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 그림 같다 - 미술에 홀린, 손철주 미셀러니
손철주 지음 / 생각의나무 / 2005년 9월
평점 :
절판


그림과 인생이 다르지 않다

가끔 지난 시간 나의 책읽기 흐름을 생각해 본다. 지금 읽고 있는 책이 어디로부터 시작된 흐름으로 나에게 온 것일까 하는 의문과 함께 그간 읽었던 책의 공통성을 찾아가보는 것이다. 나의 책읽기는 몇 가지 흐름을 가지고 있다. 역사와 미술도 그중 한 분야이다. 이 두 가지 흐름을 관통하는 것은 역사와 사람이다. 사람들의 살아온 삶의 흔적이 역사이며 그 역사의 중심에 사람이 있다는 맥락이다. 하여, 사람의 흔적이 구체적으로 남아 있는 문화유적과 옛그림으로 모아졌다.

 

이런 관심사의 출발은 한사람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한사람은 조선후기를 살았던 청장관 이덕무다. 규장각 검서관으로 활동했던 이덕무를 중심으로 소위 백탑파로 불리웠던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백동수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들의 사람 사귐과 그들이 남긴 글로 모아졌다. 다른 한 흐름으로 옛그림에 대한 관심은 오주석의 우리 옛그림 읽어주는 책을 통해서 조선 시대 활동했던 화가들의 그림으로 확산된 것이다.

 

인생이 그림 같다의 자자 손철주도 우리 옛그림 읽어주는 책의 저자로 그의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손철주는 이미 옛 그림 보면 옛 생각 난다’, ‘꽃피는 삶에 홀리다’,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그림 보는 만큼 보인다’, ‘, 그림이다등으로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인생이 그림 같다는 손철주의 글맛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는 글들의 모음이다. 그림을 읽어가는 방법과 그것이 한 사람의 일상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등 구체적인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 여기에는 한국화는 물론이고, 중국화, 일본의 우키요에, 서양화, 팝 아트, 체 게바라 사진, 괴짜 사진가 헬무트 뉴튼 등 특정한 그림을 촘촘하게 읽어준다. 뿐만 아니라 고려 다완이나 토우, 옹기 등 옛 사물에 담긴 추억을 이야기한다.

 

손철주는 그림을 감상하는데 어려움을 토로하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그림감상을 할 것인지에 대한 솔직하고 직접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많이 볼수록 그림읽기가 잘 되고, 자신만의 느낌과 감각으로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과 같은 의미다. 또한 예술 작품에 대한 미술평론가들의 천편일률적인 해설 방식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자신만의 시각으로 흥미롭게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그 느낌을 공유할 수 있는 길을 안내하기도 한다.

 

손철주의 글이 가지는 특별한 맛이 있다. 그의 글은 억지스럽지 않고, 설교적이지 않고, 가볍지 않은 지성이 독자적인 감각을 얻은 문체에 실려 쉬이 재미나게 읽힌다라는 평을 받고 있다. 더욱 한글의 독특한 말을 찾아내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어 글 맛을 더해간다. 독특한 시선으로 그림을 바라보고 그 시선을 자신만의 언어로 쉽게 풀어가는 그의 이야기에 매료되어 우리 옛그림과 예술작품을 접하는 기회를 갖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 다행이다'
나와 다른 사람들이 내 마음과 같지 않아서 참 다행이다
내 마음과 같아서 내가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넘쳐난다면


나와 다른 사람들이 내 마음 알지 못해서 참 다행이다
내 마음을 알아서 내가 하는 생각을 사람들이 모두 안다면


난 아마 자유롭지 않을거야 어디를 가든 어떤 생각을 하든
내가 혼자 있는 시간은 존재할 수 없을 거야
음 우우 우우우우 내 마음과 같지 않아서 내 마음을 알지 못해서 참 다행이다


나와 다른 사람들이 내 마음과 같지 않아서 참 다행이다
내 마음과 같아서 내가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넘쳐난다면


난 아마 자유롭지 않을거야 어디를 가든 어떤 생각을 하든
내가 혼자 있는 시간은 존재할 수 없을 거야
음 우우 우우우우 내 마음과 같지 않아서 내 마음을 알지 못해서 참 다행이다


*'참 다행이다'는 작사ᆞ작곡 수안, 편곡 곽우영, 수안 스님의 노래다.


"막새바람"
2015.11.29. pm 5
가을에 부는 신선한 바람, 통기타 선율에 얹은 수안 스님의 공연이다. 아직 남은 가을의 끝자락에서 감성소통홀 '천칭자리'에서 수안 스님 노래와 함께했다.


