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나물
볕 좋은 곳에서 잎도 없이 꽃대만 불쑥 올렸다. 국화 닮은 꽃을 무슨 할 말이 많아서 봄에도 피고 가을에도 피는 것일까. 그 타박이 쑥스러웠는지 가을엔 폐쇄화로 핀다.

솜나물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봄과 가을 전혀 다른 모습이다.

4~5월에 피는 봄꽃은 긴 꽃자루 끝에 백색에 가까운 연한 자색을 띠며, 꽃잎 뒷면도 자색을 띤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으로 쓰인다.

솜나물은 식물체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솜처럼 붙어 있어 유래된 이름이다. '발랄'이라는 꽃말은 봄 가을 전혀 다른 모습의 생태에서 연유된 것은 이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산가遊山歌

화란춘성하고 만화방창이라. 때 좋다 벗님네야 산천경개를 구경을 가세.

죽장망혜단표자로 천리강산 들어를 가니, 만산홍록들은 일년일도 다시 피어 춘색을 자랑노라.

색색이 붉었는데, 창송취죽은 창창울울한데 기화요초난만중에 꽃 속에 잠든 나비 자취 없이 날아난다.

유상앵비는 편편금이요, 화간접무는 분분설이라. 삼춘가절이 좋을씨고 도화만발점점홍이로구나.

어주축수애산춘이라던 무릉도원이 예 아니냐. 양류세지사사록하니 황산곡리당춘절에 연명오류가 예 아니냐.

제비는 물을 차고 기러기 무리져서 거지중천에 높이 떠 두 나래 훨씬 펴고 펄펄펄 백운간에 높이 떠서 천리강산 머나먼 길을 어이 갈꼬 슬피운다.

원산 첩첩 태산은 주춤하여 기암은 층층 장송은 낙락에 허리 구부러져 광풍에 흥을 겨워 우쭐우쭐 춤을 춘다.

층암절벽상의 폭포수는 콸콸 수정렴 드리운 듯 이골 물이 수루루루룩 저골 물이 솰솰 열의 열골 몰이 한데 합수하여 천방져 지방져 소쿠라져 펑퍼져 넌출지고 방울져 건너 병풍석으로 으르렁 콸콸 흐르는 물결이 은옥같이 흩어지니

소부 허유 문답하던 기산영수가 예 아니냐.

주곡제금은 천고절이요 적다정조는 일년풍이라. 일출낙조가 눈앞에 어려라(버려나니) 경개무궁 좋을시고.

*경기 12잡가 중 한 곡으로 봄을 맞아 구경하기를 권하고 봄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노래한다.

초록에 초록을 더하더니 어느사이 경계가 사라졌다. 어느 무엇이 더 돋보이는 시절보다야 눈요기 거리는 덜하지만 서로 품어 안아 너와 내가 구분 없는 이 시절이 더 귀한 것 아니던가. 봄도 끝자락으로 달려가는 이때, 마음씨 좋은 벗님들과 산천경개 어느 곳에서 만나지기를 빌어본다.

https://youtu.be/oPRAvjCFAjQ

매번 이춘희 명창의 유산가를 듣다가 이번엔 젊은 소리꾼 강효주의 소리로 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각시붓꽃
연분홍 진달래가 지고 산철쭉이 피기 시작하면 꽃을 찾는 눈길은 땅에서 높이를 점차 높여간다. 그럴때 아직은 아니라는듯 키는 작지만 특이한 모양과 강렬한 색으로 눈을 사로잡는 꽃이 있다.

삼각형 모양의 보라색 길다란 꽃잎에 선명한 무늬를 새기고 하늘을 향해 마음껏 펼쳤다. 꽃줄기 하나에 꽃이 한 송이씩 달린다. 햇살이 잘 들어오는 양지바른 곳에 주로 자라며 큰 군락을 이루는 곳은 별로 없고 대부분 군데군데 모여 핀다.

붓꽃 종류 중 가장 먼저 피고 키가 가장 작기 때문에 갓 시집온 새색시처럼 귀엽고 이쁘다고 '각시붓꽃'이라 한다.

