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 하이쿠
마쓰오 바쇼 외 지음, 박성민 옮김 / 시와서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하이쿠 선집에는 내가 제일 좋아하는 작가 나쓰메 소세키를 비롯하여 하이쿠의 대가인 마쓰오 바쇼와 이름만 들어도 설렐 만한 다자이 오사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등 16명의 하이쿠 444구가 실려 있다. 하이쿠(俳句)5, 7, 5의 열일곱 자로 이루어진 일본 고유의 정형시이다. 에도 시대에 하이카이(俳諧)라고 하는 연가(連歌) 형식이 유행하였는데 한 사람이 5, 7, 5음으로 첫 구를 지으면 다음 사람이 이어받아 7, 7음으로 구를 짓고 또 다음 사람이 이어가는 시가 형식이었다. 그때 첫 5, 7, 5음의 구를 홋쿠(発句)’라고 하는데 에도 시대 하이쿠의 성인으로 불리는 마쓰오 바쇼의 하이쿠는 바로 이 홋쿠를 가리킨다고 한다.(역자 후기 참조)

 



하이쿠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자연계, 또한 그에 따른 인간계의 현상을 읊은 것이다.’-다카하마 교시(책 뒤표지)

 



이처럼 선집에 실려 있는 하이쿠도 사계절로 나뉘어 있다. 보통 하이쿠 선집에는 해설이 달려 있는데, 이 책에서는 해설을 싣지 않았다 한다. 독자 저마다의 방식과 느낌으로 읽어보았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번역은 원문에 맞춰 열일곱 자로 옮기려고 했지만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에 중점을 두었고 원문과 함께 음독을 병기 했음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본문의 작자명은 성씨를 빼고 표기하였다고 일러두기에서 언급한다. 많은 하이쿠 중에서 여운을 남겼던 몇 편을 소개하려고 한다.

 



 


이불을 덮고

편지를 쓰는구나

봄날의 감기

-시키(p18)

 


목련나무의

꽃으로만 가득한

하늘을 본다

-소세키(p22)

 


봄비로구나

몸을 바싹 붙이고

우산은 하나

-소세키(p23)

 


목련꽃과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을 동일시하여 묘사한 소세키의 하이쿠가 절묘하다.

봄비가 내리는 우산 속에 두 사람. 연인일까, 친구일까, 아이와 엄마일까.

아무튼, 다정한 두 사람의 모습이 떠오른다. 비에 젖지 않으려면 바싹 붙어서 갈 수밖에.

눈으로 읽기보다는 소리 내어 읽기를 권한다. 짧은 하이쿠에서 계절의 흐름과 리듬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고 짧은 하이쿠처럼 경제적이고 심플하게 살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다.

 


여름

 


병이 나아서

내 손으로 장미를

꺾었다네

-시키(p51)

 



마사오카 시키는 메이지를 대표하는 문학자 중 하나로 근대 하이쿠를 정립했다 한다.

20대부터 악화된 결핵으로 7년 동안이나 병상에 누워 지내다가 서른넷에 세상을 떠났다. 한 송이 장미를 꺾는 일이 그리 힘든 일이 아니건만, 오랫동안 병상에 있다가 밖으로 나올 수 있었으니 참 행복하고 감사한 마음이 들었을 것이다. 아프고 난 뒤 건강을 찾고 나면 세상이 얼마나 아름답게 보이던지. 많이 아파본 적 있는 이라면 모두 공감할 만한 하이쿠다.

 



양귀비꽃

그런 식으로 지니

버릇이 없네

-소세키(p56)

 



양귀비꽃이 어떤 모습으로 지는지 모르겠다.

소세키는 양귀비꽃을 아주 좋아했을까. 어쩌면 그럴지도.

예쁘게 지는 꽃이 있을까. 피어있을 때는 아름다워도 떨어진 꽃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버릇없이 진 양귀비꽃의 모습은 어떻게 생겼을까. 재치있게 쓴 하이쿠에 미소가 지어진다.

 



짧은 밤이여

얕은 여울에 남은

한 조각의 달

-부손(p63)

 



때리지 마라

파리가 손 비비고

발도 비빈다

-잇사(p70)

 



한여름에 귀찮게 달라붙는 파리들. 쫓아도 쫓아도 계속 날아든다.

쫓다가 지쳤나. 왠지 측은지심이 발동했나 보다. 손과 발을 비비며 잘못했으니 살려달라고 애원을 하는 듯한 파리의 모습이 애처로운지 때리지 말라고 한다. 가난한 삶을 살면서도 옛 문인들은 유머를 즐길 줄 알았다.

 



가을

 


뾰로통하게

입을 다물고 있는

도라지꽃이네

-소세키(p98)

 



새하얗고 신비로운 보라색으로 활짝 핀 도라지꽃을 처음 보고 감탄한 적이 있다. 뜨거운 어느 여름날 바람에 하늘거리던 도라지꽃이 어찌나 아름답던지. 봉오리 맺은 도라지꽃을 입을 다문 듯 뾰로통하다고 표현한 소세키 님은 나를 더욱 감탄하게 했다.

