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식탁에서 졸릴 눈을 다 뜨지도 못한 신랑이 휴대폰을 들여다보며 말했다.

 

"맨...맨..부커.. 받았대"

"아. 맨부커상 받았대? 우아 대단한데"

"근대.. 한강이 뭐야?"

 

신랑에 말에 갑자기 박장대소한 나.

 

" 작가 이름이 한강이래. 이름 이쁘지? 아버지가 지어주셨다 들었던거 같아. 이번에 상 받은 책은 '채식주의자' 라는데 폭력에 관한 이야기이래. 나는 '소년이 온다' 라는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책을 읽었거든. 요런 폭력성에 관한 이야기들을 주로 쓰시는 작가신가봐. " 라고 말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웃음이 한편으로는 뜨끔한 생각이 들었다.

 

신랑이 물었던 '한강'은 서울 한복판에서 흐르는 강을 떠올렸던 거라서 웃음이 났지만, 고작 '소년이 온다'라는 책 한 권 읽어놓고 디게 아는척 하고 있는게 아닌지, 또 맨부커상을 받았다는 이유로 갑자기 호기심을 보이는거 같아 조금 부끄러운 마음도 들더라.

 

 

'소년이 온다'는 창비 '책읽는당' 활동 때문에 읽게 되었다. 이 책을 읽은 많은 사람들이 마음 아팠다고 들었기에 그간 요리조리 피하고만 있었는데 활동이라는 빠져나갈 수 없는 이유 때문에 읽게 되었다.

 

 

그리고 그렇게 내 고교 시절의 기억들이 떠올랐다.

시집을 오기까지 전라남도 광주가 나의 고향이었고 서른해 가까이 살았더랬다.

내가 직접 5·18을 경험한건 아니지만, 나와 함께 살아가던 어른들은 모두 그 시절 그 고통을 알고 있었다. 특히나 고교 시절에는 단단하고 굵직해 보이는 외모에 걸맞게 굵직한 목소리로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와 '광야에서'를 불러대는 국사 선생님을 이해하진 못했다. 어른들의 세계였고 어른들의 일이었다.

 

 

세월이 흐르고 흘러 지금에 이르러보니, 나는 신념이 무엇인지 아는 나이가 되었다. 이념이 무엇인지, 폭력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나이가 되었다. 5·18 민주화 운동은 더이상 어른들의 세계가 아니었다. 지금 이 시기에도 보이지 않는 곳곳에서는 평등을 위해 민주화를 위해 소리없는 폭력에 고스란히 노출된 사람들이 있음을 아는 나이가 되었다.

그렇게 '소년이 온다'를 읽었다.

 


"엄마의 얼굴이 그제야 펴진다.
 꼭 그래라이. 그녀가 말한다.
 해 지기 전에 와라이, 다 같이 저녁밥 묵게."(p43)

 

'소년이 온다' 를 읽으며 두개의 물음표를 품는다.

그 많은 사람들이 지키고 싶던 신념은 무엇이었는지. 무엇을 위해 그렇게 투쟁을 하며 목숨까지 잃어야했는지. 그렇게 목숨과 맞바꾼 신념이 오늘날까지 지켜지고 있는 것인지 생각할때마다 가슴이 서늘해짐을 느낀다.

 

그러니까 인간은, 근본적으로 잔인한 존재인 것입니까? 우리들은 단지 보편적인 경험을 한 것뿐입니까? 우리는 존엄하다는 착각 속에 살고 있을 뿐, 언제든 아무것도 아닌 것, 벌레, 짐승, 고름과 진물의 덩어리로 변할 수 있는 겁니까? 굴욕당하고 훼손되고 살해되는 것, 그것이 역사 속에서 증명된 인간의 본질입니까?’(p134) 쇠와 피

 

그리고 또 한가지. 인간은 정말 근본적으로 잔인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일까. 인간이라는 웅크려진 존재 속에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폭력적이고 잔인하며 이기적인 마음이 숨어있는 것일까. 어느 순간 어느 계기에 의해서 누구나 스스럼 없이 꺼내 표출할 수 있는 것일까 라는 물음에 당도하게 된다. 하지만 확인해 볼 길이 없다. 아니, 확인하고 싶지 않다. 인간의 잔혹성에 대해, 그 물음에 대해 끝끝내 모르는채 살아가고 싶다. 인간의 본성에 닿는 순간, 나 역시도 '채식주의자'의 영애처럼 인간이길 포기하며 살아가고 싶어질지도 모르니.  

 

2016년 5월 10일자 'tv 책을 보다' 프로그램에 한강 작가님의 '채식주의자'가 나왔더랬다. 프로그램이 개편되기 전에도 재밌게 봤지만, 김창완님으로 개편되고 또 함께 책을 읽는 일반인들의 모습도 보여서 요즘 즐겨 시청하는 프로그램인데 마침 한강 작가님이 나와 반가운 마음에 시청했었다.

