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수염가래꽃'
학처럼 생긴 모습으로 하얀 날개를 펼치고 고개를 내밀어 비상을 꿈꾼다. 구름 너머 어딘가 있을 떠나온 곳을 그리워 하는 것일까.


눈둑을 걷다가 만나는 식물이다. 주목하지 않으면 결코 볼 수 없는 식물들이다. 올 여름부터 대문을 나서면 만나는 논둑을 자주 걸었다. 벗풀, 물달개비, 사마귀풀을 비롯하여 다양한 식물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수염가래꽃'은 논두렁과 논바닥이 만나는 경계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수분이 많은 조건에서 잘 살고, 일시적이나마 건조해져도 잘 견디는 편이다.


꽃은 6~9월에 피며, 흰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잎은 깊게 갈라져서 5장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2장이다. 윗입술의 꽃잎은 좌우로 갈라져 180도 방향으로 배치하고, 아래 입술의 꽃잎은 3갈래로 갈라져 아래로 펼쳐진다.


수염가래꽃이라는 이름은 '수염'과 '가래', '꽃'의 합성어다. 수염이라는 말은 아이들이 놀이할 때 코 밑에 달고 노는 수염 같아서 붙여졌고, 가래는 농기구 가래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꽃이 갈라진 것 때문에 갈래라는 말이 변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꽃모양으로 보면 영락없이 숫잔대와 닮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야고'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속내를 밝히면 이런 색일까? 다 붉지도 못하는 애달픔이 아닐까도 싶다. 무엇하나 혼자 저절로 이뤄지는 것 없음을 알기에 자연이 담고 있는 그 오묘함에 다시금 놀란다.


잔디의 뿌리의 도움으로 꽃피고 열매 맺는 타래난초처럼 억새의 뿌리의 도움으로 꽃을 피운다. 연분홍 속살을 오롯이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제 할일을 다 했다는 듯 빙그레 웃는다.


'야고'는 억새에 의해 반그늘이 진 곳의 풀숲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기생식물이다. 꽃은 8∼9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원줄기 위에 한 개의 꽃이 옆을 향한다.


제주도 한라산 남쪽의 억새밭에서 나는데 서울 난지도에 최근 야고가 피었다. 이는 억새를 제주도에서 가지고 온 후 거기에 씨앗이 남아 있어 핀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이 야고는 광주광역시 무각사가 있는 공원 산책로의 인공틀 안에 이식된 억새에서 만났다.


담뱃대더부살이·사탕수수겨우살이라고도 한다. 꽃이 피었을 때 꽃대와 꽃 모양이 담뱃대처럼 생겨 담뱃대더부살이라는 별칭이 생겼다.


야고는 한자로 野菰라 쓰는데, 들에서 자라는 줄풀이라는 의미이다. '더부살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숫잔대'
자줏빛이 선명하다. 색의 선명함으로 무겁지 않고 등치 큰 새가 날개를 펼치고 날아갈 듯 특이한 모양에 살아 곧 날아갈 것만 같다.


숫잔대는 남부 도서 지방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주변습도가 높거나 소형 늪지대와 같이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다른 이름으로는 진들도라지, 잔대아재비, 산경채라고도 한다.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쓴다.


숫잔대라는 이름은 습지에서 자라는 잔대인 습잔대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악의, 가면, 거짓이라는 꽃말이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 알 수 없다.


신비롭다. 조금만 느린걸음이면 훨씬 많은 생명들이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묘한 생명들의 모습을 만날 때마다 이 지구라는 별은 사람만이 주인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라송이풀'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을 느낀다. 하나를 알면 어느 순간 둘이 보이고 이것과 저것의 구별이 가능해진다. 우선 눈으로 익혀두면 첫만남에서도 이름을 불러줄 수 있다.


나선 길에서 못본다고 못 본다고 애를 태울일도 아니다. 때가되면 내 앞에 나타난다는 것도 안다. 부지런히 산과 들로 다니는 수고로움이 따를뿐이다.


자주색으로 핀 꽃이 모여 있다. 곧게 선 줄기에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해서 꼭대기까지 올라가며 핀다. 줄기에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자주색의 색감이 독특하게 다가오는 꽃이다.


제주도 한라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라송이풀이라고 한다. 자생지가 한정되어 있고 종자번식의 취약성과 기후변화, 생육지 환경 변화 등으로 절멸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환경부가 2012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위떡풀'
보러가야지 마음 먹고 있었는데 짐작도 못한 곳에서 의중에 있던 꽃을 만나면 그 순간의 모든 것이 특별하게 기억된다. 윗 지방에서 꽃 피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언젠가는 볼 날이 있겠지 하며 마음 한구석에 접어두었던 꽃을 만났다.


바위떡풀, 참 독특한 이름이다. 바위에 떡처럼 붙어 있다고 붙여진 이름 일까. 산에 있는 바위틈이나 물기가 많은 곳과 습한 이끼가 많은 곳에 산다. 바위에 바짝 붙어 자라며 한자 大자 모양으로 흰꽃이 핀다. 이때문에 '대문자꽃잎풀'이라고도 한다.


가까운 식물들로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지리산바위떡풀'과 울릉도에서 자라는 '털바위떡풀'이 있다고 한다. 구분하지 못하니 봐도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좀처럼 꽃을 못보다가 꽃진 후 모습으로 만났던 식물이다. 꽃도 꽃이지만 잎에 주목한 덕분에 알아볼 수 있었던 꽃이다. 바위에 붙어 독특한 잎 위로 피는 자잘한 흰꽃이 무척이나 귀엽다. '앙증'이라는 꽃말이 저절로 이해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