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국립민속국악원 브랜드창극


'나운규, 아리랑'


2016.9.2(금)오후 7시 30분
3(토), 4(일) 오후 3시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한민족의 가슴에 꽃이된 노래 아리랑
그리고 나운규의 삶과 영화를 담아낸 창작 창극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록된 '아리랑'은 지역적 특색을 충분히 반영하며 다양한 가사를 바탕으로 수많은 아리랑이 존재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로 시작되는 우리가 쉽게 부르는 아리랑은 무엇일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로 시작되는 아리랑이 불려지게 된 직접적 개기는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 아리랑과 그 아리랑이 들어간 영화 아리랑을 만든 나운규라는 사람에 주목하여 새롭게 창극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국립민속국악원에서 무대에 올린 '나운규, 아리랑'이다.


이 창극 '나운규, 아리랑'은 두가지의 이야기 흐름을 가진다. 하나는 인간 나운규의 예술인으로의 삶과 고뇌와 영화 아리랑이 전해주었던 감동 이야기다. 아리랑이 담보하는 이미지와 예술인으로서 나운규의 인간적 삶까지 충분히 반영된 무대다.


독특한 무대장치와 두개의 이야기의 구조,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시간 구성 등으로 절묘하게 엮어지며 흐르는 무대는 관객을 압도하고도 남는다. 주목되는 것은 원형 무대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구조에 아리랑 고개를 형상화한 무대장치가 주는 구분과 결합의 구조는 시계바늘의 시.청각적 효과에 의해 저절로 이뤄지는 듯하다. 더불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며 극의 감정을 이끌어가는 음악도 크게 돋보인다.


아쉬운 점은 극이 시작되는 시점에 극의 구성을 이야기해 주는 자막이 있긴 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다는 점이다. 자막의 설명과 음성 해설이 덧붙여진다면 몇분간의 침묵 속 어색함도 없애고 극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만드는 계기가 되리라고 본다. 이는 다소 복잡한 이야기 구조를 따라가기에 버거운 점을 해소해주는 더 적극적인 방법이 아닌가도 싶다.


무더운 여름철 문화공연의 가뭄 속에 기다려온 무대인 만큼 그 기다림을 충분히 만족시켜주는 무대였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 무대가 주는 감동을 누릴 수 있길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백양꽃'
붉다. 다른 것과 구별되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특별히 붉은 이유가 따로 있을까? 상사화랑 같은 집안이다. 백양사가 아닌 송광사 불일암에서 첫 눈맞춤 한다.


우리 나라 특산식물의 하나다. 수선화과에 속하는 알뿌리식물로 계곡이나 풀숲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백양꽃이란 이름은 전남 백양사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상사화와 비슷하지만 식물체가 나약하고 꽃이 보다 아름답다.


가재무릇, 가을가재무릇, 조선상사화, 고려상사화라고도 한다. '초가을의 그리움'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생,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
-이옥 지음, 심경호 옮김, 태학사

이옥(1760~1812), 조선 후기의 새로운 문풍을 대표하는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1790년(정조 14)에 생원시에 급제하였다. 성균관 유생으로 있던 1795년, 응제의 표문에 소설문체를 썼다는 이유로 충군充軍의 벌을 받았다. 1800년 2월에 완전히 사면되었으나, 관직에는 나아가지 못하고 불우한 생활을 하였다.

사실적이면서 개인의 정감을 중시하는 매우 개성적인 시와 산문을 남겼고, 희곡 '동상기'도 지었다. 그의 산문은 친구 김려(1766~1822)가 엮은 '담정총서'에 수록되어 전한다.

정조의 문체반정의 대상으로 고초를 겪었던 이옥의 산문을 모아 놓은 책이다. 그의 글에 담긴 무엇이 그를 곤경에 처하게한 것인지 흥미롭게 살피고자 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6-09-03 20: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리에게 이상적인 군주로 알려진 정조 시대에도 이런 사상적 통제가 있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무진無盡 2016-09-03 20:41   좋아요 1 | URL
문체반정은 왕 정조의 왕권강화를 목적으로 한 문풍개혁의 대체방안으로 복고적이며 보수적인 정학이나 경학으로 표현되는 성리학의 주석적 기능만을 옹호하게 된 것이라고 하지요.

겨울호랑이 2016-09-03 20: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결국 정조의 개혁은 자신의 왕권 강화라는 생각이 듭니다. 일각에서는 정조가 조금 더 살았다면 남인을 중용해서 서양문물을 주도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는데 문체반정으로 미루어볼 때 사실과 거리가 있어 보이네요..

무진無盡 2016-09-04 21:02   좋아요 1 | URL
정조에대해 다분히 미화된 부분이 많은 것은 우리의 현실에서 훌륭한 대표를 얻지 못한 아쉬움 때문인 듯도 합니다.
 

열린 공간을 지향한다며 하늘을 통으로 들여와 지붕없는 공간을 만들었다. 어디서나 하늘이 보이지만 정작 발딛고 선 땅에선 길을 잃고 갇히고 만다.

건물과 건물, 그 사이 좁은 통로를 걷는 사람들 사이에서 걸음을 멈추고 문득 바라본 하늘이다.

휴ᆢ비로소 숨을 쉰다.
열린 숨구멍으로 가을이 통으로 들어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땅귀개'
자박자박 물기가 밟히는 습지에 노랗게 빛난다. 작아서 허리를 숙이고 숨을 멈추며 주목해야 눈맞춤이 가능하다. 주걱턱을 한껏 벌려 마중하는 모습이다.


모든 생명은 사는 방법이 제 각각이다. 식물이면서 곤충을 잡아 먹으며 사는 것을 식충식물이라 하는데 이 녀석도 같은 종류다.


우리나라 전역 습기가 많고 물이 고여 있는 양지의 풀숲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실같이 가는 흰색의 땅속줄기가 땅 속을 기면서 뻗고 벌레잡이주머니가 군데군데 달린다. 잎은 줄 모양이고 땅속줄기의 군데군데에서 땅 위로 나오며 녹색이다. 밑부분에 벌레잡이주머니가 있다. 벌레잡이 주머니로 습지의 벌레를 잡아먹으며 산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꽃에는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포(苞)는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며 그 조각은 넓은 달걀 모양이다.


꽃이 진 후에는 꽃밥이 커져서 귀이개 모양이 되는데, 이러한 이유에서 땅귀이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습지 생태계가 많이 파괴되어 국가적으로 취약 종으로 분류하여 관심을 갖고 보존·추적하는 식물이다.


이알초, 땅귀이개라고도 하는 땅귀개는 식충식물이라 그럴까 '파리의 눈물'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울호랑이 2016-09-03 20: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식충 식물인데 참 아름답군요.. 그래서, 역설적으로 곤충이 몰려드는지 모르겠습니다.

무진無盡 2016-09-03 20:37   좋아요 1 | URL
사는 곳에 적응한 결과가 아닌가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