 

 

http://www.kbs.co.kr/1tv/sisa/tvbook/view/vod/index.html?searchStatus=0&articleIndex=1&vosample=¤tUrl=http://www.kbs.co.kr/1tv/sisa/tvbook/view/vod/index.html

 

 

 

 

 

 

프로그램은 한강작가님과 함께 책을 읽으며 김창완님이 인상적인 부분에 대해 질문을 하곤 했는데 그중에서 인상적이었던 질문들을 꼽자면 첫번째가 '채식주의자'와 '소년이 온다'가 연관이 되었나 하는 질문이었다.

 

 

 

 

 

그리고 두 번째 이렇게 잔인한 이야기를 쓰실 수 있었냐는 질문에 한강 작가님은 인간의 폭력성에 대해, 아무도 알려고 하지 않는 그 질문에 대해 견디며 생각해보고 싶었다 대답이 정말 인상적이었다. 작가는 펜을 들어 싸운다던 이야기가 떠오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이번에 나온 신작은 인간의 투명성에 관한 이야기라고 했다. 어느 것에도 때묻지 않은 투명한 인간에 관한 글이라고 했다. 이 작품 역시 기대가 된다.

 

 

나는 우리나라 작가님들이 상을 많이 받지 못한 것을 두고 좋은 작품이 없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그건 오만이었고 방종이었다. 소설도 제대로 읽지 못하면서 나는 무얼 생각하고 있었나 하는 반성도 들었다. 부디 앞으로도 눈 밝은 세계독자들이 많이 생겨나기를. 우리나라에서 펜을 들어 싸우는 여러 작가님들의 이야기들이 널리널리 퍼지기를. 오늘 하루는 '한강'작가님 덕분에 정말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더불어 팟빵 '빨간 책방 83, 84회'는 한강님이 출연하여 '소년이 온다'와 '서랍을 저녁에 넣어두었다'로 이야기나누며 단아한 목소리로 노래를 부른 음성도 들을 수 있다.

 

 

http://www.podbbang.com/ch/3709?e=21462343 (83회)

http://www.podbbang.com/ch/3709?e=21462342 (84회)

 

 

 

ps. 오늘 밤 11시 40분 'tv책을 보다'에서는 맨부커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님을 만나 인터뷰한 내용이 방영될 예정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디오 2016-05-17 2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작가 `한강`씨에 대해 알고 싶었는데 덕분에 조금 알게 되었네요.
저도 우리나라 소설이 세계적인 상을 못받는 것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었는데 부끄럽습니다.

해피북 2016-05-17 22:40   좋아요 1 | URL
아궁 감사합니다. 고양이라디오님 ㅎㅎ 부족한 글인데 좋게 봐주셔서 덩달아 신나네요! 저도 한강 작가님에 대해 알게된건 요 근래의 일인데 상을 받으셨다니 괜히 좋아지고 실실거려지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써본 글인데 도움이 되셨다니 기뻐요^~^

그리고 상에 대한 편견을 함께 생각할 수 있는 것도 기쁘고요. 저도 부끄럽게 생각 많이 했어요. 소설책을 등한시하고 많이 읽지도 않았으면서 편견만 가득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답니다 ^~^ 오늘 저녁에 방영되는 `tv 책을 보다`에도 맨부커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님과 인터뷰한 내용이 나온다고해요^~^

달팽이개미 2016-05-17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요리조리 피하다가 창비 활동으로 만난 <소년이 온다>를 읽는 중인데, 애써 외면하려 했음이 어찌나 부끄럽고 죄스럽게 느껴지던지요. 아무도 알려 하지 않는 질문을 견뎌내며 생각해보고 싶다는 대답이 정말 인상적이네요.. 해피북님!!! 좋은 글 고맙습니다.^^

해피북 2016-05-17 22:47   좋아요 0 | URL
달팽이개미님^~^
창비 활동이 한 달동안 하는 거라서 때론 나태해지기도 하고 잊어버리기도 하는데요, 그래도 이렇게 평소에 접하지 않던 분야를 만나게되고 생각하게 되고 하는 부분들 때문에 포기할 수 없는 활동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리고 함께 읽고 생각할 수 있어 좋은거 같아요. 또 또 글 좋게 봐주셔서 감사하고요 ㅎ 꿀밤 되세요!!

ddakkary 2016-05-17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상한게 광주에 살면 오히려 더 5.18을 모르게 됐던 것 같아요.
민주화가 되고 5월 18일이 되면 항상 집앞(저희 집은 도청앞이었죠)에선 5.18기념행사가 있었는데도 아무도 5.18에 관해선 말해주지 않았어요.

