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강화
이태준 지음, 임형택 해제 / 창비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바른 글쓰기란 무엇인가
글을 쓴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세상과 자신을 바라보며 가슴에 담겨진 무엇인가를 표현하고 싶은 것의 반영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느낀 그 무엇을 그대로 표현한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우리가 쓰는 세상의 언어로 다 담아낼 수 없는 인간의 감정의 미묘함이 있어 그렇고 훈련되지 않은 글쓰기의 미숙함이 그렇다. 무엇하나 글을 쓰는 자신의 마음에 흡족하지 않아 늘 망설이게 만드는 것이 글쓰기가 아닌가도 싶다.

이럴 때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무엇이라도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것이 모든 글을 쓰는 사람에게 소망하는 바가 아닐까 한다. 그렇더라도 같은 것을 보고도 사람마다 다른 느낌을 가진 듯 글쓰기의 교본을 보고서도 글쓰기에 도움을 받기보다는 그 어려움을 더 할 때가 많은 것이 답답한 현실이다.

‘문장강화’ 이 책은 그런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에게 ‘글’이란 무엇인가를 이해시키는데 아주 적절한 성격의 책이라는 느낌이다. 글쓰기 이전에 글이라는 것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올바로 이해한다면 자신이 쓰고자 하는 글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이 책은 글을 쓰는 사람의 마음가짐에서부터 글이란 무엇을 담아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문장작법에서 문장과 언어, 운문과 산문, 다양한 문장 종류에 다른 차이와 글 쓰는 요령, 퇴고, 문체에 이르기까지 이미 발표된 글들을 예로 들어가며 비교검토하고 예로든 글이 가지는 매력적인 점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전달해 주고 있다. 막연한 글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확실한 예시를 제시하고 그로부터 배워야할 무엇을 이끌어내고 있어 아주 실용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장점이 부가되어 보인다. 이 책에서 예를 들고 있는 예시문은 우리의 고전에서부터 현대에 발표된 다양한 작가들의 글을 포함하고 있으며 우리에게 익숙한 작가와 글이 많아 더 이해하기 쉽다.

‘우리에게 있어서 이론과 행동이 둘이 아니듯, 자기의 삶을 어떻게 하고 어떻게 표현하느냐 역시 하나로 통합되는 문제다. 그렇기에 문장이란 소홀해도 괜찮은 일이 아니요, 어떻게 살아갈 것이냐와 연관해서 고통해야 하고 그 공부에 정련까지 요망되는 것이다.’

조정래의 자전적 에세이인 ‘황홀한 글감옥’에서도 이야기하고 있듯 글을 쓰는 사람의 마음가짐과 글이 담아내야 하는 것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는 글이 아닌가 싶다. 글은 단어의 나열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글 쓰는 사람의 정신과 삶이 온전히 투영된 한 인간의 정신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말이될 것이다.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여러 가지 것들 중에 기술적인 문제는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닌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다가서는 어려움은 그 기술적인 문제가 더 크게 다가온다. 이는 본질을 벗어난 지엽적인 문제가 본질을 넘어서는 중압감으로 나서는 경우가 아닌가 한다. 한 줄의 글이 완성되기까지 수없이 고민한 결과가 그 글 속에 담겨야 하는 것이기에 이 점은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현대에 들어 자신의 감정을 글로 표현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만큼 개인들은 살아가는 동안 자신이 느낀 점을 스스로 정리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많아지는 것의 또 다른 표현이 아닌가 한다. 자신 스스로를 비롯하여 다른 사람들과 이렇게 소통하고 싶어 하는 것은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초석이 될 것이다. 그런 사회상을 반영하여 글쓰기 교본이나 관련 교양서가 빈번하게 출간되고 있다. 이 책은 그런 글쓰기 교양서의 모범이 되는 책이 아닌가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댄스는 맨홀 2011-04-06 0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의 마음을 다른이에게 전달하는것이 쉽지 않네요. 말을 하는 것도 글을 쓰는 것도요. 글쓰기 교양서의 모범이 되는 책이라니 꼭 읽어 보고 싶습니다.

무진無盡 2011-04-06 19: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정을 언어와 글로 표현한다는 것이 참으로 어렵습니다. 이 책에서 그 상황에 맞는 딱 그말을 찾는다는게 그렇게 어려운 일이 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