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소개로 처음 읽었던 철학사 책이 요한네스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였다. 10년 전쯤이었다. 좋은 ‘서양 철학사’ 없냐는 질문에 책장에서 뽑아 주었다. ‘나 어려워’라는 분위기를 뿜어대며 빨간색 표지의 벽돌 두께 몸체를 자랑하고 있었다. 그것도 상하권으로! 서양 철학에 관심 있다는 의사표현을 한 자존심 때문에 받아들고 펼쳐보았다.
상권은 고대와 중세, 하권은 근세와 현대를 다루고 있다. 시대의 개념과 정신을 설명하고, 그 시대의 철학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작가는 편파적이지 않게 그 시대의 역사와 시대적 요구와 그로 인한 철학의 생성을 밝히려고 했다고 말한다. 더불어 당대 철학자 한사람 한 사람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철학사를 가볍게 개괄하고자 했던 나에게는 시련이었고, 결국 고대 철학부분을 넘어가지 못했다. 개론서보다는 철학 참고서 용도로 적합하다는 생각이다. 당시 완독하지는 못했지만 가끔 궁금한 철학이나 철학자들을 알아보기 위해 들춰보는 참고서가 되었다. 특별히 고대와 중세부분에 도움을 받았다.
출간된 지 꽤 오래되었는데 여전히 대학교재나 대학원 수험생들의 텍스트로 읽히고 있는 것 같다. 남편 역시 대학원 시험 준비를 위해 이 책을 읽었다고 한다. 1987년 초판이 발행되었고, 집에 있는 책은 1997년 5판인데, 2022년도에 개정 4판이 나왔다. 우리나라에서 번역된 서양 철학사 중 고전에 해당하지 않을까 한다. 요한네스 힐쉬베르거는 이 책에 전 생애를 바쳤다고 소개되고 있다. 책을 대하면 그럴 만도 하다는 생각이다. 현대에 재해석된 철학과 철학자들이나 현대 철학부분은 조금 빈약하다는 생각은 들지만 어쨌거나 나에게는 넘치는 책이다. 지식이나 자료의 광범함으로 인해 항상 참고할 만한 책이다.
그 다음으로 대한 책이 러셀의 『서양 철학사』이다. 언제인지 모르지만 이것 역시 남편이 들여온 책이다. 그 사이 사르트르 푸코, 들뢰즈와 같은 책들을 기웃거리다가 실패하기도 하고, 겨우 읽어내고도 기초지식이 부족하다는 깨달음이 쌓여 다시 단계적으로 읽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 사이클은 모든 분야에서 반복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모든 철학사 책들이 그렇듯 러셀 역시 벽돌 책이다. 노벨 문학상 받은 저자라 기대가 컸으나, 다른 사람들이 좋다고 해서 항상 나랑 맞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되는 책이었다. 그 시기 이렇게 두꺼운 책에 몰입하기에는 머리가 복잡했을 수도 있지만, 집중이 잘되는 문장들은 아니었다는 인상을 남기고 책장을 덮었다. 아무래도 그의 전공이 분석철학이어서 그런가보다 생각하게 된다. 오히려 문체가 현대적이지 않은 단점을 가진 힐쉬베르거 쪽이 훨씬 편하다. 러셀의 철학사는 자신이 지향하는 목표지점으로 이끌고 가기 위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현대철학의 생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익한 개론서라고 생각한다. 언젠가는 다시 들춰야 할 책이다.
드디어 내가 완주할 수 있는 서양 철학사를 찾았다. 군나르 시르베크와 닐스 길리에의 『서양철학사』다. 두 저자 모두 노르웨이의 철학자다. 역사와 정치적 경제적 배경 설명을 자세히 전달하고 있으며 그 상세함에 비해 양이 과하지 않아 독자를 지치게 하지 않는다. 대학 교양 수업을 목표로 했다고 한다. 이 책의 인기가 높아 스칸디나비아 지역과 유럽, 미국으로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저자는 서문에서 인문학과 사회과학 및 정신분석학에 대해 꽤 많이 다루고 있다고 밝힘으로 기존 철학사 연구와 차별을 두었다고 한다. 그 내용은 현대 철학으로 넘어가면서 접하게 될 듯하다. 아직 상권을 읽고 있지만 다른 철학사들에 비해 문턱이 높지 않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 한 챕터 끝나고 몇 가지 정리 질문들도 쉽고 유익하다. 대부분 바로 대답하지 못하고 다시 앞으로 가야하지만.^^ 다음 챕터로 넘어가는데 주저함이 없다.
시험 삼아 「철학사 연표」를 먼저 사고 책의 내용을 가늠해 봤다. 마침 도서관에 있어 빌려 일견하고, 맘에 들어 상권을 먼저 구입했다. 상권 1챕터를 자세히 읽어보고 하권을 샀다. 이제는 책 구입하는 데 생각이 많아진다. 책장을 장식하기에는 하드커버 합본이 좋겠지만, 반드시 끝까지 읽어야겠다는 생각에 상·하권으로 샀다. 휠쉬베르거, 러셀을 참고서 삼아 병행하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스털링 P. 램프레히트의 『서양철학사』도 있으나, 오래된 책이고 한자가 독음도 달리지 않은 채 쓰여 있어서 바로 덮고 말았다. 이 책은 동서문화사에서 『즐거운 서양 철학사』라는 제목으로 다시 출판되었다. 전자의 어려움들이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철학자들이 많이 소개되어있다. 나는 잘 알지 못하는 미국 철학자들도 목차를 장식하고 있다. 저자가 존 로크를 연구한 사람이라고 하니 영국 경험론에 대한 자세한 소개가 되어 있을 것이다. 다른 책에 비해 얇지만 굳이 이 책까지 살펴볼 생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