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소화

장마 내내 하늘에서

늙어 가는 세월

億龍門僧 억룡문승

雪消庭畔蒼巖大 설소정반창암대

潮滿樓前落日紅 조만루전락일홍

惆悵高僧難再見 추창고승난재견

凌霄花老海雲中 능소화노해운중

용문의 스님을 추억하며

눈 녹으면 뜰에 커다란 바위 푸르고

만조 때 누각 앞에는 지는 해 붉었지.

슬프구나, 고승은 다시 만나기 어렵고

능소화만 운해 사이에서 늙어 가겠지.

-김창업, '노가재집' 권4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사십 오번째로 등장하는 김창업(金昌業, 1658~1721)의 시 "億龍門僧 억룡문승"이다.

능소화는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심어 기르는 덩굴나무다. 한여름에 주황색으로 피는 꽃으로 많은 이들이 좋아한다.

凌霄花능소화, 이름 그대로 하늘을 침범하는 꽃이다. 벽이나 나무 등을 타고 올라 꽃을 피우는 모습에서 얻은 이름인듯 싶다.

일반적으로 능소화에 대한 이미지는 중국의 전설과 연관이 있다. 이쁜 궁녀(소화)가 임금의 성은을 입어 후궁이 되었지만 다른 여인들의 질투로 왕이 두 번 다시 소화를 찾지 못했다. 임금에 대한 그리움과 기다림에 지친 소화는 상사병이 들어 죽었고, 유언에 따라 담장 밑에 묻었는데 이듬해 여름날 그 담장 주변에 이름 모를 아름다운 꽃이 피었다. 사람들은 ‘소화를 능가하는 꽃’이라 해 능소화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꽃이 귀한 여름에 화사하게 피는 능소화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에게 내리는 종이꽃 어사화로 능소화가 쓰여 양반들이 좋아하는 꽃이기도 했다. 흔치 않은 꽃이라 양반집에만 심었다고 해서 "양반꽃"이라고 한다.

이 책에서 인용한 김창업의 능소화에 관한 시는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다른 의미로 왜 인용했는지 의문이다.

요사이 능소화는 많이 보급이 되어 여기저기에서 흔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담장이나 건물 벽과 어우러져 피는 모습은 장관이어서 많은 이들이 인증사진을 찍는 명소가 되기도 했다. 그중 한곳은 알 수 없는 이에 의해 잘려나가 꽃을 좋아하는 이들에게 큰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내가 사는 집 담장에도 능소화를 심었고 제법 모양을 갖추었다. 여름 내내 집을 들고나는 사람들에게 꽃이 주는 다양한 느낌을 공유할 수 있어 좋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귀나무꽃

밤마다 끌어안는 부부의 정

奩體 염체

重重繡幕遮 중중수막차

簷角燕雙斜 첨각연쌍사

最羨階前樹 최선계전수

能開夜合花 능개야합화

겹겹이 비단 장막 쳐져 있고

처마에는 제비가 쌍으로 날아드네.

가장 부러워하노라, 섬돌 앞 나무에

야합화가 잘 피어날 수 있음을.

-이수광, 지봉집 권1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사십 일번째로 등장하는 이수광(1563~1628)의 시 "奩體 염체"다.

자귀나무는 콩과식물로 낙엽지는 나무다. 자귀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나무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밥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귀나무는 밤이면 잎이 오므라들어 합해지는다는 것을 보며 합한수 또는 합한목으로 불렀다. 자귀나무의 짝을 이룬 잎들의 결합이 곧 남녀의 사랑의 성취를 상징하는 의미를 부여 했다. 여기에 주목하여 창가에 심어두면 부부의 금실이 좋아진다며 심었다고 한다.

예전에 살던 아파트에 저법 큰 자귀나무가 있었다. 나름 수형을 갖춘 나무는 여름이면 부챗살처럼 펼쳐놓은 분홍색 꽃을 가득 피웠다. 꽃은 아름다우나 꽃술에서 떨어지는 끈적이는 액체로 인해 바닥에 흔적을 남기기도 한다. 이런 모습이 싫어 뜰에 들이지 않았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꽃

명리에 물들지 않는 고결한 군자

詠蓮 영련

風來水面遠飄香 풍래수면원표향

浮植亭亭異衆芳 부식정정이중방

料得濂溪當日愛 요득렴계당일애

非關翠蓋興紅粧 비관취개흥홍장

연꽃을 읊다

물 위로 바람 부니 멀리 향기 퍼지고

깨끗하고 곧게 자란 것이 뭇꽃과 다르네.

생각건대 염계가 당시에 사랑한 것은

푸른 잎과 붉은 꽃 때문이 아니었으리.

-이원, 용헌집, 권1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서른 일곱번째로 등장하는 이원(李原, 1368~1429)의 시 " 詠蓮영련"이다.

연꽃은 여름에 피는 수생식물로 전국 각지의 연못에 자란다. 꽃대 하나에 한 송이씩 달려 흰색 또는 연홍색으로 핀다.