해피북 2016-05-18 21:46   좋아요 1 | URL
아마도 쉽게 꺼낼 수 없었을 이야기 같아요. 저희 부모님도 5.18 사건에 대해 물으면 당시 끔찍했던 일들을 이야기하셨거든요. 버스 안에서 임산부가 군인에 의해 죽었다는 것과 집안으로 총알이 날아들었는데 솜이불 덕분에 살았다더라 등등에 이야기를요. 그 누구도 꺼내놓고 싶지 않을 이야기 같아요. 그리고 저는 학창시절에 특히 남자 선생님들이 5.18과 관련된 이야기만 나오면 핏대를 세우며 이야기했던 기억이나요. 주먹 불끈 쥔 손으로 서서 노래를 부르시던 모습도 어렴풋이 생각나고 말이죠. 그리고 대모와 시위를 했던 이야기를 많이 하셨던거 같아요. 그러면서 민주화 운동이 있었을 당시, 광주에서는 범죄 관련 신고가 한건도 접수되지 않았었다면서 강한 자부심을 가지셨던 기억이 설핏설핏 떠오르기도 해요^~^

단발머리 2016-05-18 1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피북님~~ 이 페이퍼는 한강 작가님에 대한 알짜 정보가 아주 정리가 잘 되어있어서 한강을 알고 싶어하는 모든 분들께 큰 도움이 될것 같아요. 저를 포함해서요. ㅎㅎ

저는 <채식주의자>랑 시집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만 읽었는데, 특히 <채식주의자>가 너무 힘들더라구요.
딸애에게 지나가는 말로, 아... 나는 한강은 너무 힘들다.
대단한 작가임에는 틀림없다, 읽는 게 이렇게 힘든데 쓰는 건 얼마나 힘들까.
이런 이야기를 했더랍니다.

<소년이 온다>를 읽어야겠는데, .... 아, 가능할지 모르겠어요.
쓴 사람도 있는데, 읽어야겠죠. 아자아자!! 힘내서...
어제만 <채식주의자>가 4만부가 팔렸네, 어쩌네, 하더라구요.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책도 많이 읽고, 특히 <소년이 온다>도 많이 읽었으면 좋겠어요.
ㅎㅎ 저 먼저 읽어야겠네요.

해피북 2016-05-18 21:58   좋아요 0 | URL
아고~ 이런 칭찬 너무 감사합니다 단발머리님 ㅎㅎㅎ

한강 작가님은 폭력적인 글을 읽거나 영상물을 보면 토하거나 괴로워서 몸이 아플정도로 힘들어하신다고 해요. 그 고통스런 마음에서 단단해지기 위해 <채식주의자>를 쓰셨다고 했고요. 그러다가 9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소년이 온다>라는 소설을 통해 힘들고 고통스런 마음에서 조금 걸어나오셨는데, 다시 <채식주의자>가 화제가 되고 그 책 속으로 걸어들어가시려니 그 감정들이 낯설게 느껴지신다는 이야기도 참 인상적이더라고요. 또 <소년이 온다>라는 책 뒷면에는 이 책을 쓰신 배경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피해자 가족들과 인터뷰하고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악몽에 시달리며 많이 힘드셨다더라고요. 책을 읽으며 그 고통이 고스란히 느껴지기도 했어요. 이 책은 이렇게 고통을 느끼면서 읽는거구나....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고요.

그리고 김창완님이 <채식주의자>책을 읽으시며 얼마나 힘들어하시던지요. 너무 끔찍하다면서요. 저는 <채식주의자>책을 찾아 읽어야겠는데.. 벌써 4만부가 판매되었군요 ㅎㅎㅎ 아! 해외에서는 <소년이 온다>라는 책이 더 인기 있다고 한강 작가님이 말씀하셨던 기억도 납니다^~^

애벌레손 2016-05-24 2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tv책 제작진이에요. 관심 사랑 주시고 이렇게 정성후기까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를 주지 않고 감성을 나눈다는 거- 함께 읽어 나가는 거- 좋게 봐 주셔서 기뻐요. 이 소중한 인연 길게 이어가요. 저희 블로그도 있고요. 인스타, 페북 트위터도 있어요. @kbstvbook 자주 놀러오셔서 발자취 남겨주시고 소통했으면 해요~ 감사합니다 ^^

해피북 2016-05-25 21:01   좋아요 0 | URL
오홋!
안녕하세요^~^ 부족한 글에 관심 가져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프로그램이 워낙 좋은데 많은 분들이 관심과 사랑을 가져 주시면 좋을 것 같아서 올려봤어요. 작고 소소한 일이 커다란 힘이 될 수 있도록 말이죠 ㅎㅎ 애벌레손님의 댓글을 받고서 그동안 페이스 북이며 끊고 지냈는데 인스터그램에 가입해봤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책 소식 들으며 응원하겠습니다. 즐거운 저녁 시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