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린 사람들>이 출간되기까지 제임스 조이스는 소설에 등장하는 사람들로부터 항의와 소송제기의 위협을 끊임없이 받았다. 이 소설이 무기력하고 인사불성에 빠져 있는 아일랜드인들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마비의 잠에 빠져 있다. 어머니를 잃고 가정을 책임지느라 먼지 풀풀 나는 집을 떠나지 못하는 열 아홉 살 딸, 하녀를 농락하여 돈을 뜯어내는 건달들, 결혼을 강요당하는 하숙인, 술과 도박을 즐기는 사람들, 돈을 좇는 가톨릭 신부 등. 가정이 붕괴한 것을 인식하지 못한 채 “몽롱한 혼수상태”를 즐기는 아일랜드인들의 모습이다.
14편의 단편 중 마지막에 실린 <죽은 이들>에서는 앞선 작품들에서 보여준 갇혀 있는 이웃들과는 달리, 새로운 여정으로 나아가는 인물이 그려진다. 이모들이 마련한 연례 댄스파티에 참석한 조카인 게이브리얼과 아내 그레타. 연설을 준비하는 게이브리얼은 로버트 브라우닝 시가 듣는 사람들의 수준에 비해 너무 높지 않은지 고민한다. “상스럽게 덜커덕거리는 남자들의 굽소리와 질질 끌며 춤을 추는 구두창 소리를 듣고 있노라니” 모임에 모인 사람들의 교양 수준이 자기보다 낮다고 여긴다.
게이브리얼은 연설에서 이모 세대들에게는 인심, 유머 인간미와 같은 미덕이 있지만 과거에 대한 생각에만 집착한다면 “산 자들의 세상에서 우리의 과업을 과감하게 수행해 나갈 수 있는 용기를 상실해 버릴 수도 있다”며 과거에 얽매이지 말고 현재 살아 있는 사람들의 의무를 다하기를 요청한다.
파티를 마치고 호텔에 도착한 게이브리얼은 아내 그레타에게 욕정을 느낀다. 그레타는 파티에서 들었던 노래를 떠올리며 수녀원 학교에 다닐 때 자신을 사랑했던 소년을 생각하며 슬픔에 잠겨있다. 그녀의 집 앞에 비를 맞고 서 있다가 폐병에 걸려 죽었던 소년. 아내의 이야기를 들으며 게이브리얼은 소년의 사랑을 감지한다. 그리고 남편으로서 자신이 그동안 얼마나 초라했는지 깨달으면서 눈물을 흘린다. 그는 아내에게 사랑을 줬던 죽은 영혼을 가깝게 여기며, 이제 소년과 아내의 고향인 “서쪽으로 여행”을 떠날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아일랜드의 전통을 옛것으로 치부했던 조이스가 과거를 포용하겠다는 의미로 읽히는 부분이다. 창밖에는 눈이 흩날린다. 아일랜드 전역에 내리는 눈은 모든 산 이와 죽은 이들 위에 모두에게 내린다. 과거와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의 화합과 눈으로 정화된 아일랜드인의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는 대목이다.
아일랜드의 지형과 전통 노래, 영국과 대립하고 있는 정치, 종교적 상황을 배경으로 쓰인 <더블린 사람들>은 아일랜드 색채가 강한 소설이다. 1910년대 위선과 무기력한 일상에서 살았던 아일랜드인들의 모습에서 지금의 나와 이웃을 매치시킬 수 있기에, <더블린 사람들>은 아일랜드 지역과 시대를 넘어선 보편적인 서사로 읽힌다.
아일랜드 사람들의 민낯에 거울을 바짝 세워 들었던 조이스. 그는 ‘빈사 상태’에 빠진 아일랜드인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소설 속 인물들이 자신이 처한 상황을 깨닫는 순간을 그린다. 인물들의 변화 여지를 열어놓기에 독자들의 부지런한 작품 해석의 참여를 유도한다. 하지만 말을 아끼는 조이스. 그는 이야기 속 상황을 친절하게 설명하기보다는 암시와 열린 결말로 처리하기에, 독자들은 물음표를 찍어가며 상상과 짐작으로 그 틈을 메꾸어야 한다. 다행히 작품 뒤에 실린 역자의 해설이 좋은 안내서 역할을 하기에 독자들은 기댈 언덕이 있다. 조이스의 문학관, 이야기의 흐름과 빠져있는 부분의 해석, 그리고 “위선과 마비에서 해방시키려는 예술가의 노력”과 같은 후대 평가도 제시되어 있어 조이스가 뿌렸던 악취 제거제의 효과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