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레드릭 ㅣ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07
레오 리오니 글 그림, 최순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13년 12월
평점 :
한 개인의 예술적 재능과 그 발현이 어떻게 공동체에 온기를 전하는가를 그린 멋진 우화(寓話)다. 사회가 각자의 다양성을 인정할 때, 구성원은 재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고, 그 보람은 그 한 사람만이 아니라 모두를 풍요롭게 한다. 그런 이유에서 『프레드릭』의 주인공은 프레드릭 만이 아니라 이름이 없는 4마리의 들쥐들도 포함한다.
다가올 겨울을 준비하기 위해 양식을 모으는 들쥐 4마리. 그러나 프레드릭은 혼자 풀밭에 앉아서 졸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들쥐들은 그에게 왜 양식을 모으지 않고 있냐고 묻는다. 그는 햇살과 색깔과 이야기를 모으고 있다고 말한다. 겨울이 되고 5마리 들쥐 가족들은 모아놓은 양식들을 먹으며 지낸다. 아직 추운 겨울이 끝나려면 멀었지만 양식은 바닥이 났다. 들쥐들은 프레드릭에게 “네 양식들은 어떻게 되었니?”라고 묻는다. 프레드릭은 드디어 여름동안 모아두었던 이야기를 친구들에게 들려준다. 들쥐들은 이야기를 듣고 박수를 치면서 프레드릭에게 “넌 시인이야!”라고 한다. 프레드릭은 수줍게 말한다. “나도 알아.”라고.
친구들의 칭찬에 프레드릭이 “나도 알아”라고 대답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위 위에 올라가 공연을 펼친 프레드릭에게 들쥐들은 감동과 위로를 받았다. 양식이 다 떨어지고 봄이 오려면 아직 먼, 추운 계절에 그들은 햇볕의 따뜻함과 색깔을 실제로 느끼고 보는 것 같았다. 박수를 치고 좋아하는 그 순간 떨어진 양식 걱정 따위는 날려버리는 감정의 정화 즉 카타르시스를 경험한 것이다. 공연자 프레드릭은 이미 들쥐들의 눈빛 속에 숨소리에서 그런 변화를 감지했고, 그들과 교감했다. 그러니 ‘나도 알아’는 커튼콜을 하는 예술가의 희열 같은 것이다. 그 희열은 정체성, 존재감, 유대감 등과 관련된 감정일 것이다.
이런 감동의 박수 속에서 무대 인사를 하기 까지 프레드릭은 매일 이야기를 생각하고 생각했을 것이다. 졸고 있는 것으로 오해를 받기도 했지만 그는 앉아서 이야기 속에 햇빛을 담고 색깔을 칠한 것이다. 예술가는 한 작품을 창조하고 완성할 때 까지 고독한 시간을 보낸다. 한 작품을 내놓기까지 공동체는 조금 다른 듯 보이는 예술가의 삶을 인정해 주고 그의 작업을 지지해 주어야 한다. 들쥐들이 프레드릭에게 함께 양식 모을 것을 강요하거나 비난하지 않았던 것처럼.
그렇게 해서 완성된 작품의 수혜자는 예술가 자신뿐 아니라 공동체이다. 예술이 사회를 얼마나 풍요롭게 하고 한 사람이 고통을 이겨나가는데 영감을 주는지는 어느 정도 진리가 되었다.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의 작가 유제프 차프스키는 2차 대전 당시 나치의 수용소에서 정신적으로 무너지지 않기 위해, 쇠약과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프루스트 강의’를 시작했다고 한다. 그것도 기억에 의존해서. 영하 45도의 추위에 강제노역으로 녹초가 된 동료 포로들은 그들이 처한 상황과는 관계없는 강의를 들으며 다가올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잊을 수 있었다. 저자는 서문에서 그 순간이 생애 가장 행복했던 기억으로 남아 있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그 시간을 버틸 수 있게 해 준 프랑스 문학에 감사를 전한다. 추운 겨울, 양식이 떨어진 들쥐들에게 이야기를 해주고 있는 프레드릭은 차프스키를 생각나게 했다. 그리고 마음의 도피처, 위로와 치유, 나침반을 삼았던 문학작품들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들쥐들이 프레드릭의 이야기에 공명한 때는 ‘등 따시고 배부른’ 때가 아니라 오히려 위로가 필요한 시간이었다. 추운 겨울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은 양식만이 아니라 철학과 예술의 위안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다가올 추운 겨울을 대비하여 당신은 양식을 모으겠습니까? 아니면 프레드릭처럼 햇빛과 색깔이 담긴 이야기를 모으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은 하지 말자. 이런 질문은 혼자서 추운 겨울을 대비해야 하는 존재에게 해당하는 질문이다. 우리는 홀로 살아남은 무인도의 로빈슨 크루소가 아니다. 여기서 들쥐들의 공동생활을 굳이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개미와 베짱이’ 우화도 꺼내지 말자. 우리는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사실을 잊을 때가 많다. 그래서 불안해하고, 모으고 저장하는 일에 모두 몰두하는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는 양식을 만들고, 누군가는 이야기를 만든다. 그렇게 우리는 자신이 갖고 있는 재능과 욕망대로 무언가를 하고 서로에게 빛이 되고 색깔을 입히며, 공동체의 무늬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