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실바위취
비슷한 시기에 같은 곳을 두번째 방문하여 숲에 들었다. 나름 눈에 익혀둔 환경이라고 발걸음이 저절로 옮겨진다. 여전히 볼 수 있는 것만 볼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비슷한 시기라지만 며칠 사이에 변하는 것이 생태라 발품팔아 눈맞춤해야 비로소 실감한다. 이번에도 늦었지만 그나마 꽃을 달고 있는 것도 있어서 겨우 눈맞춤 한다.

바위취라는 이름은 바위에 붙어 있는 나물이라는 뜻이고 구실바위취도 그 종류 중 하나다. 백록색으로 피는 꽃이 핀다. 주로 관상용이며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인다.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매우 적다.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자라는 한국 특산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분홍바늘꽃
어딘지도 모를 길을 따라나섰다. 비는 오고 길은 멀고 가파른 산길도 마다하지 않았다. 어찌 알았는지 토끼 한마리가 앞장서서 깡총거리며 한동안 길을 안내하더니 목적지 인근에서 숲으로 사라졌다.

절정의 때를 놓쳤다. 꽃봉우리는 지고 꽃 몇개를 꽃대 끝에 겨우 붙잡고 있는 모습이었지만 첫만남은 강렬한 느낌을 남겼다.

바늘꽃은 꽃이 진 뒤 씨방이 마치 바늘처럼 가늘고 길게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봉오리 모양도 길쭉하고, 꽃이 피었을 때 수술 꽃밥 끝도 바늘귀처럼 생겼다. 꽃은 연한 홍자색인데, 분홍색 꽃이 피는 종을 분홍바늘꽃이라고 한다.

큰바늘꽃, 버들잎바늘꽃이라고도 한다는 분홍바늘꽃은 청초라는 꽃말을 가졌다. 나만의 꽃사전에 새로운 종으로 추가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참골무꽃
낯선 바닷가의 시원스런 풍광에 마음 빼앗길 사이도 없이 돋보이는 색으로 시선을 사로 잡는다. 제주도 검은돌 바닷가에서의 첫 눈맞춤의 강렬함은 뇌리에 각인되어 시원스럽게 펼쳐진 그 바닷가와 함께 떠오르는 꽃이다.

골무꽃, 정겨운 이름이다. 골무는 여자들이 바느질할 때 사용하는 도구인 골무를 의미한다. 씨방이그 골무를 닮아 골무꽃이라 부른다. 참이란 진짜라는 의미로 진짜골무꽃이라는 뜻일테지만 골무꽃은 따로 있다.

골무꽃, 산골무꽃, 광릉골무꽃, 호골무꽃, 그늘골무꽃, 애기골무꽃, 왜골무꽃 등 꽤 많은 골무꽃이 있어 구분이 쉽지 않지만 참골무꽃은 색감과 사는 곳으로 금방 알아 볼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비기나무
꽃이 기억되는 계기는 꽃마다 다르다. 언제 어디서 누구와 봤는가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대부분 혼자 보는 꽃이라서 때와 장소의 그날의 상황이 주를 이루지만 간혹 함께한 사람으로 기억되는 특별한 경우가 있다.

1004 섬으로 유명한 신안군의 한 섬인 가란도를 걷다 처음으로 만났다. 모처럼 딸아이와 함께 걸으며 만났으니 당연히 딸과 함께했던 온통 그 시간으로 기억된다.

입술을 내밀듯 연보라색의 꽃이 독특하다. 가을로 가는 바닷가를 장식하고 있다. “열매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베개에 넣어두면 두통에 효과가 있다” 것처럼 꽃도 꽃이지만 열매로 더 유용한 식물이라고 한다.

순비기나무라는 이름은 해녀들이 물질할 때 내는 소리인 ‘숨비소리’, ‘숨비기 소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해녀들의 만성두통 치료제로 애용되었을 정도로 해녀들의 삶과 깊은 관련이 있나 보다. '그리움'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탉의 벼슬 같은 맨드라미

醬甕東西增一格 장옹동서증일격
鳳仙紅白共繁華 봉선홍백공번화

장독대 이편 저편 운치를 더했거니
희고 붉은 봉선화와 함께 피어 있구나.

추사 김정희의 〈계관화〉 시 끝구다. 예전부터 봉선화와 함께 장독대나 울타리 밑에 심었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맨드라미는 그 꽃이 수탉의 벼슬과 같아서 한자로 계관화(鷄冠花)라고 쓴다. 똑같은 맨드라미라도 그 모양이 부채처럼 퍼진 것도 있고, 혹은 울타리처럼 넓적한 것도 있다. 또 혹은 덮여 늘어진 것도 있다. 그 이름이 제각기 다르고, 그 빛으로 말하더라도 아주 선연하게 붉은 것도 있고, 연분홍과 엷은 황색과 순백색도 있다. 혹은 한 송이에 두 가지 혹은 세 가지, 다섯 가지 색깔이 뒤섞인 것도 있다.”

“맨드라미는 5,6월이 되면 그 줄기 끝에 닭의 벼슬 같은 꽃이 피어, 8,9월에 서리가 내릴 때까지 그대로 계속된다. 꽃이 고운 것보다도 피어있는 기간이 오래여서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예전부터 이 꽃은 많이 재배했던 모양이다. 지금부터 7,8백 년 전에 고려의 시인 이규보가 자기 집 동산에 활짝 핀 맨드라미를 사랑해서 장편의 시로 노래한 것만 보더라도 이런 사정을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다음은 “꽃을 사랑하고 시를 좋아했던” 고려사람 이규보의 시다.

鷄已化花艶 계이화화염
云何在溷中 운하재혼중
尙餘前習在 상여전습재
有意啄蛆虫 유의탁저훼

닭이 이미 꽃으로 변화하여서
어이해 뒷간 가운데 있나.
아직도 옛 버릇 그대로 남아
구더기 쪼아먹을 생각있는 듯.

사진은 내가 사는 동네 입구, 수로 가에 있는 맨드라미다. 매년 탐스럽게 자라나 붉디붉은 꽃을 큼지막하게 피운다. 출 퇴근 길에 눈맞춤하며 대부분 차로 지나치지만 매년 한번씩은 차를 세우고 다가가 인사를 나눈다. 여름과 가을 사이에 마음을 지키는 수호신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