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23/pimg_7576931183420439.jpg)
22년 5월 23일, 하루를 꼬박 [관통당한 몸]을 읽으며 보냈다. 4-5시간 집중하면 완독할 두께였는데, 늦은 밤에서야 작가 에필로그에 이르렀다. 두 가지를 깨달았다.
*
첫째, 나는 (관련 자격증 및 학위도 없거니와) 상담 관련한 일에 부적격자일 것이다. [관통당한 몸]을 읽어나갈수록 타인의 고통이 전해져서, 가슴은 뻐근해지고 머리가 뜨거워졌다. 잠시 책 읽기를 멈추고 셀프 마사지와 심호흡 하기를 수 차례. '활자'라는 성긴 체로 걸러낸 증언을 읽기만 해도 가슴이 뻐근해오는데, 몸으로 기억하는 당사자들은 어떻게 견뎠을까? 아니나 다를까 많은 생존자(혹은 희생자)와 그 가족은 심적 고통으로 인해 건강을 잃거나 제2의 죽음을 호소했다.
*
두 번째 깨달음. [관통당한 몸]을 먼저 읽은 친구분들의 충고를 새겨 들었어야 했다. 그분들은 내게 호흡 조절해가며 읽으라 충고했다. 하지만 욕심을 앞세웠던 나는, [관통당한 몸]을 하루 만에 다 읽었다. 예민한 손끝을 통해 '타인의 고통'이 심장까지 타고 올라왔다. 맑은 공기가 필요했다. 산에 올랐다. 읽다가 힘들어지면 하늘 한 번 올려 보기를 반복하며 오후를 채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23/pimg_7576931183420440.jpg)
5월 24일.
다음 날 꿈에서도 나는 [관통당한 몸]을 두고 사람들들과 설전을 벌이고 있었다. 대학 구내식당의 백색 소음을 배경으로한 채, 나는 탁자 맞은편편 상대들에게 "문제는 젠더 폭력이잖아요!"라고 쏘아 붙였다. 꿈에서 깨자마자 바로 자기 검열한다. 아니다. 젠더 폭력 이상이다. 전시 강간은 본질적으로 "인간 존엄을 모욕하는, 인간에 대한 폭력"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23/pimg_7576931183420806.jpg)
Cortona Rape of the Sabine Women
Pietro da Cortona,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크리스티나 램(Christina Lamb)은 30여년 차 분쟁지역 전문 기자이다. 그녀는 전쟁이란 이름 아래 행해지는 "느린 살인"(강간 폭력)은 극악해지는데 왜 근절책은커녕 현황 파악조차 더디게 이뤄지는지 파헤치고 싶어했다. 그래서 쓴 책이 <관통당한 몸>이다. 이 책에는 인간 존엄을 구이용 새처럼 꼬챙이로 관통하고, 찢고, 태우는 '호모 사피엔스'의 야만적 시도가 생생히 그려진다. 동시에, 그런 비인간화에 저항하며 '사람'으로 다시 일어서고, 다음 세대나 다른 사람들에게 고통을 물려주지 않으려는 저항도 보여준다. 저항의 장엄함을, 크리스티나 램은 겸손하게 뒤로 물러나 묘사하지만, 실은 그 자신이야말로 용감한 저항 자기장의 중추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23/pimg_7576931183420514.jpg)
Európa Pont, CC BY 2.0, via Wikimedia Commons
램은 비인간성을 파헤치는 자신의 직업을 거리두기하며 성찰한다.
"사람들이 얼마나 절박했으면 그런 일을 하거나 그런 이야기를 지어낼까 생각했다. 혹시 트라우마가 너무 심해서 무엇이 진짜인지 더는 알지 못하는 것일까?...그리고 우리는 어떤가. 조금 더, 조금 더 끔찍한 이야기를 끊임없이 찾아다니며 그들에게 어떤 괴물을 키우도록 부추기고 있는 건 아닌가? 포위됐던 콩고 동부에서 막 구출되어 비행기에 가득 태워진 벨기에 수녀들에게, '여기에 강간당했고 영어 할 줄 아시는 분 계세요?'라고 외쳤다는 그 텔레비전 리포터와 우리는 정말 다를까? (114쪽)
"우리(전쟁지역 기자)는 정말 다를까?"
