역사를 잊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는 결코 과거에 머물지 않는다. 현재에도 끊임없이 살아서 움직인다. 누가 '정치는 생물이다'라고 했는데, 역사 역시 생물이다. 과거의 유물로만 남아 있지 않다. 현재에 끊임없이 들어와 현재의 삶을 이끌어간다. 어디로? 바로 미래로.
그래서 역사에는 미래-현재-과거가 모두 담겨 있다. 시간의 선에서 역사라고 할 때, 우리가 있는 현재의 점에는 미래-현재-과거가 함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사를 잊은'이라는 말에는 현재의 자기가 처한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전망 역시 갖고 있지 못하다는 말과 통한다.
전우용이 쓴 이 책은 여러 매체에 기고했던 글이라고 한다. 시일이 조금 흐른 글들도 있고, 최근의 일을 다룬 글들도 있지만, 역사라는 선에서 시일이 지났다, 최근이다는 그리 큰 차이가 없다고 본다.
'지금-여기'에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인데... 지금 벌어지는 일들과 비슷한 일들이 역사 속에서 얼마나 반복되고 있었는지, 그렇게 반복되도록 과거를 묻어두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을 한다.
우리 역사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통해서 현재를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생각하게 하는 글들을 모았는데... 이 글을 읽으면서 어째 이리 반복된 일들이 많을까 하는 생각... 이렇게 반복했는데 왜 더 나아가지 않았을까? 정말 역사를 잊고 살았던가? 아니면 억지로 역사를 생각하지 않게 했던가.
이 책에서 '시키는 대로만'이라는 글과 '가만히 있으라'는 글을 읽으면 참... 어쩌면 우리는 이런 일들에 익숙해져 있는지도 모른다고... 어린 시절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대다수의 한국 사람들이... 요즘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늘고 있지만) 학교 교육을 생각해 보면, 이 말이 딱 맞는다.
'시키는 대로만'하고 '가만히 있으라'고... 서울의 모 학교에서 학생들이 발간한 신문을 압수했다는 기사가 지금도 나오고 있는 것을 보면, 무려 9년의 의무교육, 게다가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에 가까우니 12년의 학창 생활 동안 몸에 익히는 것이 바로 '시키는 대로만'과 '가만히 있으라'라면, 미래는 암담하다.
(이제 학생들은 '시키는 대로만'하지 않고, 또 '가만히 있지'도 않는다. 그들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런 행동을 다시 생각하고 싶지 않은 '비상계엄' 사태 때 만나게 되었다. 이들은 과거를 통해 현재를 미래로 이끌어갔다.)
창의성이 우선시 된다고, 이제는 인간과 기계(아, 그냥 기계가 아니다. 인공지능이다)가 함께해야 하는 사회에서 '시키는 대로만' 잘하는 '기계'를 어떻게 인간이 능가하겠는가. 그러니 이 말들이 통용되었던 과거를 생각하면, 현재-미래에서는 이 말들이 더 이상 쓰이지 않게 해야 한다.
이것이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지(知)와 식(識)'을 구분하고 있는데(지(知)와 식(識) 사이의 거리'), 학교는 지(知)가 아니라 식(識)을 익히는 장소이니, 이러한 '식'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 학교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말이 '시키는 대로'와 '가만히 있으라'가 아닌가 한다.
'지(知)란 사람이 나면서 저절로 아는 것, 곧 오성(悟性)으로 얻는 '앎'이요, 경험으로 깨닫는 '앎'이다. 반면 '말씀 언(言)', 소리 음(音)', 창 과(戈)'로 구성된 '식(識)'은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들어 얻는 '앎'이다. '학이습지(學而習之)', 즉 배우고 익혀야 하는 앎이다.'(304쪽)
지식이라는 말에도 이런 뜻이 있음을 알게 된다면, 현재를 바꾸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왜냐하면 관성대로 지내지 않고 미래를 위해 현재를 과거와 다르게 해야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역사의 쓸모'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것은 그래서 '식'에 해당하고, 학교에서는 이러한 '식'에 힘쓰는 것이다.
이런 '식'에 어떻게 '시키는 대로만'과 '가만히 있으라'가 통용될 수 있단 말인가. 전우용의 이 책을 읽으면서 역사를 통해 과거가 우리의 미래를 현재에 들여와 현재의 삶을 바꿀 수 있음을 더 인식하게 되었는데...
마지막에 실린 글에 언어를 통한 통찰. 지금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 여전히 세계는 전쟁 중인데... 그 점을 생각해 본다. 마음에 새겨둘 말이다.
'사실 평화의 반대말은 전쟁이 아니다. 평(平)은 높낮이가 없는 상태를 뜻하는 글자로 반대되는 글자는 '차(差)'이다. 화(和)는 서로 다른 것들이 따로 놀지 않고 잘 어울려 있음을 뜻하는 글자로 반대되는 글자는 '별(別)'이다. 평화의 반대말은 차별이다.
총성이 울리든 아니든, 대량 살상 무기가 사용되든 아니든, 지금도 온 세상이 매일매일 전쟁 중이다. 힘으로는 결코 항구적 평화를 이룰 수 없다. 평화로운 세계는 차별 없는 세계와 같은 뜻이기 때문이다.'(330쪽)
이렇게 이 책에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인식할 수 있는, 그래서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글들이 많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