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역사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영화는 역사다 - 한국 영화로 탐험하는 근현대사
강성률 지음 / 살림터 / 2010년 9월
평점 :
영화 속에 담겨 있는 우리의 자화상
책을 읽는 사람들은 주로 어느 때 감동을 받게 될까? 사람마다 각기 다른 세계관이 있고, 각기 다른 세계관으로 책 속에 담고 싶었던 저자의 이야기를 접하기에 책을 통해 감동을 받는 이유 또한 그만큼 다양할 것이다. 저자가 책에 담고 싶은 이야기와 책을 읽어가는 독자 사이에 공감대를 형성하여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과 동일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또 있다는 동질감과 속 시원한 느낌을 전해주는 책, 그런 책을 만날 때 독자의 기쁨은 몇 배가 될 것이다. 이는 책을 읽는 것에만 국한된 일이 아니다. 음악, 그림, 영화 등 작가나 제작자의 감정이 이입되고 그들의 세계관이 담겨 있는 그 무엇이든 이와 비슷한 경험의 기회를 주게 된다.
무척이나 오랜만에 나와 거의 같은 시각으로 그것도 주요관심사의 한 분야를 만난다는 즐거운 경험을 한다. 우리 현대사와 영화의 만남을 통해 우리가 반드시 해결하고 넘어가야 할 민족적 과제를 만난 것이다. 이런 기회를 가져다준 책이 강성률의 한국 영화로 탐험하는 근현대사라는 부제를 단 ‘영화는 역사다’이다.
저자 강성률은 영화를 좋아했지만 사정에 의해 문학을 공부하다 늦깎이로 영화공부를 했다고 한다. 그런 자자가 보는 영화는 단순히 문화예술의 한 장르에만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학이나 예술 장르가 도저히 넘볼 수 없는 대중 친화적이라는 점이다. 그런 영화와 역사를 연결시켜 인문학적으로 영화를 통한 역사의 재해석이라는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의 ‘현재 시점에서 특정 시기의 과거 사건이나 과거를 영화 속에서 다루는 것이다.’ 이라는 역사 영화의 스펙트럼을 통해 현재 우리가 바로 봐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이야기 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 책에서 저자가 살피고자 하는 영화들은 우리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일제식민지의 청산과 분단이라는 민족적 과제와 어떤 식으로든 관계를 맺고 있는 영화를 선별하고 이를 그만의 시각으로 해석하고 있다. 저자는 우리 영화사의 흥망성쇠를 일제강점기로부터 한국전쟁과 분단시기, 군부독재 시기, 2000년 이후라는 흐름 속에서 파악한다. 시기별로 우리민족이 처한 현실을 살피며 영화와 영화인들의 모습 속에서 누구도 비켜갈 수 없는 시대정신을 통해 살피고 있는 것이다.
‘집 없는 천사’, ‘사랑과 맹세’나 ‘낮은 목소리’,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를 통해 일제강점기와 영화와 영화인의 이야기를 하며 ‘이재수의 난’, ‘웰컴 투 동막골’, ‘태백산맥’,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칠수와 만수’, ‘송환’, ‘우리 학교’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우리의 현대사와 연결하여 미완의 민족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또한 군부독재 시절 영화를 통해 독재정부가 획책하고자 했던 철저한 반공주의를 비판하고, 영화를 통해 우리 살아가는 현시대 삶의 모순을 다룬 봉준호의 영화가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 특수성도 살핀다. 마지막으로 한국 영화의 산 증인이며 ‘국민감독’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임권택 감독의 영화를 통해 영화와 영화인들이 가져야 할 근본적인 시각이 무엇인지도 말하고 있다.
‘영화는 역사다’라는 저자의 말은 어쩌면 영화로 대표되는 대중문화예술의 모든 장르에 담긴 우리 역사의 질곡을 어떻게 바라보고 무엇을 해결해야 하는지를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자신의 역사인식의 명확한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가 말하고 있는 영화를 통해 바라보는 우리의 현대사의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문제이며 어떻게 하든 분명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