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정치 - 신자유주의의 통치술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우리는 정말 자유로운가?
스마트폰은 자유와 동시에 구속이라는 것을 실감하는 나날이다. 스마트폰의 활용 중심에 분명 SNS가 있다. 소식의 창구역할이자 소통의 도구로 잠시도 떨어트려놓을 수 없는 무엇이 되었다. 폰 하나만 손에 들면 못할 것이 없을 정도로 활용도도 좋고 쓸모 있는 도구이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스스로 사고하고 결정하기 보다는 검색해서 다수의 의견에 따르는 경향성이 농후하다. 점점 빠져들어 헤어나지 못한 경우을 주변에서 심심찮게 만난다.
자유롭고자 선택한 것이 결국 자신을 구속하는 도구로 작동한 사례가 아닌가 싶다. 이렇듯 스스로는 알아차리지도 못하면서 구속된 상태로 살아가는 것, 신자유주의 자본의 교묘한 지배방법이다.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너무도 자연스럽게 그 그물에 걸려 노는 꼴이니 고단수의 지배방식이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모습을 파헤쳐가는 ‘피로사회’와 ‘투명사회’라는 저작들로 만났던 한병철의 또 다른 저작이 ‘심리정치’다. 한병철은 ‘할 수 있다’를 넘어 ‘하고 싶다’라는 욕망을 창출하고 이용함으로써, 우리 스스로를 자발적으로 착취하게 하는 은밀하고 세련된 신자유주의의 통치술를 ‘심리정치’라고 부른다. 그의 전작들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피로사회'가 '심리정치'를 요청하고, '투명사회'가 '심리정치'를 강화한다’라는 흐름으로 현대사회를 파악하고 있다고 보면 된 것이다.
짧은 글들로 이어지는 이야기들 속에는 다소 학문적인 용어들로 인해 이해랄 수 있는 한계가 있긴 하지만 스마트 권력이나 두더지와 뱀, 친절한 빅브라더와 같은 글 속에서 이해하는 것은 같은 맥락으로 파악된다. 바로 우리의 의식적, 무의식적 사고를 읽고 분석하며, 인간의 자유 의지를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조종해 자본에 의존하게 만든다는 것이 그 핵심으로 읽힌다.
특히, ‘빅데이터’에서 분석하는 신자쥬주의사회의 특징으로 ‘개인이 네트워크 속에 자신의 일상을 투명하게 드러내는 순간 외부의 시선을 의식하며 내적 자아를 통제 당하게 된다는 것’에 있다. 바로 ‘‘사람들의 소비, 동선, ‘좋아요’ 등 온갖 행위 패턴들이 데이터화 되어 그 데이터를 통해 사람들의 '무의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것’에 주목한다.
"남들과 똑같은 기회가 주어져 있는데, 내가 그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라거나 "남들보다 자기계발에 게을렀다거나" 자책하는 식으로. 실패의 책임을 스스로에게 묻도록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 것은 경찰이나 법으로 다스리는 것 보다 굉장히 효율적/비용 절감적인 '통제술'로 기능한다.
의미심장한 말이다. ‘자기 자신도 모르게 자유를 착취당하고, 힐링으로 킬링’되는 사회가 바로 신자유주의 사회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보이지 않은 구속으로부터 “자유를, 자유로운 시간을 정말 우리 것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한병철은 우리 마음 자체가 자본의 인질로 붙들려 착취의 대상이 된 심리정치의 시대에 내면을 비우고 ‘백치 상태’에 이르러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자본이 만들어놓은 자유의 그물, 자본의 유혹에 얽혀들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함부로 가로질러간다. 바보짓을 통해 침묵과 고요, 고독이 있는 자유로운 공간, 정말 말해질 가치가 있는 것을 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어떻게 가능할까?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