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택리지 - 강제윤의 남도 섬 여행기
강제윤 지음 / 호미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적 시각으로 바라본 바다와 섬

내게 섬은 로망 중 하나다. 특별한 이유를 찾지 못하지만 바다와 섬은 늘 가보고 싶은 곳이며 살고 싶은 곳이기도 하다. 어릴 적 바다 근처에서 살았다는 것도 그 이유 중하나일 것이며 삼면이 바다고 섬 또한 부지기수로 많은 남쪽 땅에서 살았다는 것도 한몫 차지할 것이다. 그렇게 가까이 바다와 섬이 있지만 섬이나 바다에 주목하지는 못했다. 아니, 주목하지 않았다는 말이 맞는 말일 것이다.

 

그러던 중 2006년 발행된 일상과 역사를 가로지르는 우리 바다 읽기라는 주강현의관해기라는 책을 통해 바다와 섬 그리고 그 속에 살아왔던 사람들에 관심을 가졌다. 나에게 '관해기'는 바다를 인문학적으로 살피는 첫 책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 후 강제윤의 '섬 택리지'를 만났다. ‘숨어사는 즐거움을 발간하던 보길도에서의 삶을 정리하고 섬을 떠돌기 시작한 것으로부터 강제윤이 섬에 주목하여 자신의 발로 섬을 찾아다닌 지 십 여 년이 지났다고 한다. 그렇게 발로 쓴 섬 탐사여행기가 일곱 번째 책으로 묶였다. 그 책이 바로 섬 택리지 : 강제윤의 남도 섬 여행기.

 

'섬 택리지'는 조선시대 영조 때 이중환이 지은 우리나라 지리서 택리지에서 따온 제목이라고 한다. 이중환의 책처럼 본격적인 지리서는 아니지만 이중환의 택리지가 뭍과 사람 사이에서의 인문학적인 관계를 살폈다면, 섬 택리지는 바다와 섬이라는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을 인문학적인 시각에서 살폈다.

 

도초도의 고란리는 이 나라에서 돌담들이 가장 완벽히 보존된 마을 중 하나지만 나그네에게 발견되기 전까지는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다. 장산도와 신의도의 백제시대 고분들과 흑산도에 삼국시대 존재했던 국제 해양도시의 유물들을 비롯해,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어업 유물인 생선을 절이는 데 사용한 간독들이 섬의 풀숲에 파묻혀 있다.”

 

이처럼 저자가 발품 팔아 섬을 돌며 발견한 돌담이나 독살 같은 유형의 보물이 적지 않다. 그밖에도 삼백 년 된 국보급 옛 선창이나 독살, ‘원안의 논같은 해양문화 유적과 어업 유물이 뿐 아니라, 뭍을 그리워하는 섬사람들의 애환을 담은 가거도 할머니의 민요, 제주도 이어도 사나의 흑산도 버전이랄 수 있는 흑산도 해녀 할머니가 불러주는 진리 뱃노래와 같은 구성진 들노래 등이나 흑산도 진리 당집의 피리 부는 소년과 처녀귀신의 사랑 이야기, 비구니와 비구의 사랑이 놓은 애틋한 노둣돌 이야기 등 무형의 보물들이 산재해 있음을 알려준다. 뿐만 아니라 섬 역시도 개발논리에서 자유롭지 못한 곳이다. 방조제나 조력발전소가 들어서면서 파괴되는 갯벌과 문화유산, 해안도로를 내기 위해 어부림(魚付林)을 파괴하고 천 년 된 당집이 허물어지고 그 자리에 체육공원이 들어서는 것을 보는 안타깝다.

 

남도 섬을 여행하며 인문학적 시각으로 섬을 읽어보자는 강제윤의 시각이 따스하다. 섬 문화와 해양 유산, 역사와 지리, 인물 등 유형과 무형의 숨어 있는 보물을 발견하고 이를 어떻게 보존하며 지킬 것인가를 생각하게 만든다. 결국 섬이라는 단절된 공간이었기에 가능했을 사람의 이야기를 이제는 주목해 보자는 말 일 것이다. 강제윤, 그가 있어 섬이 더 가까이 다가온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종 2015-02-14 07:2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공간으로서의 `섬`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육지와 떨어져있지만, 바닷속으로는 연결되어 있으니 온전히 동떨어진 공간이라고도 할 수 없는. 육지인 듯 육지 아닌 육지 같은 너ㅎㅎ `섬`은 `시`와도 같습니다. 과감하게 생략된 부분이 물 밑에 잠겨있다는 점에서. 시를 감상하는 사람이 각자 다른 방식으로 해석을 하듯이, 섬도 바라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갖게 되는 것 같습니다.
요즘은 사람들 마음 안에 있는 섬을 생각합니다. 추상적이긴 하지만 저마다 섬이라고밖에 설명할 수 없는 뭔가를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고독과 함께 부록처럼 자유가 주어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