 

가을의 비가

멎고 나면 눈물이

마르려나

-도요죠(p109)

 



가을밤이여

장지문의 구멍이

피리를 분다

-잇사(p115)

 



가을을 노래한 하이쿠도 재치가 느껴진다. 무슨 마음 아픈 일이 있었나. 가을비를 보면 더욱 눈물이 나는 걸까. 어서 빨리 가을비가 멈추면 좋겠다. 화자가 눈물을 멈출 수 있게. 뜨거웠던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오면 시원한 바람에 안도하지만, 어느새 살갗에 소름이 돋는 서늘함이 찾아온다. 장지문 구멍으로 들어온 바람. 장지문도 피리를 부는구나. 이렇게 일상에서 계절이 바뀌고 변화하는 것을 시인은 놓치는 법이 없다. 하이쿠란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라고. 주변의 사물을 바라보며 한번 말을 걸어보라고 일러주는 듯하다.

 



겨울

 


못 다 쓴 원고에

틀어박힌 겨울의

해가 짧구나

-소세키(p135)

 



글 쓰는 작가에게 있어 원고 마감은 언제나 부담스러운 일일 것이다.

책상 앞에 마냥 앉아있다고 해서 글이 술술 써지는 것은 아닐 테니.

금세 해가 저무는 겨울의 짧은 하루가 못내 아쉽다.



오므려 붙인

추운 밤의 무릎이여

책상 아래

-히사죠(p159)

 



왠지 나도 쓸 수 있겠구나, 자신감이 생길 정도로 쉬운 하이쿠다.

책상 앞에 앉아 곱은 손을 호호 불며 글을 쓰는 시인의 모습이 그려진다.

 



한 사람 가고

두 사람 다가오는

모닥불인가

-만타로(p162)

 



추운 겨울의 모닥불. 한 사람 한 사람 모닥불 앞에 빙 둘러앉는다.

여럿이 모여 인사를 주고받는 모습이 정겹다. 모닥불은 이글이글 타오르고 이웃들의

다정한 이야기도 솔솔 피어오르겠지.

 



이 선집에는 나쓰메 소세키와 시키의 하이쿠가 특히 많이 실려 있다. 나쓰메 소세키는 대학 시절 친구인 마사오 시키에게 하이쿠를 배웠으며 2,600구의 하이쿠를 남겼다 한다. 오랜 세월 병상에서 보냈던 시키는 병든 자신의 상황을 묘사한 하이쿠가 많았다. 아픈 몸이지만 붓을 놓지 않았던 문학에 대한 열정에 뭉클해졌다. 초록이 무성해지는 요즘 공원을 걷다 보면 너무나 기분이 좋다. 커다란 나무 그늘 밑에서 살아가는 이끼는 이끼대로 연두색 새잎이 계속 자라나는 나뭇잎들은 나뭇잎대로 그 자체로 아름답다. 자연의 생명력에 감탄한다. 바쁜 일상이지만 자신을 위해 짧은 시간이라도 휴식의 시간을 가져 보면 어떨까. 하이쿠를 읽으며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은 마음의 여유를 찾는 멋진 휴식이 되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운이 더 나빴다. 공포심 둔화 외에 나처럼 전반적인 감정 불능까지 오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불행중 다행은 이렇게까지 작은 편도체를 가지고도 딱히 지능 저하의 소견이 없다는 것 정도였다. - P32

 보통 사람이라면 어렵지 않게 습득할 ‘본능적인‘ 규범들을 나는 그렇게 하나하나 암기했다. 할멈은 주입식교육이 과연 소용이 있겠느냐고 혀를 차면서도 전지에 붙일 화살표를 오렸다. 화살표가 할멈의 담당이었다.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서운 얘기를 참 태연히도 하네. 거짓말하면 못쓰는 거야.
나는 한동안 아저씨를 설득할 말을 찾느라 침묵했다. 하지만 어린 나는 아는 단어도 별로 없었고 아무리 생각해도 방금했던 말보다 더 진짜 같은 말은 떠오르지 않았다.
-죽을지도 몰라요.
했던 말을 반복하는 수밖에 없었다. - P17

이렇게 될 줄 알았다는 말마따나, 나에 대한 엄마의 걱정은세월이 깊었다.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서부터 나는 다른 아이들과 달랐으니까. 어떻게 달랐느냐 하면,


나는 웃지를 않았다. - P23

-사진 속의 아이는 울고 있어. 엄마가 없어졌기 때문이야.
이 아이의 기분은 어떨까?
나는 답을 몰라 옆에 앉은 엄마를 올려다본다. 엄마는 미소•를 짓고 내 머리를 쓰다듬어 준다. 그러다 문득 아랫입술을 지그시 문다. - P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을밤이여
장지문의 구멍이
피리를 분다

あきあな ふえ秋の夜やしやうじの穴が笛を吹く
잇사 - P115

지긋지긋해
세상 오래도 사네
겨울의 파리

ふゆえうとましや世にながらへて冬の蝿
시키 - P144

앙상한 뼈를
만지는 추운 아침
추운 밤이여

やせぼねあささむさむ痩骨をさする朝寒夜寒かな
시키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귀비꽃
그런 식으로 지니
버릇이 없네

けしはなちりょがい罌粟の花さやうに散るは慮外なり
소세키 - P56

짧은 밤이여
얕은 여울에 남은
한 조각의 달

あさのこ つきいっぺんみじか夜や浅瀬に残る月一片
부손 - P63

때리지 마라
파리가 손 비비고
발도 비빈다

うはえてあしやれ打つな蝿が手をすり足をする
잇사 - P70

토끼도 한쪽
귀를 늘어뜨리는
한더위구나

うさぎかたみみたたいしょ兎も片耳垂るる大暑かな
류노스케 - P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