.물음표로 끝낸 저자의 질문에, 독자로서 감히 "다르다"라고 대신 답하고 싶다. 5월 23일을 오롯이[관통당한 몸]에 헌신하고도 그 날 밤 꿈, 또 다음날에도 "그들의 전쟁터Their Battlefield"에서 연약한 유기체 과녁이 된 여성(Our Bodies)을 생각하는 까닭은, 크리스티나 램의 균형잡힌 시선 덕분이다. 30여 년간 현장에서 숱한 사람들을 만나고 참상을 목격하고, 글로써 증언해온 램의 인공위성 시야는 "관통당한 몸"을 여러 층위에서 생각하게 해주었다. 실로, 성숙한 저널리스트요, 신뢰 가는 인격이다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23/pimg_7576931183420558.jpg)
램의 인공위성 시야는 독자에게 여러 갈래 생각을 유도한다.
"관통"의 주체와 객체/ "몸"의 개별성과 복수성 / 가해자와 피해자, 다시 피해자와 생존자 / 인간(성)과 비인간(성) / 생명의 밭으로서 재생산력 vs 파괴의 과녁이 된 재생산력 / 구호단체(구호자)의 위선과 선의 / '피(혈통)의 순수성' 신화가 빚어내는 야누스 효과/ 무지한 대중과 각성된 활동가는 한 끗 차이 / 오명 씌우기와 이름의 정치학 / 어머니 그리고 할머니의 연대 / 채굴할 실물 자원지도와 강간 고위험 지역 지도의 겹침 등등
상당한 메모를 했건만 말끔한 정리가 어려운 이유는 [관통당한 몸]을 읽은 정서적 충격 때문이라고 변명하겠다. 이 혼란스러운 마음- 인간의 잔혹함에 대한 역겨움과 동시에 인간 회복력에의 경이, 폭력 앞에서 본능적 공포와 불안 반응,복수심,그리고 복수심의 과녁을 돌려 생산적 힘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교육받은 목소리 등- 이 정리되면, [관통당한 몸] 리뷰를 다시 쓰겠노라, 숙제를 남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23/pimg_7576931183420448.jpg)
글을 마치며 짧게 내 '분노의 대상' 변화를 돌아본다. [관통당한 몸] 초반부에는 여성의 몸을 전쟁터 삼는 개별 가해자들에게 복수심을 느꼈다. 하지만 크리스티나 램의 목소리리를 따라가다 보니, 바둑판 위 개별 돌들에 분노를 집중해서는 바둑판을 읽을 수 없다는 걸 이내 깨달았다. 예를 들어 저자는 두 차례나 "머리에 꽃을 꽂은 여인"에 현혹되어, 로힝야 사람들을 "천천히 태우는 제노사이드(106쪽)"을 외면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23/pimg_7576931183420609.jpg)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OGL v1.0OGL v1.0, via Wikimedia Commons
또한, 램은 보스니아 내전 당시 강간 당했던 여성들이 목숨을 걸고 증언을 한들, 그들에게 전해졌어야 할 기부금은 "학회와 호텔 숙박비"(209쪽)로 유용되고, 약자를 도우러 파견되었다는 인도주의적 단체 직원들이 현지 여성들에게 저질러온 역겨운 성범죄를 폭로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23/pimg_7576931183420622.jpg)
[관통당한 몸]을 읽고 나니, 칸 영화제에서 출현한 "Stop Raping Us" 시위자를 다룬 기사가 곱게 보이지 않는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온 몸으로 절규하는 시위자를 바라보는 시선이 위선적이어서 싫다. 라스베가스 누드 쇼 구경하듯 희롱하는 시선으로 훑는 턱시도, 그 옆에는 '내 몸이 아닌 그들의 몸에나 일어날 예외적 사건'이라는 거리두는 화이트 드레스.
위선은 그들만의 것이 아니기에, 뜨끔하고 아프다. 그렇지 아니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