미인박명이라 했던가 봄이 가기 전 꽃과 잎이 땅에서 모두 없어지고 만다. 옮겨 심는 것을 싫어하는 품종이어서 가급적 자생지에서 피어난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좋다. 같은 시기에 노랑색으로 피는 금붓꽃과 함께 숲으로 마음을 이끄는 꽃이다.

비슷한 꽃으로 넓은잎각시붓꽃이 있다. 현장에서 두 종류를 비교하면서 보고도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서로 닮았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된 이름이다.

피는 모습에서 연유한 듯 '기별', '존경', '신비한 사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삿갓나물
가던길 다시가도 눈에 들어오지 않으면 볼 수 없다. 그러다 문득 오랫동안 기다렸다는 듯 바로 앞에 있다. 꽃을 보는 일만 그러한 것이 아님을 알아간다. 사람과 더불어 사는 일도 마찬가지로 예쁘고 선한 마음으로 문득 그렇게 내 앞에 있다.

좌우대칭으로 조화를 이룬다. 짝수의 어울림도 홀수의 어긋남도 자연 속 그대로의 모습은 다 조화롭다. 거기에 빛의 어울림이 반영되어 빛남과 깊이까지 함께 한다. 이 만남이 이뤄내는 모습에서 인간이 창작한 그 모든 것의 원형은 자연에 있음을 다시금 확인한다.

삿갓나물이라는 이름은 잎이 돋아난 모양이 꼭 삿갓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늦봄에 피는 꽃은 녹색이나 한가운데는 노란색이며, 잎 중앙에서 꽃대가 길게 나와 1개의 꽃이 하늘을 향해 핀다. 잎이 7개 정도 되고 꽃줄기가 하나 올라온 것으로부터 '칠엽일지화'라고도 부른다.

독성을 지닌 것이 나물이라는 이름을 얻어 걱정스런 마음일까? '근심'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빨간 사랑이 데굴데굴, 앵도화櫻桃花

絳葩春艶艶 강파춘염염

朱實夏團團 주실하단단

붉은 꽃 봄날에 곱디 곱더니

빨간 열매 여름날 동글동글해

고려사람 이규보(李奎報)가 앵두를 노래한 시의 첫 두 구절이다. 꽃과 열매가 눈앞에서 보는 듯 생생하게 그려졌다. 옛사람들은 빨갛고 이쁜 앵두를 “사랑을 속삭이는 젊은이” 의 모습을 비유하는 많은 시를 남겼다.

一雙玉手千人枕 일쌍옥수천인침

半點櫻脣萬客嘗 반점앵순만객상

한 쌍의 옥 같은 손 천 사람이 베개 베고

반 점의 앵두 입술 만 사람이 맛 보네

판소리 춘향가에 나오는 대목이다. 앵순(櫻脣)은 즉 앵두 입술이다. 여인의 입술에 대한 비유가 여기에 이르러 최고봉에 오른 것이 아닌가 싶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세종과 문종 사이에 앵두를 두고 벌어진 일화가 전해진다. 앵두를 좋아한 아버지 세종을 위해 아들 문종이 궁궐에 앵두나무를 심어 궁궐에 온통 앵두나무뿐이었다고 한다.

*꽃 보기를 즐겨하여 여러 가지 과실수를 심었다. 덤으로 열매까지 얻을 수 있다면 좋은 일거양득이라는 생각이었다. 그렇게 심은 나무 중에서 꽃보다 열매에 주목한 것이 이 앵두나무다. 혹여 때맞춰 손님이라고 온다면 인심을 크게 써도 좋은 것이라 의도가 컷다.

크지 않은 나무가 가지마다 수없이 많은 꽃을 피운다. 그것을 다 감당할 수 있을까 싶은데 빨갛게 익은 열매를 보면 그 꽃이 다 열매로 맺힌 것 아닐까 싶게 넉넉한 품을 풀어 놓는다. 감당 못하는 것은 나무가 아니라 의도를 가진 주인이다. 수시로 따먹기도 하지만 마침 외출이라도 할양이면 한 봉지 가득 들고 나가고 그래도 남는 것이 많기에 담장을 사이에 둔 할머니들에게 나무를 통째로 내맡기기도 한다. 할머니들의 입가에 번지는 달콤한 미소는 앵두보다 이쁘고도 달았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