소박하고 자유로우며 따사롭다. 조그마한 공간에 기타에 얹은 목소리가 진잔하게 퍼져간다. 가슴으로 전해지는 울림이 요란하지 않게 스미는 시간이다. 틀에 얽메이지 않은 감성소통의 바로 그 자리다. 잔잔하고 따스한 울림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다. 
12월 25일 예정된 공연도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라져가는 것들 잊혀져가는 것들 2 - 떠나가는 것은 그리움을 남기네 사라져가는 것들 잊혀져가는 것들 2
다할미디어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라져가는 한국만의 멋을 찾아서

일상을 살아가는 곳이 농촌지역이다면소재지우체국파출소보건소 등이 느린 걸음으로도 버겁지 않은 거리에 있는 곳이다그곳 한 구석에 오래된 정미소가 있다양철지붕이 녹슬고 구멍 나고 담벼락을 허물어져 속이 다 훤하게 보이는 곳이다여름한철이 지나는 동안 군데군데 새 옷을 입었다가을 추수기를 대비한 주인의 마음이 엿보이는 흔적이다아직은 수명을 유지하고 있는 듯 보여 안쓰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다행이다 싶다.

 

비슷한 연배를 보이는 주변사람들은 그런 감정을 공유하며 건네는 눈빛만으로도 충분히 알고 있다는 듯 다정한 말을 건넨다이럴 수 있는 것은 비슷한 시대를 살아온 일상의 공유가 있어서 가능한 일이다하지만 사회가 변하고 가치기준이 달라지면서 제 사명을 다하고 사라져가는 것들이 부지기수다.

 

원두막섶다리대장간죽방렴연탄손재봉틀술도가키질간이역똥개외나무다리줄배,흙집사립문너와-굴피집쟁기질바심삼농사모시길쌈소달구지피맛골활판인쇄닭서리,짚신지게마장터...”

 

이호준이 주목하는 것들이다현대문명 속에서 사라져가고 잊혀져가는 것들이다단순한 물건이 아니라 사람들의 삶이 구체적으로 베어있는 시간이고 장소이며 사람이다위에서 언급한 것들은 모두 농어촌의 정겨운 풍경들과 생활상을 비롯해 물질문명에 밀려난 전통문화의 원형과 사유에 관한 것들이다.

 

이호준의 글에선 무심한 사이에 하나 둘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넘어선 무엇이 있다일상이 버거웠던 사람들의 삶이 녹아 있는 유무형의 전통문화가 그 중심에 있기에 발품 팔아 찾았던 그 모든 것 속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읽어간다. “그래서 이들을 찾아가는 저자의 마음은 숙연하고 애틋할 수밖에 없으며그럴수록 이를 철저한 기록으로 남기고 전통문화의 흔적과 정신을 이어가는 작업에 더욱 의미를 두는 듯하다.”

 

사라져가는 것들 잊혀져가는 것들를 통해 저자 이호준이 주목했던 일상의 이미지는 이 책들의 부제로 쓰인 그때가 더 행복했네와 떠나가는 것은 그리움을 남기네로 집약된다고 볼 수 있다그만큼 사라져가는 것들 속에 함유된 정서에 대한 애틋함에 머무는 것이 아니다이를 기반으로 우리 전통문화의 아름다움한국적 멋을 발견하고 이를 소중히 기억하고 추억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있다저자가 이 책을 통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가 여기에 있다고 보인다.

 

또한 이호준의 이러한 발품팔이는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기록이라는 측면에서도 의미를 가진다사진과 글로 기록되어 잊혀져가는 것들에 대한 기록으로 남기고 전통문화의 흔적과 정신을 이어가는 작업이라는 의미가 한층 더한다이호준의 글맛에 깃든 진정성을 통해 한국만의 멋을 찾아가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대 쉴 자리'
잠시 누리는 늦은 가을 짧은 여유로는
서툴어 늘 헤매는 마음을 다독이기에는 버겁다.
내 돌아가 마음내려놓고 쉴 곳을 찾았으니
그대 이곳에서 편히 쉬어도 좋으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에 보금자리 마련하고 몇 번의 겨울을 나면서 '아ᆢ그래 이맛이야' 하는 것이 몇 있다. 오늘 아침 눈이 준 선물도 그 중 하나다.

아까워서ᆢ눈으로 담아두기에도 조심스러움이다. 여기저기 눈길로만 쓰다듬는 심정이 바로 이런 것이리라. 겨울 찬바람 몰고오는 등 뒤 바람을 탓하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겨울 가슴에 눈의 꽃 한송이 피워 그 향기로 살아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