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철학의 풍경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사진철학의 풍경들
진동선 글.사진 / 문예중앙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같은 것을 다르게 보는 눈 

시인의 눈이 늘 부러웠다. 시를 쓴다는 주변 사람들과 같은 시간 같은 공간을 함께 있어도 느끼는 것은 달랐다. 무엇이 그런 차이를 만드는 것일까? 그들은 나와는 다른 눈을 가진 것일까?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나는 내 나름의 눈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당연히 같은 것을 보고도 달리 본볼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 차이는 바로 사람의 차이다. 

사람의 차이란 점을 실감한 것은 휴대전화의 사진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부터다. 디지털카메라가 없는 것도 아닌데 항상 휴대하기가 불편하여 손에서 떨어지지 않은 휴대전화의 카메라 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순간적으로 느끼는 풍경이나 사물을 담아내고는 한다. 그렇게 담아낸 사진들이 주변 사람들에게 멋진 사진으로 이야기되며 카메라의 종류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도 있다. 예쁘게 보이는 사진을 찍는 기준에 카메라의 종류가 절대적인 요소가 아님을 설명해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고성능의 카메라로 담은 사진의 장점을 물라서 하는 말이 아니고 전문 사진가가 아닌 재미로 찍는 사람이기에 가능한 말일 것이다. 

나의 이런 경험은 디지털 기기의 발달로 자신만의 즐거움을 누리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드는 생각일 것이다. 아름다움을 누리고 싶어 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아름다움을 담고 싶은 마음이 표현되는 것은 다양하다. 하지만, 사진만큼 대중적으로 열린 공간이 또 있을까? 그렇게 열린 공간이지만 사진은 만만한 것이 아님을 사진을 찍어본 사람들이면 누구나 공감하는 부분이다. 

‘사진철학의 풍경들’은 바로 한 장의 사진이 가지는 가치를 어떻게 이해하고 그에 걸맞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본질에서 기술적으로 사진을 찍는 방법이 아닌 사진을 바라보는 철학적 시각을 이야기 한다. 사진을 중심주제로 철학을 논하는 책이라 아름다운 사진을 찍는 기술적 방법을 찾는 사람들에겐 즉각적인 해답을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그 모든 사람들에게 사진의 근본에 해당하는 의미 있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사진의 기본 구성이 되는 것은 대상과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 그리고 그 중간에 카메라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대상을 본다는 것이 바로 인식의 풍경으로 어떤 대상을 눈과 마음의 동일체로 카메라의 눈이 곧 우리 자신의 눈임을 말하고 있다. 또한 사진은 대상의 순간을 담아내는 것이기에 사진은 시간의 문제와 직면하게 된다. 곧 사람의 눈에 인식된 대상은 사람의 사유를 통해 특정한 시간으로 카메라에 담긴다는 것이다. 이렇게 담긴 사유의 시간이 대상으로 표현되는 것은 사람마다 자신의 감각에 의해 구별하게 된다. 커메라에 담겨 표현되어진 사진은 이제 사진을 찍었던 사람의 눈을 떠나 감상자의 몫으로 넘어가 다른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어떤 대상을 마음의 눈으로 보고 그 순간을 담은 것들이 우리들 앞에 사진으로 나타나고 그렇게 나타난 사진들은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새로운 아름다움을 추구해 가는 것이다. 이 점이 바로 저자가 이 책에서 사진을 철학적으로 바라보는 방법인 인식의 풍경, 사유의 풍경, 표현의 풍경, 감상의 풍경, 마음의 풍경 등 이 다섯 가지 기준을 통해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닌가 싶다. 

사진은 좋은 카메라로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을 찍는 것이 아닌 인식과 사유, 표현과 감상 등 철학과 미학의 근본적인 가치인 아름다움에 대해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만들고 있다. 이는 아름다운 사진을 만드는 것이 기술적인 측면이 아닌 마음의 문제임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칸트, 헤겔, 하이데거, 벤야민, 들뢰즈, 롤랑 바르트 등 철학자들을 비롯하여 수전 손택, 존 버거, 지젤 프로인트, 다이안 아버스, 마이클 케나 등 직접적으로 사진과 함께했던 사람들이 사진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했던 무엇 때문에 사진을 찍는가? 와 같은 질문들을 다시 우리들에게 질문하고 있다.  

“사진은 아름다운 것을 찍는 것이 아니라 아름답게 찍는 것이다.” 

결국, 저자는 같은 대상을 보고도 다르게 볼 수 있다는 점, 그 차이는 바로 마음이라는 것이다. 찍는 사람의 마음이 반영된 사진은 대상을 아름답게 찍는 출발점이며 그 근본에는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철학적 물음이 있다고 한다. “사진을 통해 세장을 아름답게 보는 법, 사진을 통해서 세상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법, 사진을 통해서 세상을 사랑하는 법”을 말하고 싶었다고 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사진 하나하나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상은 그렇게 만들어진 세상을 사랑하는 법의 표현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