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찮은 인간 호모라피엔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하찮은 인간, 호모 라피엔스
존 그레이 지음, 김승진 옮김 / 이후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왜면하지 못하는 인간에 대한 불편한 진실
사람은 자신이 믿고 있는 것이 진실인지 아닌지 의심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 그것이 어떤 과정을 통해 얻게 된 것인지 의심 없이 받아들이면서 올바른 길을 가는 것으로 믿으며 살아가는 것이다. 그러다가 누군가에 의해 문제제기를 받던지 아니면 상황이 변하여 선택을 기로에 처할 때에 이르러서야 혼란스러움에 당황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라도 자신이 믿는 바가 잘못된 정보이거나 진실이 아님을 알게 되는 것보다 그것 자체를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은 현실이 아닌가 싶다.

존 그레이의 ‘하찮은 인간, 호모 라피엔스’는 우리가 흔하게 알고 있는 인간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서 무엇이 진실인가에 대한 거칠면서도 직설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바로 자신이 알던 것과는 사뭇 다른 시각을 접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혼란스러움이 책을 읽어가는 동안 내내 함께한다.

‘하찮은 인간, 호모 라피엔스’에는 그동안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어왔던 또는 믿고 싶었던 인간에 대한 다양한 ‘진실’에 대해 거침없는 칼을 들이대고 있다. 하지만 그 칼에 베이는 아픔보다는 묘한 흥분이 앞선다. 인간은 무엇인가? 라는 근본적 물음이 따라 붙기 때문이다. 저자 존 그레이는 종교와 철학, 과학적 성과에 의해 그동안 인간에 대한 규정이 잘못되었음을 제기한다. 특히 서구의 종교적 세계관이 지배하는 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직적접인 칼을 대고 있다.

‘인간 종 중심주의’가 무엇이고 그것이 가지는 가치를 비롯하여 인간이 믿어왔고 믿고 싶은 자아의 실현에 이르기까지 동물과 인간의 구별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이는 인간이 유일신의 종교적 가치관에 의해 자의적으로 규정한 허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인간이 이러한 허상에 머물러 있는 한 휴머니스트나 철학자들이 그토록 구별하고 싶어 하는 인간과 다른 동물과의 차별성은 가치 없는 것이며 이것이 인류의 미래를 책임지지도 못한다고 주장한다.

저자 존 그레이는 자신의 주장을 확인하는 과정을 고대 소크라테스, 플라톤, 장자 등 철학자의 이야기로부터 다양한 문학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간상을 통해 하나 하나 세밀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인간은 우연한 유전적 사고의 결과 지구상에 출현하게 된 고도로 약탈적이며 파괴적인 동물에 불과하며 ’약탈하는 자’라는 뜻을 가진 ‘하찮은 호모 라피엔스’라는 말로 현재의 인류를 정의한다.’

그동안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휴머니즘은 인간의 본질에 가까이 접근할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에 대해 저자는 일침을 가하고 있다. 인간은 동물과 달리 주어진 본성을 초월할 수 있으며 자기 운명과 환경을 통제함으로써 더욱 발전할 수 있다는 휴머니즘에 대해 과학, 철학, 종교 등의 그간 성과를 통해 살펴보며 왜곡된 인간상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인간, 기만, 도덕의 악덕, 구원받지 못한 자들, 비非진보, 있는 그대로 등의 여섯 가지 분류로 되어 있지만 굳이 순서를 지켜 읽을 필요가 없다. 책의 어느 부분을 펴든 저자의 동일한 주장을 만날 수 있다. 

다른 동물들과 비교되는 인간만의 차별성으로부터 갖게 되는 인간의 우월성과 자신의 삶에 의지적인 작용이 가능하기에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꿈을 실현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살아가는 인간에게는 대단히 불편한 진실을 만나는 순간이다. 그 주장의 핵심은 ‘인류를 중심에 놓지 않는 견해들을 제시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이는 자연의 일부로써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다른 동식물들과 함께 살 수 밖에 없는 인간이 저질러온 파괴에 대한 반성과 스스로를 돌아보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감하는 바가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