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시대 어른의 마음을 만나다

혼란스럽다. 오늘날의 정치 현실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표현이다. 모두가 아는 이 정치현실을 올바로 극복할 처방을 내 놓은 사람이 없다. 그것이 더 큰 문제다. 정치권력을 책임지는 세력은 자신의 본분을 잃어버린 지 오래다. 여야를 막론하고 다 한가지다. 이런 현실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 시대를 아루를 어른이 필요하다. 집에서는 가장이 필요하듯 마을 공동체에는 마을 어른이 나라에는 그 나라의 어른이라는 존재가 필요하다. 이 어른이 꼭 정치일선에서 서 있을 필요는 없다. 사회 어느 곳에 있든 든든한 어른의 역할을 하면 된다.

 

우리시대 어른이라고 할 만 한 분은 그리 많지 않다. 그중 한분이 바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강의의 저자 신영복 선생이다. 신영복 선생은 육사에서 교관으로 있던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무기징역형을 받고 대전·전주 교도소에서 20년간 복역하다가 1988 8 ·15 특별 가석방으로 출소했다. 그 후 대학에서 강의를 이어오다 2014년 겨울 학기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대학 강단에 서지 않는다. 마지막 강의를 채록해 책으로 엮은 것이 이 담론이다.

 

이 책은 강의를 엮어 공감과 소통의 장() 신영복 선생의 강의실을 고스란히 책으로 옮겨놓았다. 중심내용으로는 크게 2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1 고전에서 읽는 세계 인식 2 인간 이해와 자기 성찰이 그것이다. 중심주제는 당연히 사람이면 그 사람이 사회적 관계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집중된다.

 

1고전에서 읽는 세계 인식 맹자·노자·장자·묵자·한비자로 계속 이어진다. 이 동양 고전에서 얻어야 할 인간 중심의 사고와 관계를 살피고 2 인간 이해와 자기 성찰의 글은 신영복 선생이 20년의 감옥생활 속에서 만난, 기구하고 기막힌 사람들의 놀랍고도 슬픈 얘기들을 구체적으로 풀어놓았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후 뒷이야기를 담았으며 주체와 대상의 엄숙한 혼혈의식 그 자체에 비유하면서 신 교수는 관계없이 인식 없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1부 중 이웃을 내몸 같이라는 주제에서 다루고 있는 '감어인'鑑於人은 자신을 사람에게 비추어 보라는 말이다. 제자백가 중 묵자가 원전이다. 보여 지는 모습으로 거의 전부를 판단하는 세상이라고 한탄들 한다. 그렇다면 보여지는 모습을 전부 무시하란 말인가? 보여지는 모습은 속내를 드러내는 중요한 방편이니 그 드러남을 통해 속내를 보는 통로로 삼는다면 드러남은 백분 활용해야할 측면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 장의 석과불식碩果不食의 석과는 가을에 나뭇가지 끝에 하나 남겨 둔 씨 과일을 가리키며 이를 최고의 인문학이라고 설명한다. 나무가 뼈대를 드러내며 잎을 떨어뜨려 뿌리를 따뜻하게 덮는 이 석과불식의 요체를 그는 사람을 키우는 일이라고 했다. 사람이 곧 뿌리라는 것이다.

 

시냇물이 냇물을 벗어나 강물이 되고 강물이 벗어나 바다가 되는 것처럼, 우리 역시 부단히 변화해야지만 소통이 가능하다. 숲은 나무 한 그루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나무들이 존재해야 한다.서로 나무가 되자.”

 

신영복 선생의 이야기다. 이 사회가 사람을 주목하고 그 사람들의 관계가 올바로 설정되어 팍팍한 삶 속에서 한 줄기 위로와 격려가 되었으면 좋겠다. 담론으로 통해 전하고 싶은 이 시대의 어른 신영복 선생의 바람과 만나는 시간이 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북 2015-08-27 07: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두 이 책을 읽으며 참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비록 1부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그것으로 고전에 대한 욕구도 생겼답니다 ㅎ 아침 저녁으로 귀뚜라미 소리가 듣기 좋은 계절입니다 행복한 독서 시간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