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이치를

내 한 몸에 갖추기 위해"

 

작가 연대 미상(未詳) 일월오봉병(日月五峯屛)

조선 19세기, 종이에 채색,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조선 시대 왕이 등장하는 거의 모든 장면에 빠지지 않고 배치되는 것이 있다. 왕의 뒤에서 그림처럼 왕을 감싸고 있는 병풍이 그것이다. 일월오봉병 또는 오봉병이라 불리는 그림병풍이다. 일월오봉병은 무엇일까? 해와 달, 다섯 개의 산봉우리와 소나무, 물이 일정한 구도로 배치되어 있다. 무엇인가를 상징적으로 담아 놓은 것이리라.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그림에서 오주석은 해와 달은 음양(陰陽)으로 우주를 이루고 지속시키는 두 힘이다. 오봉은 오행이다. 그 좌우에 흰 폭포 두 줄기가 떨어진다. 물은 햇빛, 달빛과 함께 생명의 원천이다. 그 힘이 하늘과 땅 사이의 만물을 자라게 한다. 만물 가운데 가장 신령하고 도덕적인 존재가 사람이다. 그리고 그 많은 사람 가운데 덕이 가장 커서 드높아진 존재가 왕이다. 왕은 날마다 <일월오봉병> 앞에 앉아 경건하고 차분한 마음으로 하루의 정사(政事)에 임한다. 그러면 하늘() () 사람()의 삼재(三才:우주를 이루는 세 바탕)가 갖추어진다.”고 이야기한다.

 

왕이 정좌하면 우주의 조화를 완결 짓는 장엄한 참여 예술이 연출된다. 진정한 예술은 평범한 삶을 북돋는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나 자신을 완전히 비우고 겸허하게 자연을 배워 우주의 질서를 완성케 한다. 대지에 굳게 뿌리박고 하늘을 향해 우뚝 솟은 저 붉은 우주목(宇宙木)처럼.”

 

동양학의 기본이며 사유의 틀이 음양오행이다. “사람이 음양오행을 본받는다는 것은 굳셀 때 굳세고 부드러울 때 부드러우며 항상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미덕을 실천한다는 뜻이다. 왕은 오봉병앞에서 올곧은 마음을 지녀야 한다. 하늘과 땅과 사람을 꿰뚫는 이치를 내 한 몸에 갖추어야 한다.”왕 한 사람이 올바른 마음으로 큰 뜻을 세우는 순간 천지인의 우주질서가 바로잡힌다는 의미가 일월오봉병에 담겨 있는 것이다. 일월오봉병의 천지인 三才앞에 서는 임금은 항상 스스로를 쉬지 않고 굳세게 옳은 일을 끊임없이 행하며, 자신의 덕을 깊고 넓게 쌓아서 온 세상 모든 생명체를 하나같이 자애롭게 이끌어 나간다는 큰 뜻을 갖고 있는 것이다.

 

왕의 절대적인 권위의 칭송과 왕족의 무궁번창을 기원하는 궁궐 길상장식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해석하기에 따라 달리 받아들일 수 있다. 해와 달에게 부끄럽지 않고, 하늘아래 떳떳한 임금이야말로 만 백성이 우러러 보는 임금이 아니겠는가. 하늘의 도를 따르고 민심을 살펴 백성들이 편하도록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임금된 도리다. 그 기본 된 도리를 망각한 임금은 임금이 아니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월간미술, 2009)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비종 2015-02-22 09: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월.오봉이 음양오행을 뜻한다면, 저 네 그루의 소나무도 뭔가 심오한 의미를 담아놓았을텐데요. 혹시 `사주`? ㅎㅎ(네 개의 기둥이니^^;) 소나무 색깔이 왜 붉은 빛일까 한참을 생각합니다. 오른쪽의 해가 생명의 근원이니 나무를 비추는 모습일까요? 달은 차가움을 연상시키니 물과 같은 색깔로 표현했을까요?
그림에 쓰인 색이 5가지인 것도 오행과 관련된 걸까요? 빛의 3원색 RGB도 생각나구요, 나머지 색이 흑(약간 갈색이긴 하지만ㅎ)과 백인 것도 우연은 아니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다면, 목화토금수도 담겨있을까요? 나무가 붉은 빛인 건 불을 의미하는 걸까요? 금속은 어디에 있을까요? 산봉우리와 바탕에 희끗희끗 깔린 누르끼리한 색일까요? 다시 보니 폭포가 떨어진 가운데 부분이 파도치는 바다같기도 합니다.
아님 그냥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로세~`일까요? 괜히 이것저것 의미를 갖다붙이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답은 늘 단순한 법인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