주돈이의 '애련설' 이후 유학자들이 군자의 상징으로 여겨 많이 아끼며 즐겨 감상하였다. 주돈이는 연꽃을 사랑하는 이유로, 진흙에서 나왔으나 더러움에 물들지 않으며, 맑고 출렁이는 물에 씻기지만 요염하지 않으며, 속은 비고 겉은 곧으며, 덩굴을 뻗지 않고 가지를 치지 아니하며,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으며, 꼿꼿하고 깨끗하게 서 있어서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느나 함부로 가지고 놀 수 없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연蓮은 연戀과 같은 음으로 연蓮은 사랑 또는 애정을 뜻하는 상징물로 취급되기도 하였다. 허난설헌의 시 '採蓮曲채련곡'을 들어 속마음을 드러내는 듯싶다가 다시 숨기는 처녀의 수줍은 심정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경상도 민요 '연밥 따는 처자'도 결이 다르지만 같은 맥락으로 이해한다.

내게 연꽃은 어린시절 이후 사찰의 연못이나 동네 방죽에서 봐오던 익숙한 것이었다. 특별한 이유를 찾기는 어려우나 활짝 핀 꽃보다는 봉우리 상태나 아니면 꽃잎을 떨구고 있는 모습에 주목하였다. 매년 빼놓지 않고 크고 작은 연방죽을 찾아 연꽃 보는 것을 잊지 않고 있다.

지금 사는 곳에 연방죽은 없으나 마을 이름이 연화蓮花리다. 이래저래 연꽃향기 속에 묻혀 사는 샘이니 이만한 호사도 드물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접시꽃
오로지 해를 따르는 한 가지 마음

葵花 규화
紅爛開時白半開 홍란개시백반개
大於盤面小於杯 대어반면소어배
憐渠本有傾陽懇 연거본유경양간
浪蘂浮花不是才 랑예부화불시재

규화
붉은 꽃 만발할 때 흰 꽃 반쯤 피는데
쟁반보다 크기도 술잔보다 작기도.
해를 향한 간절함 어여쁘니
평범한 꽃들과는 그 자질이 다르네.
-서거정, 사가집 권28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서른 네번째로 등장하는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의 시 " 葵花규화"다.

접시꽃은 초여름 키를 쑤욱 올려 여러가지 색으로 피는 꽃이다. 접시 처럼 활짝 벌어진 모습으로 여름동안 함께 한다.

접시꽃을 한자로 葵花규화라고 하는데 이는 태양을 따라다니며 핀다는 의미다. 여기에서 연유한 葵心규심은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마치 해를 따라다니는 규화와 같다'고 하여 '忠心충심'을 상징한다. 해를 따라 피는 꽃인 해바라기의 한자도 黃蜀葵황촉규다.

내 기억 속 접시꽃은 어린시절 뛰어다니던 장독대 옆이나 골목길 담장 아래 다소곳이 피어 있던 모습이다. 이후 더 강한 인상을 남긴 것은 도종환 시인의 시 "접시꽃 당신"에 얽힌 이야기와 이를 영화로 만들어 한 시대를 끌고 갔던 것에 머물러 있다.

내 뜰에 핀 접시꽃은 이미 졌고 벌써 다음해를 준비하고 있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작약꽃
모란 부럽지 않은 화려한 자태

紅芍藥 홍작약
嚴粧兩瞼醉照勻 엄장양검취조균
共導西施舊日身 공도서시구일신
笑破吳家猶不足 소파오가유뷰족
却來還欲惱何人 각래환욕뇌하인

홍작약
곱게 단장한 두 볼이 취한 듯 붉으니
다들 말하기를 서시의 옛 모습이라 하네.
웃음으로 오나라를 깨뜨린 것도 오히려 부족하여
문득 또 누구를 고뇌하도록 하려는가?
-이규보, '동국이상국전집' 권16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서른 번째로 등장하는 이규보(李奎報, 1168 ~ 1241)의 시 "紅芍藥 홍작약"이다.

작약은 중국이 원산지로 5~6월에 붉은색과 흰색 또는 다양한 색깔로 줄기 끝에 한 송이씩 핀다. 주로 약초나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꽃으로만 보면 모란과 비슷하나 모란은 나무고 작약은 풀이다.

옛사람들은 꽃의 아름다움과 약효에 모두 관심을 두었고 이를 다양한 시로 남겼다.

모란이 꽃잎을 떨구면 기다렸다는 듯 작약이 큰 꽃망울을 활짝 펼친다. 윤이나는 꽃잎이 색과 어우러져 더 화려하게 보인다. 이 모습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꽃이다.

내게 작약은 초등학교 등하교 길에 보았던 무수히 많은 꽃을 피웠던 그 꽃밭으로 남아 있다. 그 기억이 내 뜰을 마련하고 고향집에서 가져온 구근으로 작약 화단을 만들게 되었다.

모란은 흰색으로 핀 단아함을 좋아한다면 작약은 검붉은 색으로 핀 농염함에 주목한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